•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가 진행한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 확대·신설’ 정책에 대한 대국민 여론조사 결과, 국민들의 약 95%가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 제도를 바람직한 정책이라고 평가하고 있으며,약 84%는 버스전용차로의 확대·신설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여론조사는 국토교통부가 올해 업무계획으로 발표한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 확대·신설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국민이 원하는 사항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해 한국갤럽에 의뢰하여 실시된 것이다.

전국에 거주하는 만 19~69세 성인 남녀 1,000명(표본추출)에 대해 지난 3월 3일부터 9일까지 일주일 동안 온라인 조사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 포인트다.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제에 대한 대국민 여론조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장거리 이동 시 교통수단) 일반국민들의 장거리 이동 시 주로 이용하는 교통수단은 ‘자가용’(42.6%), ‘시외·고속버스’(36%)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성’, ‘학생’, ‘저소득층’ 등의 집단에서는 자가용 등 타 교통수단보다 시외·고속버스를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장거리 이동 시 교통수단을 선택하는 주요 기준으로 ‘신속성’(38.3%)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20대 이하’, ‘학생’, ‘월 평균 가구 소득이 200만원 미만’인 계층에서는 ‘요금수준’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한다고 응답하였다.

② (버스전용차로제에 대한 평가) 현재 시행 중인 경부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제에 대해서는 응답자 대부분인 94.9%가 ‘바람직하다‘(매우 바람직하다 31.8%+바람직하다 63.1%)고 답했으며, 제도 도입에 따른 주된 효과로 ’통행시간 단축‘(51.3%), ’정해진 시간에 도착‘(29.7%) 순으로 조사되어 전용차로제가 버스차량의 ’신속성‘ 및 ’정시성‘ 개선에 크게 기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버스전용차로제의 장점으로 인해 장거리 이동 시 시외·고속버스를 선택한 경험이 있는 경우는, 응답자의 3분의 2(68.4%)를 넘는 것으로 파악됐다.

③ (버스전용차로제의 신설·확대) ‘영동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신갈JCT~여주JCT 구간) 신설 필요성’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84.7%가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경부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 평일구간 확대(오산IC→천안JCT) 방안’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83.9%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 5명 중 4명 이상(82.5%)이 전용차로를 신설·확대할 경우 시외·고속버스를 더 많이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답변해 정책 방향에 대한 기대감을 표출하였다.

④ (버스전용차로제의 개선사항) 버스전용차로제의 개선을 위해서는 ‘운영구간 연장’(58.2%), ‘진입차량의 제한’(57.5%)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응답(중복응답 허용)한 사람이 대부분이었으며, 향후 버스전용차로를 확대할 경우, ‘일반차량(버스전용차로 비 대상 차량)의 버스전용차로 이용 단속 강화‘(42.3%)와 일반차량의 불편 최소화’(30.9%)에 특별히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파악됐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이번 여론조사 결과, 고속도로의 효율적 활용 및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한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의 긍정적인 효과와 제도의 확대·신설 방안에 대해 상당한 수준의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파악된다.”라고 하면서, “현재 추진 중인 영동고속도로 전용차로 신설 및 경부고속도로 평일 운영구간 확대는 관계 기관인 경찰청과 도로공사와 함께 협업하여 관련고시 개정, 전용차로 차선 및 안내표지 설치, 위반차량 단속 등 필요한 사항을 충실히 준비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국토교통부 2017-03-2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741 국제공인 예방접종지정기관 확대 운영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11 57
4740 국제결혼중개서비스, 피해보상 받기 어려워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28 70
4739 국제거래, 물품구매보다 서비스거래에서 피해경험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31 35
4738 국제거래 소비자상담 전년 대비 16.9%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29 29
4737 국정 역사교과서 폐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31 45
4736 국유지 매수 계약 전 정확한 면적 확인 가능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0 41
4735 국외여행상품의 정보제공 개선으로 소비자권익 향상 기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0 36
4734 국외 테러 피해 예방 및 대응을 위한 행동 요령 공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19 106
4733 국세청의 비대면 서비스! 모바일 홈택스[손택스] 전면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14 23
4732 국세청,「기부금단체 간편조회」서비스 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15 54
4731 국세청, 학자금 대출자에게 상환의무 통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27 53
4730 국세청, 취업 후 학자금 상환 누리집 새롭게 개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20 15
4729 국세청,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자에게 의무상환액 통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27 54
4728 국세청, 잠자고 있는 국세환급금을 찾아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25 43
4727 국세청, 자영업자·소상공인 세무부담 축소 및 세정지원 대책 추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0 30
Board Pagination Prev 1 ... 603 604 605 606 607 608 609 610 611 612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