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유효기간 지난 모바일 상품권 90% 환불받을 수 있어

- 유효기간 연장, 잔액 환불 요청 등 소비자권리 적극 행사해야 -

모바일 상품권은 구매와 전달, 사용이 편리하여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효기간 연장 및 잔액 환불 거부 등 관련 소비자피해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은 모바일 상품권 관련 소비자불만 현황을 분석하고 소비자인식 및 환불 실태를 조사하였다.

유효기간 관련 불만상담이 전체의 49.6%로 가장 많아

최근 4년간(2013년~2016년)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모바일 상품권’ 관련 소비자불만 상담은 총 496건으로 2015년부터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 (’13년) 110건 → (’14년) 106건 → (’15년) 115건 → (’16년) 165건

※ 1372소비자상담센터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운영하는 전국 단위 소비자상담 통합 콜센터(국번없이 1372)로 소비자단체·한국소비자원·광역지자체가 참여하여 상담을 수행

유형별로는 ‘유효기간’ 관련 불만이 246건(49.6%)으로 가장 많았고, ‘환불 거부’가 102건(20.6%)으로 그 뒤를 이었다.

이용자 상당수는 유효기간 만료 후 미사용 금액의 90% 환불 가능함을 몰라

최근 2년간 모바일 상품권 구매 및 사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260명(52.0%)은 유효기간* 만료 시까지 상품권을 사용하지 못했고, 이 중 117명(45.0%)은 ‘유효기간 만료에 따른 통지를 받지 못했다’고 답했다.

* 물품 및 용역 제공형(기본 3개월)·금액형(기본 1년), 3개월 단위로 연장 가능

또한, 상품권을 사용하지 않은 260명 중 165명(63.5%)은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다’고 응답해 관련 권리를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사대상자 500명 중 390명(78.0%)이 유효기간 만료 후 미사용 금액의 90%를 환불받을 수 있음을 ‘몰랐다’고 답해 상당수 소비자는 관련 정보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조사대상자 500명 중 390명(78.0%)이 유효기간 만료 후 미사용 금액의 90%를 환불받을 수 있음을 ‘몰랐다’고 답해 상당수 소비자는 관련 정보가 부족함을 알 수 있었음

따라서 모바일 상품권 발행업체는 「신유형 상품권 표준약관」 및 ‘소비자분쟁해결기준’을 준수하여 유효기간이 도래하기 7일전 통지를 포함하여 3회 이상 이용자에게 유효기간의 도래, 연장 가능여부와 방법 등을 이메일 또는 문자메시지 등의 방법으로 통지하여야 한다. 아울러 유효기간 만료 후(단, 소멸시효 구매일로부터 5년)에도 잔액의 90% 환불이 가능함을 소비자에게 적극적으로 알릴 필요가 있다.

일부 업체, 잔액 환불 기준을 잘못 표시하거나, 잔액 환불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어

2016년 11월 11일부터 25일까지 모바일 상품권 5개 발행업체*의 잔액 환불 실태를 조사한 결과, ‘SK플래닛’은 모바일 상품권(1만원 이하)에 80% 이상이 아닌 “60% 이상 사용 시 잔액 환불이 가능”하다고 잘못 기재한 경우가 있었으며, ‘윈큐브마케팅’은 발행업체 고객센터와 제휴업체 고객센터가 서로 책임을 미뤄 잔액 환불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었다.

* 카카오(선물하기), SK플래닛(기프티콘), KT엠하우스(기프티쇼), 윈큐브마케팅(기프팅), CJ E&M(쿠투) 등 물품 및 용역 제공형 상품권과 금액형을 모두 발행하는 업체

※ 정부3.0의 일환으로 관련 사업자와 간담회(2017.3.3)를 가졌고, 해당 업체는 이를 개선하기로 함.

한국소비자원은 모바일 상품권 사업자에게 ▲유효기간 만료에 따른 통지를 강화하고 상품권에 유효기간 연장신청 기간을 구체적으로 표시할 것 ▲표준약관에 따른 금액형 상품권 잔액 환불 기준을 준수할 것을 권고하였다.

아울러 소비자에게는 모바일 상품권 관련 정보를 충분히 숙지하고 소비자권리를 적극적으로 행사할 것을 당부했다.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피해발생 문의처

 

[한국소비자원 2017-03-2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93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0 19
3892 국토종주 자전거길 140km, 새롭게 열린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14 19
3891 카카오톡으로 판매하는 한방 다이어트 보조식품 구매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02 19
3890 안심전세 App 2.0 버전 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30 19
3889 2023년 1/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 보도자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25 19
3888 5.29일 대체공휴일 지정에 따른 금융소비자 유의사항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24 19
3887 「해외직구 결제 639,900원」 전화금융사기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03 19
3886 부적절한 체중조절은 심한 생리통의 위험도를 높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4 19
3885 온라인 다크패턴으로부터 소비자 보호를 위한 정책방향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1 19
3884 23년 1월 주택 통계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8 19
3883 2023년 기본형 공익직불금 신청 유의사항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3 19
3882 '23년부터 근로·자녀장려금 신청이 더 편리해 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3 19
3881 농지연금 가입연령 낮추고 상품 유형도 늘린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1 19
3880 보험영업 및 보험금지급 공시를 강화하기 위해「보험업감독업무 시행세칙」이 개정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14 19
3879 2023년 표준지 및 표준주택 가격 결정·공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25 19
Board Pagination Prev 1 ... 661 662 663 664 665 666 667 668 669 670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