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벤조피렌 저감화 연구 결과 발표 -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삼겹살·소고기·소시지 등을 조리·섭취 중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벤조피렌이 사람 몸속에서 일으킬 수 있는 독성(벤조피렌 체내 독성)을 낮추는 데 상추, 양파, 마늘 등이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 이번 결과는 실제 식생활에서 나타나는 벤조피렌 저감화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연구를 통해 채소, 과일 등의 섭취가 벤조피렌 체내 독성을 낮춘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규명한 것이다.
※ 벤조피렌 : 식품 조리․가공시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등이 분해되어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다환방향족탄화수소의 대표적 물질이며,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발암물질(1군)로 분류
※ 해당 연구는 동국대 성정석 교수가 2016년 벤조피렌 저감화 사업 일환으로 수행함

□ 이번 연구는 벤조피렌 생성이 높은 구이류(생선, 육류), 식육가공품, 훈제건조어육 등을 섭취할 때 같이 먹는 식품들이 벤조피렌 체내 독성과 발암성에 작용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 조사 대상 식품은 ▲벤조피렌 생성이 높은 식품인 삼겹살 등과 주로 함께 섭취하는 깻잎, 상추, 마늘 등 채소류 13종 ▲후식으로 먹는 딸기, 사과, 계피, 홍차 등 과일·차 7종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식품 유래 단일성분 27종이다.
※ 채소류 13종 : 검은콩, 깻잎, 대두, 대파, 마늘, 메밀, 무, 미나리, 상추, 샐러리, 쑥, 양배추, 양파
※ 과일등 7종 : 딸기, 사과, 아몬드, 유자, 홍차, 엉겅퀴, 계피
○ 실험 방법은 벤조피렌을 넣은 인간 간암 세포(HepG2)에 식품 20종과 식품 유래 단일성분 27종을 각각 주입한 후 식품별·단일성분별로 벤조피렌 체내 독성 저감율과 발암성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 벤조피렌 체내 독성 저감율은 벤조피렌을 넣은 인간 간암세포에 식품 추출물과 식품 유래 단일성분을 각각 48시간 처리하여 세포 생존율의 변화를 평가하여 산출하였다.
- 발암성 억제효과는 벤조피렌이 사람 몸속에서 대사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발암성분인 부가생성물(BPDE-DNA-adduct)을 어느 정도 줄이는지를 측정하였다.
※ 벤조피렌 대사 부가생성물(BPDE-DNA-adduct): 벤조피렌은 인체 내 대사과정에서 중간대사체 BPDE(bezopyrene-diol-epoxide)를 생성하고 세포 DNA와 반응하여 부가생성물인 BPDE-DNA-adduct를 형성하여 발암성을 나타냄

□ 조사 결과, 세포 생존율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는 수준으로서 벤조피렌 체내 독성 저감율이 15% 이상인 식품은 총 7종으로 샐러리(20.88%), 미나리(18.73%), 양파(18.12%), 상추(15.31%)와 후식으로 먹는 계피(21.79%), 홍차(20.85%), 딸기(18.76%)였다.
○ 벤조피렌 독성 저감율이 15%이상인 식품 유래 단일성분은 총 8종으로서 퀘세틴(36.23%, 양파), 실리마린(29.59%, 엉컹퀴), 커큐민(28.35%, 강황), 미리세틴(23.97%, 마늘), 타마리세틴(22.98%, 쑥), 유제놀(18.61%, 계피), 캠퍼롤(17.48%, 상추), 아스코르빈산(16.26%, 사과 등)이었다.
○ 벤조피렌 체내 독성 저감율이 높은 식품 7종과 단일성분 8종은 발암 가능성도 낮추는 효과를 보였다.
- 식품에서는 상추(60%), 홍차(45%), 양파(40%), 샐러리(20%)순으로 발암성 억제 효과를 보였고, 단일성분에서는 미리세틴(65%, 마늘), 아스코르빈산(50%, 사과 등), 캠퍼롤(45%, 상추)순이었다.

□ 안전평가원은 삼겹살 등을 구워 먹을 때 채소와 함께 먹는 우리 식습관이 벤조피렌의 체내 독성을 낮추는데 실제로 도움이 되는 만큼 구이류(생선, 육류), 식육가공품, 훈제건조어육 등을 섭취할 때는 상추, 마늘, 양파, 샐러리 등 채소와 함께 섭취하고 식후에는 홍차나 수정과를 마시거나 딸기 등 과일을 먹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 참고로 최근 3년간 우리 국민이 주로 섭취하는 식품 총 1,226건에 대한 벤조피렌 위해평가를 실시한 결과 모든 연령에서 인체 노출은 안전한 수준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7-02-0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420 5월6일 0~24시 고속도로 진출·입 모든 차량 통행료 면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02 290
11419 여름철 말라리아, 뎅기열 등 모기 매개 감염병 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02 105
11418 자원봉사하다 다치셨어요? 치료비 걱정마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02 102
11417 내 고장 살림살이, 한눈에 쉽게 확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02 103
11416 농관원, 중국산 깐마늘 포장갈이 판매업체 적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02 336
11415 냉장축산물 냉동전환 업소 위생점검 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02 131
11414 동물용의약품 기준초과 검출된 수입 수산물(활동자개) 회수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02 93
11413 가정에서 많이 사용되는 불법·불량제품 52개 리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02 124
11412 어린이 전동승용완구비교정보 생산 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03 133
11411 취업을 미끼로 한 보이스피싱, “소비자경보” 발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03 108
11410 「대부업 등의 등록 및 금융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시행령」개정안 입법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03 190
11409 어린이 전동 승용완구 성능·안전성 등 제품별 품질 차이 있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03 105
11408 2016년 4월 수출입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03 109
11407 올해 1분기 전국 땅값 0.56% 상승, 거래량은 7.1% 소폭 감소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03 89
11406 '16년 1/4분기 항공여객 2,437만 명으로 12.4%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03 142
Board Pagination Prev 1 ...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