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인허가) ‘16년 72.6만호, 전년(76.5만호)대비 5.1% 감소
◈ (착 공) ‘16년 65.8만호, 전년(71.7만호)대비 8.2% 감소
◈ (분 양) ‘16년 46.9만호, 전년(52.5만호)대비 10.7% 감소
◈ (준 공) ‘16년 51.5만호, 전년(46.0만호)대비 11.9% 증가

◈ (인허가) ‘15년(76.5만호)대비 5.1% 감소한 72.6만호
ㅇ 수도권은 ‘15년 대비 16.5% 감소한 34.1만호가 인허가된 반면, 지방은 7.9% 증가한 38.5만호 인허가
ㅇ 아파트는 ‘15년 대비 5.3% 감소한 50.7만호 인허가, 비아파트는 4.8% 감소한 21.9만호

◈(착공) 지난해 65.8만호로 ‘15년(71.7만호)대비 8.2% 감소
ㅇ 수도권은 `15년 대비 12.8% 감소한 33.5만호, 지방은 2.9% 감소한 32.3만호
ㅇ 아파트는 `15년 대비 9.1% 감소한 45.2만호, 비아파트는 6.1% 감소한 20.6만호

◈(분양) 지난해 46.9만호로 `15년(52.5만호) 대비 10.7% 감소
ㅇ 수도권은 `15년 대비 14.4% 감소한 23.3만호, 지방은 6.8% 감소한 23.6만호
ㅇ 일반분양 33.7만호(-15.0%), 임대주택 9.4만호(+13.0%), 조합원분 3.8만호(-16.9%)

◈(준공) 지난해 51.5만호로 ‘15년(46.0만호)대비 11.9% 증가
ㅇ 수도권은 ‘15년 대비 26.9% 증가한 25.9만호, 지방은 0.1% 감소한 25.6만호
ㅇ ’14년 이후 50만호(‘14년~’16년 평균 62.7만호) 이상이 착공되면서 준공물량도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


[1. 인허가 실적] * 전체주택 대상

(종합) 지난해 전체 주택 인허가 실적은 전국 72.6만호로 ‘15년(76.5만호)대비 5.1% 감소

상반기까지 유지되었던 공급증가세가 7월 이후 둔화되면서 누계 인허가 실적은 전년대비 소폭 감소

* 전년대비 인허가 증가율 : (상반기)+18.4% → (하반기)-20.3%


'17년 인허가는 공급과잉 우려, 사업성이 양호한 택지부족 등으로 ’16년에 비해 감소할 전망*

* 연구기관 ‘17년 전망 : 주택산업연구원(58만호), 건설산업연구원(55만호)


(지역별) 수도권은 341,162호로 ‘15년 대비 16.5% 감소하였으며, 지방은 384,886호로 7.9% 증가

(유형별) 아파트(506,816호)는 ‘15년 대비 5.3% 감소하였으며, 최근 5년평균(’11~‘15년, 37.9만호) 대비로는 33.8% 증가

아파트 외 주택(219,232호)은 ‘15년 대비 4.8% 감소하였으며, 최근5년 평균(’11~‘15년, 19.3만호) 대비로는 13.8% 증가

(주체별) 공공(75,802호)은 ‘15년 대비 0.8% 감소하였으며, 최근5년 평균(’11~‘15년, 8.9만호) 대비로는 14.7% 감소

민간(650,246호)은 ‘15년 대비 5.6% 감소하였으며, 최근5년 평균(’11~‘15년, 48.3만호) 대비로는 34.7% 증가

(규모별) 소형 8.6%, 중형 4.5%, 대형 0.8% 모두 감소하였으며, 85㎡이하 비중은 80.5%

[2. 착공 실적] * 전체주택 대상

(종합) 지난해 전체 주택 착공실적은 전국 65.8만호로 ‘15년(71.7만호)대비 8.2% 감소

최근 5년 평균(’11~‘15년, 51.2만호) 대비로는 28.6% 증가한 수준으로, ’15년에 이어 수도권과 지방 모두 착공이 활발하게 진행

(지역별) 수도권은 334,694호로 ‘15년 대비 12.8% 감소하였으며, 지방은 323,262호로 2.9% 감소

(유형별) 아파트는 452,070호, 아파트 외 주택은 205,886호로 각각 9.1%, 6.1% 감소

[3. 분양(승인) 실적] * 공동주택 대상(주택법상 입주자모집 승인 대상)

(종합) 지난해 공동주택 분양(승인)실적은 전국 46.9만호로 ‘15년(52.5만호)대비 10.7% 감소

전년대비 실적은 소폭 감소하였으나, 청약시장 호조세 지속으로 5년평균(35.0만호) 대비로는 33.9% 증가

(지역별) 수도권은 232,942호로 ‘15년 대비 14.4% 감소하였으며, 지방은 236,166호로 6.8% 감소

(유형별) 일반분양은 337,050호로 15.0% 감소, 임대주택은 93,639호로 13.0% 증가

[4. 준공(입주) 실적] * 전체주택 대상

(종합) 지난해 전체 주택 준공실적은 전국 51.5만호로 ‘15년(46.0만호)대비 11.9% 증가

’14년 이후 평균 50만호 이상이 착공*되면서 준공물량도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

* 3년(‘14년~’16년)평균 전체주택 62.7만호, 아파트 43.1만호 착공


(지역별) 수도권은 258,500호로 ‘15년 대비 26.9% 증가하였으며, 지방은 256,275호로 0.1% 감소

(유형별) 아파트는 320,018호로 12.4% 증가하였으며, 아파트 외 주택은 194,757호로 11.1% 증가


 

[국토교통부 2017-01-2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321 건설근로자 초등학교 취학자녀 축하금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02 19
10320 건설근로자 초등학교 취학자녀 축하금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02 37
10319 건설근로자공제회, 대학생 자녀 교육비 지원 신청.접수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04 36
10318 건설근로자공제회, 하반기 대학생 자녀 학자금대출 이자지원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24 14
10317 건설근로자에게 최대 200만 원까지 긴급 생활안정자금 무이자 대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13 29
10316 건설기계조종사, 안전교육 안 받으면 최대 100만원 과태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17 7
10315 건설신기술 특허심사 1년으로, 해외특허 취득 지원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0 287
10314 건설안전 경진대회…이달 27일부터 공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26 43
10313 건설업 등 분할납부 사업장 고용.산재보험료 신용카드 자동이체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6 16
10312 건설업 등 자진신고 사업장 3월31일까지 고용·산재보험료 신고.납부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16 41
10311 건설업.벌목업 고용.산재보험료,3월 31일까지 신고.납부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16 17
10310 건설업.벌목업의 고용.산재보험료,4월 1일까지 신고?납부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8 58
10309 건설업등 자진신고 사업장 3월 31일까지 고용.산재보험료 신고.납부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15 17
10308 건설일용근로자 45만 명 국민연금 사업장가입자로 가입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30 74
10307 건설일용근로자“월 8일 이상”근로시 국민연금과 건강보험, 이제 사업장으로 가입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25 40
Board Pagination Prev 1 ...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