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일부 공공시설 장애인 통행 어렵고 안전사고 발생우려 있어

- 접근로 및 주출입구 경사로 기울기 기준 초과 -

공공시설 중 일부는 건물에 진입하는 접근로 및 주출입구가 장애인 편의시설 기준에 부적합해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이하 장애인등) 사회적 약자들의 통행이 어렵고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장애인·노인·임산부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제3조(편의시설의 설치)는 장애인등이 공공건물 및 공중이용 시설 이용 시 최대한 편리한 방법으로 최단거리로 이동할 수 있도록 편의시설을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은 장애인등의 이용도가 높은 서울·경기지역 공공복지시설 및 문화시설 50곳을 대상으로 접근로 및 주출입구의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실태를 조사했다.

접근로 및 주출입구 경사로 기울기 기준 초과, 안전사고 발생 우려 있어

‘접근로’는 외부에서 건축물 주출입구로 연결되는 통행로로 경사가 가파르면 휠체어가 전진하지 못하거나 뒤로 밀려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접근로가 있는 시설 총 43곳 중 31곳(72.1%)은 기울기가 기준(약 4.76˚)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 접근로의 기울기는 18분의 1(약 3.18˚) 이하로 하여야 하나 지형상 곤란한 경우에는 12분의 1(약 4.76˚)까지 완화할 수 있음.

또한, 조사대상 시설 50곳의 ‘주출입구’ 모두 턱을 없애거나 경사로를 설치하였으나, 경사로가 설치된 36곳 중 26곳(72.2%)은 기울기가 기준(약 4.76˚)을 초과하여 휠체어의 통행이 어렵고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경사로의 기울기는 12분의 1(4.76˚)이하, 세 가지 요건(붙임 참조)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는 8분의 1 (7.12˚)까지 완화할 수 있음.

접근로 및 주출입구 경사로 기울기 기준 초과

보행장애물 및 경사로 시설 미흡으로 출입도 쉽지 않아

조사대상 시설 50곳은 장애인등의 이용도가 높은 복지·문화시설임에도 시설주나 이용자들의 인식이 부족해 장애인등의 출입 자체를 어렵게 하거나 보행안전을 위협하고 있었다.

접근로에는 통행에 지장을 주는 보행장애물이 없어야 하나, 접근로가 있는 시설 43곳 중 19곳(44.2%)은 자동차가 주차되어 있거나 기준에 맞지 않는 볼라드*가 설치되어 있었다.

* 차량의 진입을 막기 위해 차도와 보도의 경계면에 설치하는 구조물

또한, 주출입구 경사로의 시작과 끝, 굴절부분 및 참*에는 휠체어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1.5m×1.5m 이상의 수평면으로 된 활동공간을 확보해야 하나, 조사대상 경사로 36곳 중 13곳(36.1%)은 활동공간이 충분치 않거나 경사가 있어 미흡하였다. 더욱이 활동공간이 확보된 23곳 중 3곳도 자동차나 자전거가 주차되어 있거나 폐형광등 보관함 등이 설치되어 있어 휠체어의 통행을 막고 있었다.

* 경사로의 바닥면으로부터 높이 0.75m 이내마다 휴식을 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수평면으로 된 공간

보행장애물 및 경사로 시설 미흡으로 출입 어려움

한국소비자원은 장애인 안전 확보를 위해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및 관리감독 강화를 관계부처 및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건의할 예정이다. 아울러 시설이용자에게는 접근로 및 주출입구 주변에 통행에 방해되는 주차를 삼가는 등 모두가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협조해 줄 것을 당부했다.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피해발생 문의처

[한국소비자원 2017-03-0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345 공영주차장 68곳 조성에 651억 투입…주차난 해소 총력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8 44
5344 아우디, FCA, 르노, 스즈키, KTM 리콜실시(총 21개 차종 25,600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8 42
5343 실손의료보험의 전환,중지 등 연계제도를 마련하여 생애주기에 따라 중단없는 보장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8 43
5342 개정 고발지침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8 78
5341 유연근무제, 궁금함을 쏙쏙 풀어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6 56
5340 대부업 등의 등록 및 금융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 개정령안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6 33
5339 생활과 밀접한 주민등록 인감 제도혁신으로 더 나은 주민의 삶을 만들어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6 44
5338 자연공원 내 대피소에서 음주 못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6 35
5337 미투! 신원 노출 걱정 말고 적극 신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6 27
5336 달걀 자가품질검사 의무화 시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6 42
5335 "국민 여러분~, 생활 속 불편 법령과 제도 확 바꿀 아이디어 주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6 92
5334 방문판매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6 31
5333 2018년 2월 소비자물가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6 31
5332 가습기살균제 표시 관련 존속회사인 SK디스커버리도 고발키로 결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5 48
5331 정보보호서비스 계약, 표준계약서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5 38
Board Pagination Prev 1 ... 565 566 567 568 569 570 571 572 573 574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