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자살시도자 마음까지 보듬는 응급실 늘어난다

- 응급실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확대(27개소 → 42개소) -
-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기금으로 의료비도 지원(연간 4억원) -

□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을 총 27개에서 42개 응급실로 확대 시행한다고 밝혔다.

□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은 병원 응급실에 배치된 전문 상담인력이 자살시도자에게 전화 또는 방문상담을 제공하여 자살재시도를 예방하는 사업이다.
○ 2013년 8월부터 2015년까지 사업을 분석한 결과, 자살시도자의 사망률을 절반이하로 낮춘 성과가 입증*되었다.
* 서비스 非수혜자의 사망률은 14.6%, 서비스 수혜자의 사망률은 5.9%

○ 보건복지부는 사업수행기관을 공모・심사한 결과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강원대학교병원, 국립중앙의료원 등 15개 응급실에서 추가 실시하게 되었다.

□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을 시행하는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는 치료비도 지원받을 수 있다.
○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의 기금으로 지원되는 치료비는 1인당 최대 3백만원까지 지원되는데, 총 지원액이 2016년 2억5천만원에서 2017년에는 4억원으로 확대되었다.

□ 삶의 막다른 골목에서 극단적인 선택을 시도했다가 새로운 삶을 찾은 사례들도 많다.
○ 전라북도 익산시 20대 여성 A氏는 14살 때 어머니가 집을 나간 후 알코올중독에 걸린 아버지와 어렵게 살다 아버지마저 돌아가시자 음주와 자해, 자살시도를 반복하였다.
- 응급실에서 만난 사례관리자는 A氏에게 의료비를 지원받도록 하고 정신건강의학과 입원치료를 받게 하는 한편 알코올 의존도를 낮추도록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 연계하였다.
- 소식이 끊어진 어머니를 다시 만날 수 있도록 돕고 거의 매일같이 A氏와 전화 상담을 한 결과, 지금은 아르바이트를 하며 사회복지사와 미용사가 되겠다는 꿈을 키우고 있다.
○ 경기도 부천시 50대 여성 B氏는 10년 전 이혼 후 일용직으로 일해 왔으나 손목인대가 손상되어 일자리를 잃고, 자살을 시도하였다.
- 사례관리자는 자살시도로 입은 상처를 치료할 비용도 없이 무작정 퇴원한 B氏를 설득하여 정신건강증진센터로 연계하였다.
- 정신건강증진센터의 도움으로 우울증을 치료받고, 생계비지원과 의료급여 대상으로 선정된 B氏는 이제 안정을 되찾아가고 있다.


○ 경기 고양시 10대 청소년 C군은 부모님의 이혼 후 재혼한 아버지와 생활하다 아버지가 수감생활을 하게 된 후부터 가족과 갈등이 깊어지면서 자살을 시도하였다.
- 사례관리자는 병원과 정신건강증진센터, 학교와 연계하여 C군이 성인이 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 C군은 의료비지원을 통해 치료를 무사히 마치고, 생활시설로 옮겨 생활하며 여느 청소년들처럼 장난기 많은 모습을 되찾은 뒤 지난 2월 고등학교를 무사히 졸업하였다.

□ 제주대학교 병원에서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을 운영 중인 응급의학과 강영준 교수는 “자살시도로 응급실을 찾은 환자들은 자살시도로 인한 상처나 중독을 치료하는 것 못지않게 사후관리가 중요하다”며,
○ “응급실을 나간 후 다시 극단적인 선택을 하지 않도록 정신과 치료나 사회・경제적 지원 등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도록 도와야 한다.”로 강조하였다.

□ 한편 정진엽 보건복지부 장관은 3일(금) 오전 제주대학병원을 방문하여 각 응급실 사업 실무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격려할 예정이다.
○ 정 장관은 이날, “우리나라 자살률이 2011년 31.7명에서 2015년 26.5명으로 감소한 것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정성을 다해 일하는 현장실무자들이 있기 때문”이라며
- “앞으로도 생명을 살리는 중요한 일을 한다는 사명감을 갖고 일해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 2017-03-0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30 2020년 공동주택 공시가격(안) 19일부터 열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18 17
3229 건설업.벌목업 고용.산재보험료,3월 31일까지 신고.납부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16 17
3228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소독 안내(제2-1판) 배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11 17
3227 마스크 5부제 시행 관련, 주민등록표 등본 발급 수수료 면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10 17
3226 도시재생 UN 청년전문봉사단에 도전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11 17
3225 소비자 대상 직접(DTC) 유전자검사를 받을 때 주의사항과 활용방법을 알려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09 17
3224 98만 가구에 장려금 반기신청 안내, 신청기한 연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03 17
3223 2019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시군별 주요고용지표 집계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5 17
3222 2020년 대기업집단 소속회사 변동현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03 17
3221 같은 영유아에 대하여 부부 동시 육아휴직 허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31 17
3220 상속・증여세 과세형평성 제고를 위한 꼬마빌딩 등 감정평가사업 시행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31 17
3219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하니 사망자 68%, 교통사고 30% 줄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29 17
3218 주차장 안전강화를 위한「주차장법 시행규칙」개정 추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22 17
3217 「통합연금포털」 홈페이지 전면 개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20 17
3216 ’19년말 주민등록 인구 5,185만명, 1년간 2만 명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13 17
Board Pagination Prev 1 ... 706 707 708 709 710 711 712 713 714 715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