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재수)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여인홍)는 과자류 시장에 대한 시장 현황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시장규모) 과자류*의 ‘15년도 국내 시장규모(출하액 기준)는 3조 3,462억원으로, 가공식품 중 6.4%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 식품공전에 따르면 식물성원료 등을 주원료로 하여 이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하여 가공한 과자(비스킷, 웨이퍼, 쿠키, 크래커, 한과류, 스낵과자 등), 캔디류(사탕, 캐러멜, 양갱, 젤리 등), 추잉껌, 빙과류가 해당됨, 다만 금번 조사에서 빙과류는 제외함
‘11년에 비해 30.4%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6.9%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품목별로는 스낵과자류가 42.2%로 비중이 가장 크며, ’15년 출하액 기준 1조 4,116억원 규모이다.
캔디류 중 양갱의 시장규모는 ‘15년 출하액 기준 215억원으로 ‘11년 81억원 대비 164.9% 성장하였고, 젤리도 같은 기간 동안 135.6% 증가하였다.
- 반면, 기타 캔디류, 캐러멜, 추잉껌의 시장규모는 ’11년 대비 각각 25.7%, 71.7%, 31.7% 감소하였다. 한편 국제 시장조사기관인 Canadean에 따르면 세계 과자류 시장 규모는 ‘15년 기준 약 2,211억 달러(250.4조원)이며, 우리나라는 1.3%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입) 과자류 중 과자의 수출액은 ’15년 기준 2억 5,163만 달러이고, 수입액은 2억 4,329억 달러로 나타났다.
‘14년까지만 해도 수출액에 비해 수입액 규모가 컸으나, 연평균 수출증가율(15.6%)이 수입증가율(8.3%)보다 높아 ’15년부터는 수출액이 수입액을 초과했다. 주요 수출국은 중국(40.4%), 미국(14.0%), 홍콩(6.7%) 등의 순이며, 이들 3개국이 전체의 61.1%를 차지하고 있다.
한편 최근 5년간 한류 등의 영향으로 싱가포르(316.7%), 말레이시아(297.7%), 필리핀(194.8%) 등 동남아 3개국의 수출 증가세가 높게 나타났다.
- 또한 사우디아라비아(141.8%), 아랍에메리트연합(60.7%) 등 중동 2개국의 수출액도 증가하였다. 과자의 주요 수입국은 미국(20.2%), 말레이시아(17.3%), 중국(13.8%) 등의 순이며, 이들 3개국이 전체의 51.3%를 차지하고 있다.
‘11년 이후 수입증가율이 가장 높은 나라는 이탈리아(264.7%)로 나타났는데, 이는 최근 웨하스를 포함한 ’와플과 웨이퍼‘ 품목의 수입액이 ’11년 이후 528.5%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 이탈리아에서의 ‘와플과 웨이퍼(HS코드 1905.32)’ 수입 현황
- 수입액(천$): (’11) 1,881 → (’15) 11,823 (528.5% ↑) (유통) 과자류는 기업과 소비자간 거래(B2C) 시장으로 유통되는 비중이 약 98%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오프라인 소매채널 중 대형할인점(25.7%), 체인슈퍼(23.1%), 독립슈퍼(21.5%)에서 주로 판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특성) 과자류 구입에 대한 소비자 조사 결과, 과자를 구입할 때 ‘늘 먹던 과자의 맛이 나는 제품만 주로 먹는다’는 응답이 44.2%로 가장 많아, 과자류는 맛에 대한 소비자의 충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자류 생산 및 수출입 현황, 유통·판매 현황, 소비특성 등 ‘정부 3.0 맞춤형 정보’는 식품산업통계정보시스템(www.aTFIS.or.kr)에 게재된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과자류 시장)’을 통해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박병홍 식품산업정책관은 “과자류가 동남아, 중동 국가를 중심으로 수출이 급증하고 있어 수출 유망품목으로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밝히며,
“수출을 늘리기 위해 중국 등 주요 수출국의 글로벌 온라인·모바일 쇼핑몰 내 ‘한국식품전용관’ 개설을 확대하는 등 현지 마케팅을 지원하고, 수출 대상국별 시장현황, 소비자 선호 등 관련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겠다”고 하였다.

[농림축산식품부 2017-03-1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06 1381 인증표준콜센터, 시장진출을 위해 기업과 함께 뛴 3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8 55
3805 저울 불신 이제 그만, 소비자가 직접 나선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8 57
3804 생분해성 수지제 바르게 알고 사용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8 56
3803 ‘간이역이 있는 농촌’으로 떠나는 농촌 테마 여행코스 선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8 55
3802 질병관리본부, 봄철 야외활동시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감염 주의당부 !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8 58
3801 어린이.청소년, B형 인플루엔자 감염 주의 당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8 47
3800 담배규제, 경제발전을 촉진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8 58
3799 고혈압·당뇨병, 동네의원 정해놓고 진료 받으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8 55
3798 연체사실 등 알림서비스를 담보제공자에게 확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8 56
3797 해외 인터넷 직구 식품 구매 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7 66
3796 아동학대 대책(′16.3월) 1년, 아동학대 인식 개선 및 인프라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7 58
3795 지난 겨울 어려운 이웃 34만명에게 긴급생계비 등 복지 지원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7 54
3794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 확대에 국민 84% “좋아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7 59
3793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보험안내장에 표시된 내용이 보험약관보다 우선한다고 결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7 122
3792 금융꿀팁 200선 - (41) 교통사고 시 자동차보험 활용 노하우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7 56
Board Pagination Prev 1 ... 664 665 666 667 668 669 670 671 672 673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