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자살시도자 마음까지 보듬는 응급실 늘어난다

- 응급실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확대(27개소 → 42개소) -
-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기금으로 의료비도 지원(연간 4억원) -

□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을 총 27개에서 42개 응급실로 확대 시행한다고 밝혔다.

□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은 병원 응급실에 배치된 전문 상담인력이 자살시도자에게 전화 또는 방문상담을 제공하여 자살재시도를 예방하는 사업이다.
○ 2013년 8월부터 2015년까지 사업을 분석한 결과, 자살시도자의 사망률을 절반이하로 낮춘 성과가 입증*되었다.
* 서비스 非수혜자의 사망률은 14.6%, 서비스 수혜자의 사망률은 5.9%

○ 보건복지부는 사업수행기관을 공모・심사한 결과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강원대학교병원, 국립중앙의료원 등 15개 응급실에서 추가 실시하게 되었다.

□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을 시행하는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는 치료비도 지원받을 수 있다.
○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의 기금으로 지원되는 치료비는 1인당 최대 3백만원까지 지원되는데, 총 지원액이 2016년 2억5천만원에서 2017년에는 4억원으로 확대되었다.

□ 삶의 막다른 골목에서 극단적인 선택을 시도했다가 새로운 삶을 찾은 사례들도 많다.
○ 전라북도 익산시 20대 여성 A氏는 14살 때 어머니가 집을 나간 후 알코올중독에 걸린 아버지와 어렵게 살다 아버지마저 돌아가시자 음주와 자해, 자살시도를 반복하였다.
- 응급실에서 만난 사례관리자는 A氏에게 의료비를 지원받도록 하고 정신건강의학과 입원치료를 받게 하는 한편 알코올 의존도를 낮추도록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 연계하였다.
- 소식이 끊어진 어머니를 다시 만날 수 있도록 돕고 거의 매일같이 A氏와 전화 상담을 한 결과, 지금은 아르바이트를 하며 사회복지사와 미용사가 되겠다는 꿈을 키우고 있다.
○ 경기도 부천시 50대 여성 B氏는 10년 전 이혼 후 일용직으로 일해 왔으나 손목인대가 손상되어 일자리를 잃고, 자살을 시도하였다.
- 사례관리자는 자살시도로 입은 상처를 치료할 비용도 없이 무작정 퇴원한 B氏를 설득하여 정신건강증진센터로 연계하였다.
- 정신건강증진센터의 도움으로 우울증을 치료받고, 생계비지원과 의료급여 대상으로 선정된 B氏는 이제 안정을 되찾아가고 있다.


○ 경기 고양시 10대 청소년 C군은 부모님의 이혼 후 재혼한 아버지와 생활하다 아버지가 수감생활을 하게 된 후부터 가족과 갈등이 깊어지면서 자살을 시도하였다.
- 사례관리자는 병원과 정신건강증진센터, 학교와 연계하여 C군이 성인이 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 C군은 의료비지원을 통해 치료를 무사히 마치고, 생활시설로 옮겨 생활하며 여느 청소년들처럼 장난기 많은 모습을 되찾은 뒤 지난 2월 고등학교를 무사히 졸업하였다.

□ 제주대학교 병원에서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을 운영 중인 응급의학과 강영준 교수는 “자살시도로 응급실을 찾은 환자들은 자살시도로 인한 상처나 중독을 치료하는 것 못지않게 사후관리가 중요하다”며,
○ “응급실을 나간 후 다시 극단적인 선택을 하지 않도록 정신과 치료나 사회・경제적 지원 등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도록 도와야 한다.”로 강조하였다.

□ 한편 정진엽 보건복지부 장관은 3일(금) 오전 제주대학병원을 방문하여 각 응급실 사업 실무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격려할 예정이다.
○ 정 장관은 이날, “우리나라 자살률이 2011년 31.7명에서 2015년 26.5명으로 감소한 것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정성을 다해 일하는 현장실무자들이 있기 때문”이라며
- “앞으로도 생명을 살리는 중요한 일을 한다는 사명감을 갖고 일해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 2017-03-0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45 추석 연휴, 이웃을 배려하는 마음으로 층간소음 줄여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14 88
3244 2021년 8월 강원도 고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15 68
3243 국민권익위, “지자체마다 상이한 전기·수소차 구매보조금 지급 거주요건 통일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15 56
3242 도시형생활주택·오피스텔 면적은 커지고 공급은 늘어난다... 도심 주거수요 등을 반영한 제도 개선 착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15 86
3241 안전하고 건강하게 추석연휴 보내는 방법Ⅱ (의료제품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15 69
3240 중요한 표시ㆍ광고사항 고시 개정안 행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16 67
3239 국민권익위, ‘사업장 안전’ 관련 적극행정 및 소극행정 집중 신청·신고기간 운영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16 45
3238 볼보, 토요타, 람보르기니, 벤틀리, 포드, 맥라렌 결함시정(리콜) 실시[총 5개사 302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16 67
3237 우리 동네 빈집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 넣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16 74
3236 추석 연휴, 갑자기 아파도 걱정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16 79
3235 해열진통제 효능.효과, 주의사항 확인하고 복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16 80
3234 14,237개 추석명절 무료 개방 주차장 ‘공유누리’에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16 69
3233 국민권익위 국민콜110, 추석 연휴 24시간 정상운영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17 63
3232 「국민연금법」 시행령·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9.17.~10.27.)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17 68
3231 추석 연휴 비대면 문화콘텐츠로 지친 마음을 달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17 62
Board Pagination Prev 1 ... 705 706 707 708 709 710 711 712 713 714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