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17년 1월 식량가격지수는 전월(170.2포인트) 대비 2.1% 상승한 173.8포인트를 기록하였다.
설탕 가격의 급등과 곡물 및 유지류 가격이 상승이 식량가격지수를 견인했으며 육류 및 유제품 가격은 안정세를 유지하였다.
’16년 1월부터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식량가격지수는 ‘16년 10월 이후 안정세를 유지하였으나 최근 소폭 상승하였다.
* 식량가격지수 : (’16.1월)149.3→(‘16.10월)172.2→(’16.11월)171.9→(12월)170.2→(‘17.1월)173.8 품목군별 식량가격지수
(곡물) ’16년 12월(142.2포인트)보다 3.4% 상승한 147.0포인트 기록
곡물 가격은 6개월 연속 상승세를 유지하였으며 모든 주요 곡물의 국제 가격이 상승하였다.
밀 가격의 상승은 기상여건 악화로 인한 2017년 작황 우려와 미국의 겨울밀 재배지역 감소에 기인하였다.
옥수수 가격 상승은 수요 강세와 남미의 불확실한 수확 전망 때문이며, 쌀 가격 상승은 주요 수입국이 시장에 복귀할 것이라는 기대와 현재 진행 중인 인도의 정부 비축으로 인해 수출 가용물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유지류) ’16년 12월(183.0포인트)보다 1.8% 상승한 186.3포인트 기록
식물성 유지류 가격은 3개월 연속 상승하였다. 이는 최근 30개월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팜유가격의 상승이 영향을 미쳤으며, 팜유의 높은 수요에 비해 동남아시아의 저조한 생산 회복세와 낮은 국제 재고수준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유채씨유 가격은 2016/17년도 공급량 부족 전망으로 상승하였다.
대두유 가격은 최근 미국과 아르헨티나의 대두 생산량 전망 하향 조정에도 불구하고 국제 재고량이 충분할 것이라는 기대로 하락하였다.
(유제품) ’16년 12월(192.6포인트)과 비슷한 수준인 193.0포인트 기록
유제품 가격은 ‘16년 하반기 상승 추세(5월과 비교해 12월 가격이 50% 상승)에서 벗어나 대부분 품목이 거의 변동이 없었다.
주 생산시기가 남반구에서 북반구로 옮겨가고, 주요 수입국이 충분한 공급량을 확보하면서 교역이 활성화되진 않았다.
(육류) ’16년 12월(156.8포인트)과 비슷한 수준인 156.7포인트 기록
소고기 가격은 일부 상승하였으나, 양고기, 가금육 및 돼지고기 가격이 하락하며 상쇄되었다.
주 소고기 생산국인 호주에서는 소사육 두수는 회복되고 있지만* 아직 송아지 위주로 도축시기까지 성장해야하기 때문에 수출용 소고기 공급량이 제한되면서 가격 상승을 주도하였다.
* ‘15년 가뭄으로 목초지 감소가 도축 증가로 이어지면서 수출량이 잠시 증가했다가 이후 목축업자들은 도축보다는 그 동안 감소했던 소 사육 두수를 증가시키는데 집중
오세아니아의 양고기 수출 가격은 3개월 연속 하락하였는데, 이는 계절적 도축 시기와 맞물려 공급량 증가가 반영된 것이다.
돼지고기와 가금육 가격도 3개월 연속 하락하였는데 이는 풍부한 세계 공급량과 안정적 수요로 인한 것이다.
(설탕) ’16년 12월(262.6포인트)보다 9.9% 상승한 288.5포인트 기록
설탕 가격 급등은 2016/17년도 세계 설탕 생산량 감소 전망으로 인한 것이다.
설탕 생산량 감소 전망은 세계 최대 설탕 생산국이자 수출국인 브라질, 두 번째 생산국인 인도, 그리고 태국 등 주요 설탕 생산지역에서의 계속되는 공급량 부족에 따른 것이다. 2016/17년도 세계 곡물 수급 전망
‘16/17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은 2,592.0백만톤으로 ‘15/16년도 대비 2.3%(58.2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생산량 전망치(전년대비): 쌀 496백만톤(0.9%↑), 잡곡 1,338(2.4%↑), 밀 758(3.1%↑)
‘16/17년도 세계 곡물 소비량은 2,567.2백만톤으로 ‘15/16년도 대비 2.0%(50.4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소비량 전망치(전년대비): 쌀 500백만톤(1.0%↑), 잡곡 1,331(1.8%↑), 밀 737 (3.1%↑)
‘16/17년도 기말 재고량은 681.5백만톤으로 2015/16년도 대비 3.0%(19.6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재고량 전망치(전년대비): 쌀 170백만톤(0.6%↓), 잡곡 266(0.7%↑) / 밀 245(8.3%↑)

 

[농림축산식품부 2017-02-0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17 젊은 군 장병들 위한 맞춤형 휴대전화 요금제 나온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7 18
3716 지방의회의원 갑질행위 금지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5 18
3715 결핵 신규환자 2만 6433명으로 전년 대비 6.4% 감소, 65세 이상 어르신 결핵환자는 전체의 45.5%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5 18
3714 봄철, 가족과 나를 위한 선물, 공기청정화 보도자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5 18
3713 올해부터 22년까지 매년 사회주택 2,000호 이상 공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19 18
3712 근로청소년의 부당처우를 근절하기 위한 노동인권교육 확대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8 18
3711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인터넷 설치’ 만족도 높고 ‘요금 및 부가혜택’ 만족도 낮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24 18
3710 우리 마을을 바꾸는 주민자치회 확산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8 18
3709 인터넷쇼핑몰의 판촉비용 부담전가 행위 위법성 심사지침 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7 18
3708 어르신들, 따뜻하고 건강한 겨울 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30 18
3707 겨울이라서 더 신나는 농촌 여행 ‘12월 추천 농촌체험마을 5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30 18
3706 사회적경제, 인식률 높지 않지만 이용 소비자는 긍정적 평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27 18
3705 공공택지 공급주택 분양가격 공시항목 확대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15 18
3704 생후 6개월~12세 어린이 60.6%, 65세이상 어르신 80.6% 접종, 미접종자 11월 내 접종가능 의료기관 확인 후 방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02 18
3703 韓·싱가포르, 중독문제 및 예방.치료 프로그램 공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02 18
Board Pagination Prev 1 ... 668 669 670 671 672 673 674 675 676 677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