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17년 1월 식량가격지수는 전월(170.2포인트) 대비 2.1% 상승한 173.8포인트를 기록하였다.
설탕 가격의 급등과 곡물 및 유지류 가격이 상승이 식량가격지수를 견인했으며 육류 및 유제품 가격은 안정세를 유지하였다.
’16년 1월부터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식량가격지수는 ‘16년 10월 이후 안정세를 유지하였으나 최근 소폭 상승하였다.
* 식량가격지수 : (’16.1월)149.3→(‘16.10월)172.2→(’16.11월)171.9→(12월)170.2→(‘17.1월)173.8 품목군별 식량가격지수
(곡물) ’16년 12월(142.2포인트)보다 3.4% 상승한 147.0포인트 기록
곡물 가격은 6개월 연속 상승세를 유지하였으며 모든 주요 곡물의 국제 가격이 상승하였다.
밀 가격의 상승은 기상여건 악화로 인한 2017년 작황 우려와 미국의 겨울밀 재배지역 감소에 기인하였다.
옥수수 가격 상승은 수요 강세와 남미의 불확실한 수확 전망 때문이며, 쌀 가격 상승은 주요 수입국이 시장에 복귀할 것이라는 기대와 현재 진행 중인 인도의 정부 비축으로 인해 수출 가용물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유지류) ’16년 12월(183.0포인트)보다 1.8% 상승한 186.3포인트 기록
식물성 유지류 가격은 3개월 연속 상승하였다. 이는 최근 30개월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팜유가격의 상승이 영향을 미쳤으며, 팜유의 높은 수요에 비해 동남아시아의 저조한 생산 회복세와 낮은 국제 재고수준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유채씨유 가격은 2016/17년도 공급량 부족 전망으로 상승하였다.
대두유 가격은 최근 미국과 아르헨티나의 대두 생산량 전망 하향 조정에도 불구하고 국제 재고량이 충분할 것이라는 기대로 하락하였다.
(유제품) ’16년 12월(192.6포인트)과 비슷한 수준인 193.0포인트 기록
유제품 가격은 ‘16년 하반기 상승 추세(5월과 비교해 12월 가격이 50% 상승)에서 벗어나 대부분 품목이 거의 변동이 없었다.
주 생산시기가 남반구에서 북반구로 옮겨가고, 주요 수입국이 충분한 공급량을 확보하면서 교역이 활성화되진 않았다.
(육류) ’16년 12월(156.8포인트)과 비슷한 수준인 156.7포인트 기록
소고기 가격은 일부 상승하였으나, 양고기, 가금육 및 돼지고기 가격이 하락하며 상쇄되었다.
주 소고기 생산국인 호주에서는 소사육 두수는 회복되고 있지만* 아직 송아지 위주로 도축시기까지 성장해야하기 때문에 수출용 소고기 공급량이 제한되면서 가격 상승을 주도하였다.
* ‘15년 가뭄으로 목초지 감소가 도축 증가로 이어지면서 수출량이 잠시 증가했다가 이후 목축업자들은 도축보다는 그 동안 감소했던 소 사육 두수를 증가시키는데 집중
오세아니아의 양고기 수출 가격은 3개월 연속 하락하였는데, 이는 계절적 도축 시기와 맞물려 공급량 증가가 반영된 것이다.
돼지고기와 가금육 가격도 3개월 연속 하락하였는데 이는 풍부한 세계 공급량과 안정적 수요로 인한 것이다.
(설탕) ’16년 12월(262.6포인트)보다 9.9% 상승한 288.5포인트 기록
설탕 가격 급등은 2016/17년도 세계 설탕 생산량 감소 전망으로 인한 것이다.
설탕 생산량 감소 전망은 세계 최대 설탕 생산국이자 수출국인 브라질, 두 번째 생산국인 인도, 그리고 태국 등 주요 설탕 생산지역에서의 계속되는 공급량 부족에 따른 것이다. 2016/17년도 세계 곡물 수급 전망
‘16/17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은 2,592.0백만톤으로 ‘15/16년도 대비 2.3%(58.2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생산량 전망치(전년대비): 쌀 496백만톤(0.9%↑), 잡곡 1,338(2.4%↑), 밀 758(3.1%↑)
‘16/17년도 세계 곡물 소비량은 2,567.2백만톤으로 ‘15/16년도 대비 2.0%(50.4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소비량 전망치(전년대비): 쌀 500백만톤(1.0%↑), 잡곡 1,331(1.8%↑), 밀 737 (3.1%↑)
‘16/17년도 기말 재고량은 681.5백만톤으로 2015/16년도 대비 3.0%(19.6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재고량 전망치(전년대비): 쌀 170백만톤(0.6%↓), 잡곡 266(0.7%↑) / 밀 245(8.3%↑)

 

[농림축산식품부 2017-02-0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370 해외에서 한국 휴대전화가 없어도 국내 디지털 서비스 이용 가능!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11 32
13369 해외에서 카드 이용시 소비자의 수수료 부담을 완화하였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19 31
13368 해외에서 발생한 의료기기 중대한 이상사례도 보고 의무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19 46
13367 해외에서 리콜된 제품의 국내 유통 지속적으로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07 33
13366 해외안전여행 정보, 카카오톡으로 확인해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23 40
13365 해외식품제조업소 등록 의무 본격 시행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5 114
13364 해외브랜드 생활가전, 해외 직접 구매 시 최대 35% 저렴하나 AS 어려움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30 63
13363 해외로부터의 입국 절차와 시간이 대폭 간소화됩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16 84
13362 해외구매대행으로 구입한 미인증 캠핑용 가스용품 사고 위험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1.29 18
13361 해외구매대행서비스 관련 소비자 피해, 3년간 5배 이상 증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5 152
13360 해외구매대행, 반품비용 비싸고 고지내용과 다른 경우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01 44
13359 해외구매대행 인터넷쇼핑몰 피해 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7 125
13358 해외구매대행 인터넷쇼핑몰 피해 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6 103
13357 해외구매 소비자피해, 국제거래 소비자 포털 사이트에서 해결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9 303
13356 해외구매 선호 이유는 가격, 국내가격보다 ‘27.7%’ 싸다고 느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03 22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