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농림축산식품부장관(장관 김재수, 이하 ‘농식품부’)은 생활 속 꽃 소비 활성화 홍보를 위해 ‘17.2.24부터 3.10일까지 「꽃 소비 생활화 홍보사업」공모를 통해 최종 12개 과제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 올해는 지난해와 다르게 청탁금지법 시행으로 위축된 꽃 소비 활성화와 화훼분야 핵심이슈 등을 반영하여 꽃 생활화(1 table 1 flower) 운동, 대학생 One Day Class 동 총 8개 과제를 발굴하여 사업공모를 실시하였다. ○ 심사는 (사)한국화훼협회 등 11개 단체에서 신청한 꽃 텃밭 학교 운영 등 총 17개 과제에 대해 교수, 연구원 등 화훼관련 분야 전문가로 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기준에 따라 심사를 실시하였다. ○ 심사결과, 어린이 꽃 생활화 체험교육, 대학생 One Day Class, 착한꽃집 인증제 등 최종 12개 과제를 선정하였고, 선정된 과제에 대해서는 사업추진에 필요한 사업비를 사업내용에 따라 차등(20~100백만원)하여 지원한다. □ 이번에 선정된 과제는 크게 어린이, 청소년 등을 대상으로 꽃 생활화 체험교육과 꽃집 인증제, 사무실 꽃 생활화 운동, 꽃 직거래장터 등 소비자 접점에서 일상 속 꽃 생활화 확산 과제로 나누어 선정했다. ○ 꽃 생활화 체험교육은 꽃다발 만들기 이외에 학생들이 꽃 텃밭 정원을 만들어 꽃씨와 모종을 심고, 텃밭 관리, 수확물 이용 체험을 하는 꽃 텃밭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 일상 속 꽃 생활화는 꽃 생활화 운동을 확산하기 위한 기업, 기관을 찾아가는 1 table 1 flower 설명회와 꽃꽂이 강습을 실시하여 꽃 생활화 참여를 유도하고, - 화원(꽃집)을 소비자 접점에서 꽃 생활화 핵심주체로 육성하기 위해 전국 화원(16,491업체)을 대상으로 착한꽂집 인증제를 시행하고, 주요 관광지 등에서 정례적으로 화훼농가가 생산한 꽃을 소비자를 대상으로 저렴하게 판매는 꽃 직거래장터도 운영한다. □ 참고로 지난해에는 꽃 생활화 체험교육(58개 학교, 7,551명), 착한꽃집 선정(96개 업체), 꽃 직거래장터(13회), 신화환 홍보(5회) 등의 꽃 생활화 홍보사업을 추진하였다. □ 농식품부 유통소비정책관은 “올해는 청탁금지법 시행으로 위축된 화훼 소비 활성화를 하기 위한 과제와 어린이, 청소년, 사회배려계층 등에게 꽃 체험기회 제공하여 꽃 소비 생활화 저변을 확대하는 과제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 아울러, “내년에는 꽃 생활화에 대한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사업추진 역량을 갖춘 많은 화훼 단체들이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 2017-03-1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130 의류용 합성세제, 가격과 세척성능 잘 따져봐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08 102
10129 의류용 합성세제 비교정보 생산 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08 138
10128 의류용 표백제, 제품에 따라 얼룩 제거성능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16 14
10127 의류용 중성세제, 오염 종류에 따라 제품별 세척력 달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0.11 9
10126 의류건조기(9~10kg), 건조도·건조시간 등 성능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14 69
10125 의류‧신발 등 해외구매 품목 소비자피해주의보 발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2 70
10124 의류·식음료업종 표준대리점계약서 개정안 공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04 15
10123 의류 해외직구 시 가격 꼼꼼히 비교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03 13
10122 의료행위와 건강관리서비스 구분 기준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0 45
10121 의료전문가 까지 동원한 허위.과대광고 점검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10 16
10120 의료인 명찰 고시 시행, 환자·의료인 간 신뢰 강화 계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11 48
10119 의료용겔 유통.판매금지 및 회수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09 34
10118 의료용 전동스쿠터 제품별 품질 및 안전성에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12 51
10117 의료용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기술 적용된 제품의 의료기기 해당 여부 구분 기준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24 38
10116 의료용 마약류 졸피뎀 '사전알리미'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04 19
Board Pagination Prev 1 ...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