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17년 1월 식량가격지수는 전월(170.2포인트) 대비 2.1% 상승한 173.8포인트를 기록하였다.
설탕 가격의 급등과 곡물 및 유지류 가격이 상승이 식량가격지수를 견인했으며 육류 및 유제품 가격은 안정세를 유지하였다.
’16년 1월부터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식량가격지수는 ‘16년 10월 이후 안정세를 유지하였으나 최근 소폭 상승하였다.
* 식량가격지수 : (’16.1월)149.3→(‘16.10월)172.2→(’16.11월)171.9→(12월)170.2→(‘17.1월)173.8 품목군별 식량가격지수
(곡물) ’16년 12월(142.2포인트)보다 3.4% 상승한 147.0포인트 기록
곡물 가격은 6개월 연속 상승세를 유지하였으며 모든 주요 곡물의 국제 가격이 상승하였다.
밀 가격의 상승은 기상여건 악화로 인한 2017년 작황 우려와 미국의 겨울밀 재배지역 감소에 기인하였다.
옥수수 가격 상승은 수요 강세와 남미의 불확실한 수확 전망 때문이며, 쌀 가격 상승은 주요 수입국이 시장에 복귀할 것이라는 기대와 현재 진행 중인 인도의 정부 비축으로 인해 수출 가용물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유지류) ’16년 12월(183.0포인트)보다 1.8% 상승한 186.3포인트 기록
식물성 유지류 가격은 3개월 연속 상승하였다. 이는 최근 30개월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팜유가격의 상승이 영향을 미쳤으며, 팜유의 높은 수요에 비해 동남아시아의 저조한 생산 회복세와 낮은 국제 재고수준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유채씨유 가격은 2016/17년도 공급량 부족 전망으로 상승하였다.
대두유 가격은 최근 미국과 아르헨티나의 대두 생산량 전망 하향 조정에도 불구하고 국제 재고량이 충분할 것이라는 기대로 하락하였다.
(유제품) ’16년 12월(192.6포인트)과 비슷한 수준인 193.0포인트 기록
유제품 가격은 ‘16년 하반기 상승 추세(5월과 비교해 12월 가격이 50% 상승)에서 벗어나 대부분 품목이 거의 변동이 없었다.
주 생산시기가 남반구에서 북반구로 옮겨가고, 주요 수입국이 충분한 공급량을 확보하면서 교역이 활성화되진 않았다.
(육류) ’16년 12월(156.8포인트)과 비슷한 수준인 156.7포인트 기록
소고기 가격은 일부 상승하였으나, 양고기, 가금육 및 돼지고기 가격이 하락하며 상쇄되었다.
주 소고기 생산국인 호주에서는 소사육 두수는 회복되고 있지만* 아직 송아지 위주로 도축시기까지 성장해야하기 때문에 수출용 소고기 공급량이 제한되면서 가격 상승을 주도하였다.
* ‘15년 가뭄으로 목초지 감소가 도축 증가로 이어지면서 수출량이 잠시 증가했다가 이후 목축업자들은 도축보다는 그 동안 감소했던 소 사육 두수를 증가시키는데 집중
오세아니아의 양고기 수출 가격은 3개월 연속 하락하였는데, 이는 계절적 도축 시기와 맞물려 공급량 증가가 반영된 것이다.
돼지고기와 가금육 가격도 3개월 연속 하락하였는데 이는 풍부한 세계 공급량과 안정적 수요로 인한 것이다.
(설탕) ’16년 12월(262.6포인트)보다 9.9% 상승한 288.5포인트 기록
설탕 가격 급등은 2016/17년도 세계 설탕 생산량 감소 전망으로 인한 것이다.
설탕 생산량 감소 전망은 세계 최대 설탕 생산국이자 수출국인 브라질, 두 번째 생산국인 인도, 그리고 태국 등 주요 설탕 생산지역에서의 계속되는 공급량 부족에 따른 것이다. 2016/17년도 세계 곡물 수급 전망
‘16/17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은 2,592.0백만톤으로 ‘15/16년도 대비 2.3%(58.2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생산량 전망치(전년대비): 쌀 496백만톤(0.9%↑), 잡곡 1,338(2.4%↑), 밀 758(3.1%↑)
‘16/17년도 세계 곡물 소비량은 2,567.2백만톤으로 ‘15/16년도 대비 2.0%(50.4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소비량 전망치(전년대비): 쌀 500백만톤(1.0%↑), 잡곡 1,331(1.8%↑), 밀 737 (3.1%↑)
‘16/17년도 기말 재고량은 681.5백만톤으로 2015/16년도 대비 3.0%(19.6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재고량 전망치(전년대비): 쌀 170백만톤(0.6%↓), 잡곡 266(0.7%↑) / 밀 245(8.3%↑)

 

[농림축산식품부 2017-02-0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29 '16년 부동산 실거래가 허위신고 등 6,809명 적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17 99
3628 '16년 보이스피싱 및 대포통장 큰 폭 감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17 92
3627 임산부를 위한 영양·식생활 관리, 이렇게 하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16 69
3626 봄 신학기 학교급식 식중독 예방 합동점검 사전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16 68
3625 인권침해 발생 시설 좋은 평가 못 받는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16 61
3624 저소득층 지역가입자 평가소득 폐지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16 58
3623 일반의약품 가격 및 제약회사 분석 결과 보도자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16 66
3622 입주민 부담 경감 위해 아파트 관리비 지출항목 점검 필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16 222
3621 개인용혈당측정기, 올바른 사용법으로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15 93
3620 허용되지 않은 식품첨가물을 사용한 수입 과실주 회수 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15 72
3619 잔류물질 검출 미국산 냉동닭고기 회수 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15 52
3618 잔류농약 기준초과 검출 중국산 신선부추 회수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15 61
3617 외국인 환자 유치 수수료, 진료비 30% 넘지 못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15 58
3616 '17.1월 주택매매거래량은 전국 5.9만 건으로 전년동월 대비 6.1% 감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15 92
3615 '17.1월 전월세 거래량은 10.9만 건으로 전년동월 대비 3.6%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15 103
Board Pagination Prev 1 ... 679 680 681 682 683 684 685 686 687 688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