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주민등록 인구의 연령별 분포는 40대가 17.0%로 제일 많고, 50대 16.4%, 30대 14.5%, 20대 13.0%, 10대 10.5%, 60대 10.5% 순이며, 70대 이상은 9.3%인 것으로 집계되었다.

행정자치부(장관 홍윤식)에 따르면 올해 2월말 현재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는 51,712,221명으로 지난 1월말에 비해 7,889명(0.02%) 늘었고, 전년 동기에 늘어난 13,827명에 비해 덜 늘었다.

주민등록 인구 구성은 거주자가 51,206,921명(99.02%), 거주불명자가 457,507명(0.89%), 재외국민은 47,793명(0.09%)이다.

주민등록 세대수는 21,352,287세대로, ’17년 1월 21,312,864세대보다 39,423세대가 증가했다. 세대당 인구는 2.42명이다.

지난달과 비교할 때 경기(12,646명), 세종(2,661명), 충남(2,518명), 제주(1,348명) 등 7개 시도의 주민등록 인구는 늘어난 반면, 경북(△2,474명), 경남(△1,799명), 울산(△1,699명), 전남(△1,583명), 전북(△1,343명) 등 10개 시도의 인구는 감소하였다.

시·군·구의 주민등록 인구는 지난달과 비교할 때 경기 화성(5,148명), 김포(3,977명), 서울 강동구(2,850명), 대구 달성군(2,496명) 등을 포함한 72개(전체 시군구 226개의 31.9%) 지역에서 증가한 반면, 경남 창원(△1,499명), 경기 과천(△1,239명), 광명(△1,224명), 서울 노원구(△1,110명), 경기 안산(△1,069명), 서울 영등포구(△975명) 등 154개(68.1%) 지역의 주민등록 인구는 감소하였다.

주민등록 인구는 ’08년부터 ’17년 2월까지 경기(1,449,002명), 인천(251,570명), 충남(165,340명), 세종(156,074명) 등 13개 시도에서 증가한 반면, 서울(△269,415명), 부산(△69,099명), 전남(△18,203명), 대구(△8,146명) 4개 지역은 ’08년 대비 감소하였다.

울산(57,550명), 광주(45,825명), 대전(32,982명), 경북(22,398명)은 ’08년 대비 주민등록 인구는 증가했으나, 대전은 ’14년부터, 광주는 ’15년부터, 울산과 경북은 ’16년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시·군·구 주민등록 인구가 ’08년에 비해 많이 증가한 곳은 경기 화성(200,292명), 용인(175,711명), 남양주(156,599명) 등의 순으로, 총 92개 지역(전체 시군구 226개의 40.7%)인 반면, 인구가 감소한 곳은 서울 노원구(△50,289명), 영등포구(△39,035명), 광주 북구(△34,130명) 등 134개(59.3%) 지역이었다.

’17년 2월말 기준 주민등록 인구의 연령별 분포는 40대가 17.0%로 제일 많고, 50대 16.4%, 30대 14.5%, 20대 13.0%, 10대 10.5%, 60대 10.5% 등 순이다. 서울, 경기를 포함한 9개 시도는 40대가 제일 많고, 부산, 강원, 충북, 경북 등 7개 시도는 50대가 많았으며, 세종은 30대 인구 비율이 가장 높았다.

만19세~20세 인구는 1,346,743명으로 경기(25.1%)와 서울(18.0%)이 43.1%를 차지하였다.

’08년부터 ’17년 2월까지 주민등록 인구의 연령 분포를 보면, 만0세에서 14세 비율은 ’08년 17.2%에서 ’17년 2월 13.3%로 감소하였고, 만15세에서 64세는 73% 전후를 유지하고 있으며, 만65세 이상은 ’08년 10.2%에서 ’17년 2월 13.7%로 증가하였다.

담당 : 주민과 정영근 (02-2100-3824)

 

[행정자치부 2017-03-2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15 헌혈, 해외여행 후 1개월간은 피해주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11 105
2014 속 불편한 한국인…5명 중 1명, 1000만명이 소화계통 질환 경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11 127
2013 건강해치는「강박장애」, 젊은층 20대 환자가 가장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11 80
2012 새해부터 달라지는 농업분야 세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11 89
2011 발렌타인데이 대비 초콜릿·캔디 제조업체 점검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11 91
2010 Trek Bicycle 안장기둥 교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11 100
2009 Polaris 레저용 차량 통풍관 라인 교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11 109
2008 설 연휴기간 감염병 발생 주의 당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5 82
2007 혁신도시, '지역성장 이끄는 거점'으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5 91
2006 SNS 활용 전자상거래 피해, 3년만에 7배 증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5 113
2005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 교육용 애니메이션 제작·보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5 95
2004 한국소비자원, 노사 공동 ‘사랑의 연탄 나눔’으로 따뜻한 설맞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5 119
2003 멀티플렉스 판매 팝콘세트, 당ㆍ포화지방 함량 높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5 114
2002 건전하고 투명한 금융거래질서 확립을 위한 자금세탁방지 제도 안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5 101
2001 조명기기, 직류전원장치 등 81개 전기용품 리콜명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4 262
Board Pagination Prev 1 ... 787 788 789 790 791 792 793 794 795 796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