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자살시도자 마음까지 보듬는 응급실 늘어난다

- 응급실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확대(27개소 → 42개소) -
-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기금으로 의료비도 지원(연간 4억원) -

□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을 총 27개에서 42개 응급실로 확대 시행한다고 밝혔다.

□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은 병원 응급실에 배치된 전문 상담인력이 자살시도자에게 전화 또는 방문상담을 제공하여 자살재시도를 예방하는 사업이다.
○ 2013년 8월부터 2015년까지 사업을 분석한 결과, 자살시도자의 사망률을 절반이하로 낮춘 성과가 입증*되었다.
* 서비스 非수혜자의 사망률은 14.6%, 서비스 수혜자의 사망률은 5.9%

○ 보건복지부는 사업수행기관을 공모・심사한 결과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강원대학교병원, 국립중앙의료원 등 15개 응급실에서 추가 실시하게 되었다.

□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을 시행하는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는 치료비도 지원받을 수 있다.
○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의 기금으로 지원되는 치료비는 1인당 최대 3백만원까지 지원되는데, 총 지원액이 2016년 2억5천만원에서 2017년에는 4억원으로 확대되었다.

□ 삶의 막다른 골목에서 극단적인 선택을 시도했다가 새로운 삶을 찾은 사례들도 많다.
○ 전라북도 익산시 20대 여성 A氏는 14살 때 어머니가 집을 나간 후 알코올중독에 걸린 아버지와 어렵게 살다 아버지마저 돌아가시자 음주와 자해, 자살시도를 반복하였다.
- 응급실에서 만난 사례관리자는 A氏에게 의료비를 지원받도록 하고 정신건강의학과 입원치료를 받게 하는 한편 알코올 의존도를 낮추도록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 연계하였다.
- 소식이 끊어진 어머니를 다시 만날 수 있도록 돕고 거의 매일같이 A氏와 전화 상담을 한 결과, 지금은 아르바이트를 하며 사회복지사와 미용사가 되겠다는 꿈을 키우고 있다.
○ 경기도 부천시 50대 여성 B氏는 10년 전 이혼 후 일용직으로 일해 왔으나 손목인대가 손상되어 일자리를 잃고, 자살을 시도하였다.
- 사례관리자는 자살시도로 입은 상처를 치료할 비용도 없이 무작정 퇴원한 B氏를 설득하여 정신건강증진센터로 연계하였다.
- 정신건강증진센터의 도움으로 우울증을 치료받고, 생계비지원과 의료급여 대상으로 선정된 B氏는 이제 안정을 되찾아가고 있다.


○ 경기 고양시 10대 청소년 C군은 부모님의 이혼 후 재혼한 아버지와 생활하다 아버지가 수감생활을 하게 된 후부터 가족과 갈등이 깊어지면서 자살을 시도하였다.
- 사례관리자는 병원과 정신건강증진센터, 학교와 연계하여 C군이 성인이 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 C군은 의료비지원을 통해 치료를 무사히 마치고, 생활시설로 옮겨 생활하며 여느 청소년들처럼 장난기 많은 모습을 되찾은 뒤 지난 2월 고등학교를 무사히 졸업하였다.

□ 제주대학교 병원에서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을 운영 중인 응급의학과 강영준 교수는 “자살시도로 응급실을 찾은 환자들은 자살시도로 인한 상처나 중독을 치료하는 것 못지않게 사후관리가 중요하다”며,
○ “응급실을 나간 후 다시 극단적인 선택을 하지 않도록 정신과 치료나 사회・경제적 지원 등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도록 도와야 한다.”로 강조하였다.

□ 한편 정진엽 보건복지부 장관은 3일(금) 오전 제주대학병원을 방문하여 각 응급실 사업 실무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격려할 예정이다.
○ 정 장관은 이날, “우리나라 자살률이 2011년 31.7명에서 2015년 26.5명으로 감소한 것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정성을 다해 일하는 현장실무자들이 있기 때문”이라며
- “앞으로도 생명을 살리는 중요한 일을 한다는 사명감을 갖고 일해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 2017-03-0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10 질병관리본부, 국내 발생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인체감염 위험성은 매우 낮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8 59
3709 동남아 여행 시 설사감염병 발생 주의 당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8 56
3708 민자고속도로 통행료 분석 보도자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8 66
3707 학교 성폭력 민원, 초등학교가 가장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7 86
3706 위법행위와 관련 없는 인수업체에 부과한 과징금 취소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7 59
3705 “회수 가능한 대금을 부실 자산으로 본 것은 잘못”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7 92
3704 개인용 소변분석기에 대한 올바른 사용방법 안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7 70
3703 2017년 화훼 소비 활성화 대책 본격 추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7 75
3702 구제역․AI 발생 동향 및 방역 추진 상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7 62
3701 미국산 병아리, 계란, 닭고기 수입금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7 56
3700 뇌종양, 시공간적 유전체 분석으로 정밀의료 실현에 다가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7 62
3699 금융꿀팁 200선 - ETF 투자시 유의사항 8가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7 104
3698 「정당한 보험금 지급관행 확립」 추진실적 및 향후계획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7 64
3697 통장을 빌려주면 돈을 준다는 불법 문자메시지 급증, 소비자경보 발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7 56
3696 자살보험금 제재관련 향후 처리계획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7 59
Board Pagination Prev 1 ... 674 675 676 677 678 679 680 681 682 683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