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재수)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여인홍)는 과자류 시장에 대한 시장 현황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시장규모) 과자류*의 ‘15년도 국내 시장규모(출하액 기준)는 3조 3,462억원으로, 가공식품 중 6.4%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 식품공전에 따르면 식물성원료 등을 주원료로 하여 이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하여 가공한 과자(비스킷, 웨이퍼, 쿠키, 크래커, 한과류, 스낵과자 등), 캔디류(사탕, 캐러멜, 양갱, 젤리 등), 추잉껌, 빙과류가 해당됨, 다만 금번 조사에서 빙과류는 제외함
‘11년에 비해 30.4%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6.9%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품목별로는 스낵과자류가 42.2%로 비중이 가장 크며, ’15년 출하액 기준 1조 4,116억원 규모이다.
캔디류 중 양갱의 시장규모는 ‘15년 출하액 기준 215억원으로 ‘11년 81억원 대비 164.9% 성장하였고, 젤리도 같은 기간 동안 135.6% 증가하였다.
- 반면, 기타 캔디류, 캐러멜, 추잉껌의 시장규모는 ’11년 대비 각각 25.7%, 71.7%, 31.7% 감소하였다. 한편 국제 시장조사기관인 Canadean에 따르면 세계 과자류 시장 규모는 ‘15년 기준 약 2,211억 달러(250.4조원)이며, 우리나라는 1.3%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입) 과자류 중 과자의 수출액은 ’15년 기준 2억 5,163만 달러이고, 수입액은 2억 4,329억 달러로 나타났다.
‘14년까지만 해도 수출액에 비해 수입액 규모가 컸으나, 연평균 수출증가율(15.6%)이 수입증가율(8.3%)보다 높아 ’15년부터는 수출액이 수입액을 초과했다. 주요 수출국은 중국(40.4%), 미국(14.0%), 홍콩(6.7%) 등의 순이며, 이들 3개국이 전체의 61.1%를 차지하고 있다.
한편 최근 5년간 한류 등의 영향으로 싱가포르(316.7%), 말레이시아(297.7%), 필리핀(194.8%) 등 동남아 3개국의 수출 증가세가 높게 나타났다.
- 또한 사우디아라비아(141.8%), 아랍에메리트연합(60.7%) 등 중동 2개국의 수출액도 증가하였다. 과자의 주요 수입국은 미국(20.2%), 말레이시아(17.3%), 중국(13.8%) 등의 순이며, 이들 3개국이 전체의 51.3%를 차지하고 있다.
‘11년 이후 수입증가율이 가장 높은 나라는 이탈리아(264.7%)로 나타났는데, 이는 최근 웨하스를 포함한 ’와플과 웨이퍼‘ 품목의 수입액이 ’11년 이후 528.5%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 이탈리아에서의 ‘와플과 웨이퍼(HS코드 1905.32)’ 수입 현황
- 수입액(천$): (’11) 1,881 → (’15) 11,823 (528.5% ↑) (유통) 과자류는 기업과 소비자간 거래(B2C) 시장으로 유통되는 비중이 약 98%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오프라인 소매채널 중 대형할인점(25.7%), 체인슈퍼(23.1%), 독립슈퍼(21.5%)에서 주로 판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특성) 과자류 구입에 대한 소비자 조사 결과, 과자를 구입할 때 ‘늘 먹던 과자의 맛이 나는 제품만 주로 먹는다’는 응답이 44.2%로 가장 많아, 과자류는 맛에 대한 소비자의 충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자류 생산 및 수출입 현황, 유통·판매 현황, 소비특성 등 ‘정부 3.0 맞춤형 정보’는 식품산업통계정보시스템(www.aTFIS.or.kr)에 게재된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과자류 시장)’을 통해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박병홍 식품산업정책관은 “과자류가 동남아, 중동 국가를 중심으로 수출이 급증하고 있어 수출 유망품목으로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밝히며,
“수출을 늘리기 위해 중국 등 주요 수출국의 글로벌 온라인·모바일 쇼핑몰 내 ‘한국식품전용관’ 개설을 확대하는 등 현지 마케팅을 지원하고, 수출 대상국별 시장현황, 소비자 선호 등 관련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겠다”고 하였다.

[농림축산식품부 2017-03-1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785 우회전 일시정지 위반행위, 4월 22일부터 본격 단속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0 92
9784 우한시 원인불명 폐렴관련 국내 조사대상 유증상자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09 39
9783 우체국 보험 · 택배 피해도 소비자원에서 구제 가능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12 101
9782 우유팩 모양 바디워시 등 식품 모방 화장품 못판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8.18 33
9781 우유 성분 함유 사실을 표기하지 않은 미스터 브라운 커피(Mr. Brown Coffee)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07 187
9780 우유 및 수산물 잔류물질 검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28 7
9779 우울증으로 자살한 군 간부, 순직 인정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5 110
9778 우울·불안으로 힘든 청소년의 치유를 디딤센터가 도와 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05 13
9777 우울·불안으로 마음이 힘든 청소년, 디딤센터로 오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01 11
9776 우수판매업소 지원 확대 및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7 80
9775 우수 식재료 공급업체, 한 눈에 확인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13 81
9774 우수 부동산 서비스 사업자 정부 인증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3 34
9773 우수 농식품, 모바일로 즐기며 쇼핑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6 72
9772 우선지급금 환급금 납부기한 연장(8월말→12월말)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06 37
9771 우박 피해현황 및 대책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05 64
Board Pagination Prev 1 ...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