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외식ㆍ배달음식의 이물 혼입 빈도가 가장 높아

- 신체위해 발생은 ‘치아손상’이 가장 빈번해 -

식품에 혼입된 유리ㆍ금속ㆍ벌레 등의 이물(異物)은 인체에 심각한 위해요소로 작용하고, 불쾌감ㆍ혐오감 등을 유발한다.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이하 CISS)에 접수된 식품 이물관련 위해정보를 분석한 결과, 2013년 2,297건, 2014년 1,995건, 2015년 2,583건, 2016년 2,181건으로 지속적으로 접수되고 위해발생도 다발하는 바, 식품업체의 이물 혼입방지 노력 및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최근 4년간 식품 이물 관련 위해정보 현황】 (단위 : 건, (%))
구분2013201420152016합 계
식품관련 위해정보12,0149,27113,07610,26844,629
식품이물 건수2,297(19.1)1,995(21.5)2,583(19.8)2,181(21.2)9,056(20.3)
‘외식ㆍ배달음식’에서 이물혼입이 429건(19.7%)으로 가장 높아

2016년 접수된 식품이물 위해정보 2,181건을 식품종류*별로 분석한 결과, ‘외식ㆍ배달음식(한식·분식 등)’ 429건(19.7%), ‘빵ㆍ떡ㆍ과자류’가 331건(15.2%)으로 이물발생 빈도가 가장 높았고 , ‘음료ㆍ다류ㆍ커피’ 274건(12.6%), ‘특수용도식품(분유ㆍ이유식 등)’ 177건(8.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식품등의 표시기준」 (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 제2016-149호, 2016.12.27)에 따른 분류

【2016년 식품 종류별 이물발생 순위】 (단위 : 건, %)
순위식품 종류건수비율순위식품 종류건수비율
1외식·배달음식(한식·분식등)42919.76식물가공식품(곡류·과일·채소)1366.2
2빵·떡·과자류33115.27면류1285.9
3음료·다류·커피27412.68축산물 및 축산물가공품974.4
4특수용도식품 (영유아·아동용·취약계층용)1778.19기호식품·식품첨가물· 조리식품·냉동식품853.9
5수산물 및 그 가공식품1687.710주류733.3

* 건강식품 등 기타 283건(13.0%)

특히, 이물발생 빈도가 높은 5순위 식품들은 이물 구별 또는 인지 능력이 부족한 영유아ㆍ어린이ㆍ청소년이 다수 섭취하므로 섭취시 보호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축산물 및 축산물가공품의 이물혼입 비율(4.4%)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축산물가공품은 현행 ‘이물보고 대상 식품’에 포함되지 않아 개선이 시급하다.

이물의 종류는 벌레(22.0%)가 가장 많아

2016년 접수된 2,181건을 혼입된 이물종류별로 분석한 결과, ‘벌레’가 480건(22.0%)으로 가장 많았고, ‘금속’ 159건(7.3%), ‘돌ㆍ모래’ 146건(6.7%), ‘머리카락ㆍ털ㆍ손톱 등’ 137건(6.3%), ‘플라스틱’ 105건(4.8%) 등의 순이었다.

【2016년 식품 혼입된 이물 종류 순위】 (단위 : 건, %)
순위이물 종류건수비율순위이물 종류건수비율
1벌레48022.06부유물·불순물·하얀 이물질·검은이물질934.3
2금속1597.37비닐793.6
3돌·모래1466.78나무조각·종이632.9
4머리카락·털·손톱·발톱1376.39유리조각572.6
5플라스틱1054.810뼛조각·이빨532.4

* 기타(실, 그물망 등) 428건(19.6%), 이물 종류 판단이 불가한 381건(17.5%)

특히 소비자의 불쾌감ㆍ혐오감 등을 유발할 수 있는 ‘머리카락ㆍ털ㆍ손톱 등’은 제조공정 중에 유입된 것으로 보이며, ‘벌레’는 유통ㆍ보관 중 발생한 핀홀(pin-hole)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추정된다.
신체상 위해는 ‘치아손상(54.7%)’이 가장 빈번해

2016년 접수된 2,181건 중 437건(20.0%)이 실제 소비자 신체상 위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위해 증상은 ‘치아손상’이 239건(54.7%)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소화기 계통 장기손상 및 통증’ 48건(11.0%), ‘체내 위험 이물질’ 30건(6.9%), ‘기타 장기손상 및 통증’ 26건(5.9%) 등의 순이었다.

‘금속’, ‘돌ㆍ모래’, ‘플라스틱’, ‘유리조각’ 등으로 인한 ‘치아손상’이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2016년 이물혼입으로 인한 신체 위해발생 순위】 (단위 : 건, %)
순위증상건수비율순위증상건수비율
1치아손상23954.76설사153.4
2소화기계통 장기손상 및 통증4811.07결막염 또는 안구손상61.4
3체내 위험 이물질306.98자상(찔림)61.4
4기타 장기손상 및 통증265.99기타 피부 및 피하조직 손상51.1
5구토235.310호흡기계통 장기손상 및 통증40.9

* 두드러기 등 기타 35건(8.0%)

한국소비자원은 식품 이물 혼입 관련 위해사례가 매년 꾸준히 발생함에 따라 소비자 안전사고의 예방을 위해 식품업계(협회)에는 ▲이물 저감화 방안마련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는 ▲축산물가공품의 이물보고 의무화 및 관리·감독 강화를 요청할 예정이다.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피해발생 문의처

[한국소비자원 2017-02-1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280 폭행·갑질 공무원 징계처분, 피해자에게 알려줘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12 75
10279 '2019년부터 이렇게달라집니다' 발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27 75
10278 9월까지 전국 교통사고 사망자 전년 대비 8.5% 감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08 75
10277 뇌 뇌혈관 자기공명영상법(MRI), 손 팔 이식술 등 건강보험 적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4 75
10276 국내 어린이집·유치원 다니는 재외국민도 보육료·유아학비 지원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01 75
10275 조선대학교병원, 첫 권역 감염병 전문병원으로 선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11 75
10274 금융꿀팁 200선 - (5) 착오송금 예방 및 대응요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07 75
10273 집합건축물 내 호텔도, 부지 경계선이 학교 75미터 밖에 있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19 75
10272 안전한 P2P 대출, 가이드라인 준수에서 시작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27 75
10271 잔류농약 기준 초과 곡류가공품 제품 회수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08 75
10270 간장, 전 제품 안전하지만 나트륨 함량은 유형별로 큰 차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06 75
10269 새마을·무궁화호 열차 서비스 크게 개선된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23 75
10268 조리.가공 중 자연 발생되는 벤조피렌! 과일, 채소와 함께 드시면 안심돼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09 75
10267 2017년 화훼 소비 활성화 대책 본격 추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7 75
10266 드론 안전! 이것부터 알고 시작 하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21 75
Board Pagination Prev 1 ...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