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글로벌 백신 제품화 지원단’확대․운영 -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는 감염 질환 예방을 통해 국민 건강을 확보하고 생물테러 등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17년 필수예방접종 백신, 대테러 백신 등 28종에 대한 국내 백신 자급율 50%를 목표로 ‘글로벌 백신 제품화 지원단’ 컨설팅 내용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글로벌 백신 제품화 지원단 : 식약처가 `10년부터 필수‧대유행 백신 등의 국내 자급이 가능하도록 국내 백신개발업체 대상으로 집중 기술 지원하는 협의체
○ 이는 국내 백신 개발 및 생산기술 확보를 통해 지구 온난화와 글로벌화 등에 따른 감염병 발생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공중보건 위기 시 국민 보건 확보를 위한 것이다.
※ 15년 메르스 국내 유행시 약 9조원 경제손실 발생(`15.7, 한국경제연구원)

□ 주요 지원 내용은 ▲백신개발 초기 단계 지원 강화 ▲업체 개발 현장 방문을 통한 맞춤형 문제 해결 ▲공공기관까지 ‘지원단’ 컨설팅 확대 등이다.
○ 우선, ‘지원단’내 ‘연구개발분과’를 신설하여 백신의 초기 개발연구에 대한 컨설팅을 강화한다.
○ 백신 개발‧생산 등 현장 방문이 필요한 내용들에 대해서는 ‘지원단’이 업체를 직접 방문하여 애로사항 등을 해소할 예정이다.
○ 또한, 컨설팅 지원대상을 기존 ‘국내 백신 제조업체’에서 질병관리본부 등 공공기관까지 확대한다.
- 특히 올해는 소아마비백신, 소아장염 백신 등 23종 31품목에 대한 개발을 중점적으로 지원한다.
○ 참고로, 지난 `10년부터 `16년까지 ‘지원단’ 컨설팅 등을 통해 세계 최초 세포배양 4가 인플루엔자 백신, 성인용 디프테리아‧파상풍 예방 백신 등 6종 제품을 국산화하였으며, ‘15년 440억원 수입대체 유발효과가 발생하였다.

□ 식약처는 향후 2020년까지 백신 자급율을 70%까지 높이는 등 우리나라 백신 주권 확립을 위하여 국산 개발을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7-02-2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654 스키장 등 겨울철 다중이용시설 내 식품취급업소 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09 44
5653 스키장 등 겨울철 다중이용시설 위생 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11 45
5652 스키장 등 겨울철 다중이용시설 전국 일제 위생점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14 76
5651 스키장 소비자만족도, ‘이용시설 및 부대서비스’ 높고, ‘이용요금’ 은 낮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9 19
5650 스타벅스, 여행용 가방(서머 캐리백) 자발적 리콜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11 20
5649 스타팜(Star Farm)으로 농촌체험 떠나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17 46
5648 스탠드형·뚜껑형 김치냉장고, 용도에 맞는 제품 선택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31 16
5647 스터디카페, 중도 해지 거부와 위약금 과다 청구 피해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30 28
5646 스테로이드 검출 화장품 및 함량 미달 기능성화장품 회수 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16 87
5645 스테로이드 성분 사용 화장품 제조.판매업자 구속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26 115
5644 스테로이드류 등 불법유통 전문의약품, 온라인 구매 안 돼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13 335
5643 스테인리스 조리기구 연마제 제거 꼼꼼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01 39
5642 스텔란티스·비엠더블유·혼다·아우디·현대 등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21 40
5641 스토킹 범죄에 징역형까지 가능해진다! 여성폭력에 대한 국가의 보호·책임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3 45
5640 스토킹범죄 가해자 처벌 규정 및 피해자에 대한 보호절차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27 61
Board Pagination Prev 1 ... 544 545 546 547 548 549 550 551 552 553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