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가족과 함께 2년 동안 해외 출장을 다녀온 김 모 씨(50세, 남)는 출장가면서 본인 소유 차량을 친척한테 빌려주고 갔는데 귀국 후 얼마 되지 않아서 자동차세 및 속도위반 등 각종 체납금 때문에 차량이 압류됐다는 우편물을 받아 보게 됐다.

김 씨는 지인이 본인 차량이 맘에 든다고 좋은 가격에 사겠다고 하여 팔고 싶은데, 귀국 후 바쁜 업무 때문에 시간이 없던 차에 동료직원으로부터 자동차대국민 포털에서 자동차압류를 한 번에 해제할 수 있다는 얘기를 듣게 되었다. 이에, 김 씨는 사무실에서 인터넷에 접속하여 차량에 걸린 압류내역을 조회하고 안내된 방법으로 체납금을 납부했더니 압류가 해제된 것을 바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제 “자동차 대국민 포털 사이트(www.ecar.go.kr, 이하 자동차 포털)”를 통해 자동차에 걸려있는 모든 압류를 한 번에 해제할 수 있게 된다.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와 교통안전공단(이사장 오영태)는 13일부터 자동차 소유자가 자동차에 걸려 있는 모든 압류사항을 인터넷을 통해 조회하고 해제할 수 있는 편리하고 유용한 ‘자동차압류해제 인터넷서비스’를 실시한다.

그동안은 민원인이 자동차 관련 체납금을 납부하고 압류해제 사실을 확인하기 위해 해당 시·군·구청이나 경찰서 등 각 기관*을 직접 방문하거나 일일이 전화로 확인해야 하는 등 불편함이 많았다.

* 압류를 촉탁하는 기관은 대부분 시도 및 시군구 등 지자체와 경찰서 등임

※ 전체 2,200만대중 압류 1건 이상인 차량이 약 520만대(총압류건수 : 4,950만건)로, 1대당 평균 압류건수는 9.4건 (‘17.2월 통계 기준)

국토교통부는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행정자치부, 경찰청, 한국도로공사(이하 도공) 등 유관기관 시스템*을 연계하여, 교통범칙금·자동차세·고속도로 통행료 등 각 기관별 자동차관련 체납금을 한 사이트에서 납부하고 압류해제 사실을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구축했다.

* 행자부 : 위택스, 경찰청 : 인터넷납부사이트(e-fine), 도공 : 인터넷납부사이트(ex card)

이번에 연계 시스템을 구축해 이사 등으로 체납금 고지서 등을 받아보지 못하더라도 인터넷으로 체납금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되어, 가산금 부과 등 자동차 소유자의 경제적 손해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동차 압류해제 인터넷 서비스는 별도의 회원가입 절차 없이 인터넷에서 자동차 포털로 접속하여 공인인증서로 본인임을 인증한 후에 이용이 가능하다.

자동차 포털에서 “압류조회·해제” 메뉴를 선택한 후 본인의 자동차 등록번호를 입력하면 압류현황과 각 기관별 체납현황을 조회할 수 있다. 압류를 해제하려면 가상계좌로 납부하거나 기관 자체 납부 사이트로 연결되어 체납금을 납부한 후 다시 조회하면 압류해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국토교통부 김채규 자동차관리관은 “이번 서비스를 통해 자동차 관련 업무의 대국민 편의성이 크게 증대되고 각 행정기관의 체납률 감소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에 덧붙여 “앞으로도 자동차와 관련하여 국민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정보서비스를 적극 발굴하여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국토교통부 2017-03-0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70 식품용 유리제 기구.용기 올바른 사용법 !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1 61
3769 관할 시·군·구 모든 읍·면·동에서 주민등록증 신규로 발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1 53
3768 ‘암예방 가능하다’인식, 10년간 크게 향상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1 56
3767 소비자 권익제고를 위한 변액보험 적합성 진단제도 개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1 66
3766 청호이지캐쉬 ATM 악성코드 감염에 따른 대응 조치 및 금융소비자 유의사항 안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1 60
3765 행복드림 열린소비자포털 1단계 서비스 정식 개통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1 55
3764 죽음의 공포, 공황장애 겪는 노인 70대 이상 3.4배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0 69
3763 식약처, ‘위해식품판매차단시스템’ 확대로 안심 쇼핑환경 조성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17 63
3762 봄철 조리된 식품 보관온도를 사수하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17 62
3761 금속 이물 혼입 기타가공품 제품 회수 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17 67
3760 화훼 소비 활성화 교육·홍보사업 추진과제 선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17 125
3759 봄의 불청객, ‘알레르기성 결막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17 76
3758 한국지엠, 두카티 리콜 실시(총3개 차종 66,014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17 54
3757 P&G 기저귀에서 다이옥신, 살충제 성분 미검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16 60
3756 국표원, 신학기용품 및 생활용품 18개 제품 리콜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16 64
Board Pagination Prev 1 ... 670 671 672 673 674 675 676 677 678 679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