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유효기간 지난 모바일 상품권 90% 환불받을 수 있어

- 유효기간 연장, 잔액 환불 요청 등 소비자권리 적극 행사해야 -

모바일 상품권은 구매와 전달, 사용이 편리하여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효기간 연장 및 잔액 환불 거부 등 관련 소비자피해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은 모바일 상품권 관련 소비자불만 현황을 분석하고 소비자인식 및 환불 실태를 조사하였다.

유효기간 관련 불만상담이 전체의 49.6%로 가장 많아

최근 4년간(2013년~2016년)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모바일 상품권’ 관련 소비자불만 상담은 총 496건으로 2015년부터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 (’13년) 110건 → (’14년) 106건 → (’15년) 115건 → (’16년) 165건

※ 1372소비자상담센터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운영하는 전국 단위 소비자상담 통합 콜센터(국번없이 1372)로 소비자단체·한국소비자원·광역지자체가 참여하여 상담을 수행

유형별로는 ‘유효기간’ 관련 불만이 246건(49.6%)으로 가장 많았고, ‘환불 거부’가 102건(20.6%)으로 그 뒤를 이었다.

이용자 상당수는 유효기간 만료 후 미사용 금액의 90% 환불 가능함을 몰라

최근 2년간 모바일 상품권 구매 및 사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260명(52.0%)은 유효기간* 만료 시까지 상품권을 사용하지 못했고, 이 중 117명(45.0%)은 ‘유효기간 만료에 따른 통지를 받지 못했다’고 답했다.

* 물품 및 용역 제공형(기본 3개월)·금액형(기본 1년), 3개월 단위로 연장 가능

또한, 상품권을 사용하지 않은 260명 중 165명(63.5%)은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다’고 응답해 관련 권리를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사대상자 500명 중 390명(78.0%)이 유효기간 만료 후 미사용 금액의 90%를 환불받을 수 있음을 ‘몰랐다’고 답해 상당수 소비자는 관련 정보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조사대상자 500명 중 390명(78.0%)이 유효기간 만료 후 미사용 금액의 90%를 환불받을 수 있음을 ‘몰랐다’고 답해 상당수 소비자는 관련 정보가 부족함을 알 수 있었음

따라서 모바일 상품권 발행업체는 「신유형 상품권 표준약관」 및 ‘소비자분쟁해결기준’을 준수하여 유효기간이 도래하기 7일전 통지를 포함하여 3회 이상 이용자에게 유효기간의 도래, 연장 가능여부와 방법 등을 이메일 또는 문자메시지 등의 방법으로 통지하여야 한다. 아울러 유효기간 만료 후(단, 소멸시효 구매일로부터 5년)에도 잔액의 90% 환불이 가능함을 소비자에게 적극적으로 알릴 필요가 있다.

일부 업체, 잔액 환불 기준을 잘못 표시하거나, 잔액 환불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어

2016년 11월 11일부터 25일까지 모바일 상품권 5개 발행업체*의 잔액 환불 실태를 조사한 결과, ‘SK플래닛’은 모바일 상품권(1만원 이하)에 80% 이상이 아닌 “60% 이상 사용 시 잔액 환불이 가능”하다고 잘못 기재한 경우가 있었으며, ‘윈큐브마케팅’은 발행업체 고객센터와 제휴업체 고객센터가 서로 책임을 미뤄 잔액 환불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었다.

* 카카오(선물하기), SK플래닛(기프티콘), KT엠하우스(기프티쇼), 윈큐브마케팅(기프팅), CJ E&M(쿠투) 등 물품 및 용역 제공형 상품권과 금액형을 모두 발행하는 업체

※ 정부3.0의 일환으로 관련 사업자와 간담회(2017.3.3)를 가졌고, 해당 업체는 이를 개선하기로 함.

한국소비자원은 모바일 상품권 사업자에게 ▲유효기간 만료에 따른 통지를 강화하고 상품권에 유효기간 연장신청 기간을 구체적으로 표시할 것 ▲표준약관에 따른 금액형 상품권 잔액 환불 기준을 준수할 것을 권고하였다.

아울러 소비자에게는 모바일 상품권 관련 정보를 충분히 숙지하고 소비자권리를 적극적으로 행사할 것을 당부했다.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피해발생 문의처

 

[한국소비자원 2017-03-2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54 6월부터 전화로도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 받을 수 있게 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09 25
1853 6월부터 경부선 평일 버스전용차로 양재~오산에서 안성까지 연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8 14
1852 6월부터 '공적 마스크 구매 5부제' 폐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29 13
1851 6월말까지 등록임대사업자 대상 임대차계약 자진신고 기간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28 45
1850 6월말 전국 미분양 59,999호, 전월대비 8.2% (4,543호)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6 72
1849 6월3일부터 6차 법인택시기사 소득안정자금 신청 접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03 50
1848 6월1일, 간이식, 만성염증성탈수초다발성신경병증 등 희귀난치질환 치료약의 보험적용 확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28 127
1847 6월, 해외금융계좌 신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01 8
1846 6월 자동차세부터 신용카드로 자동납부 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15 59
1845 6월 소비자물가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2 41
1844 6월 말까지 "휴업.휴직.휴가 익명신고센터"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03 10
1843 6월 냉방 기기 관련 소비자 상담, 전월 대비 2배 이상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21 21
1842 6월 8일부터 해외입국자의 격리의무 해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03 127
1841 6월 2일부터 국내 모든 자동화기기(ATM)에서 IC칩이 없는 MS신용카드의 이용이 전면 제한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2 175
1840 6월 23일부터 7월 1일까지 6차 긴급고용안정지원금 신규 신청.접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2 31
Board Pagination Prev 1 ... 796 797 798 799 800 801 802 803 804 805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