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설 연휴, 화상·화재 사고 주의

- 음식 조리 중 화상 및 가전제품 화재 발생에 유의해야 -

설 연휴에는 가정 내에서 기름과 화기를 이용하여 명절음식 장만이 많아지는 만큼 화상?화재 사고 발생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최근 3년(2014~2016년)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접수된 화상·화재 사고 총 12,724건을 분석한 결과, 절반이 넘는 54.8%(6,968건**)가 가정 내에서 발생하였다고 밝혔다.

*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 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

* * 연도별 가정 내 화상·화재관련 접수 건수 : '14년 2,664건 → '15년 2,052건(23.0%↓) → '16년 2,252건(9.7%↑)

‘주방’ 내 사고가 가장 많고, ‘고온의 조리기구에 의한 화상’ 피해가 대부분

가정 내 화상·화재 사고 발생장소는 ‘주방’이 37.1%(2,582건)로 가장 많았고, ‘침실/방’ 23.0%(1,601건), ‘거실’ 6.6%(460건) 등의 순이었다. 주방에서 자주 발생하는 화상?화재 사고유형은 밥솥·프라이팬 등 고온의 조리기구와 관련된 화상이 61.5%(1,587건)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주방 화상·화재 사고의 주요 원인 품목은 ‘전기(압력)밥솥’이 22.2%(575건)로 가장 많았고, ‘정수기’ 7.3%(189건), ‘커피포트’ 6.9%(178건), ‘냄비’ 6.0%(156건) 등의 순이었다.

특히 설 명절에는 식용유 등 기름을 이용한 전과 튀김 요리를 많이 함에 따라 기름이 쏟아지거나 불이 붙어 화상을 입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또한, 주방 내 각종 가전제품이나 가스불로 인한 화재 위험도 있으므로 집을 비우는 경우 철저한 점검이 필요하다.

주방 내 사고 중 ‘어린이’ 피해가 절반 가까이 차지

주방 내 화상·화재 사고의 절반 가까이(42.4%, 1,095건)는 ‘10세 미만’의 어린이에게서 발생했다. 다음으로 ‘40대’ 11.3%(291건), ‘30대’ 9.6%(247건), ‘50대’ 8.7%(224건) 순이었다.

어린이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활동이 왕성한 남아(60%, 657건)의 사고비율이 여아(40%, 438건)보다 더 높았는데, 주로 전기밥솥이나 냄비 등 뜨거운 조리기구에 손을 데이는 사고가 많았다. 20대 이상 성인에서는 주방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는 여성(68.2%, 620건)의 사고 비율이 남성(31.8%, 289건)보다 두 배 이상 차지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설 연휴 화상·화재 사고예방을 위해 ▲식용유 등의 기름에 불이 붙은 경우 물을 뿌리면 불길이 더욱 커지므로 뚜껑 등으로 덮어 산소를 차단하고 ▲화상을 입었을 경우 화상 부위를 즉시 찬물로 식히고 병원 치료를 받도록 하며 ▲외출 시 사용하지 않는 가전제품의 전원과 가스를 차단하는 등의 안전요령을 숙지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아울러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오는 2월 4일까지 단독주택을 포함한 모든 주택에 소화기와 단독경보형 감지기 설치가 의무화되었으므로 설 연휴를 맞이하여 가정 내 설치 여부를 점검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피해발생 문의처

[한국소비자원 2017-01-2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60 2016년 소비자상담, 소비환경 변화에 따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31 91
3559 금융꿀팁 200선 - (29) 서민을 위한 금융상품 10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31 54
3558 금융꿀팁 200선 - (30) 사회초년생을 위한 금융꿀팁 7가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31 56
3557 ‘치아매니큐어’,‘휴대용 공기’의약외품으로 관리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6 56
3556 12월말 전국 미분양 56,413호, 전월대비 2.0% (1,169호) 감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6 52
3555 2016년 전국 땅값 2.70% 상승, 토지거래량은 3.0% 감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6 55
3554 ’16년 주택인·허가 72.6만호, 분양승인은 46.9만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6 53
3553 설 연휴 기간 특별안전점검반 가동, 항공안전 보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6 60
3552 대부분의 가정용살충제 제품, 살충성분 함량기준 적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6 92
3551 「생활밀착형 보험 관련 불합리한 관행 개선」 추진실적 및 향후계획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6 50
3550 금융꿀팁 200선 - (6-1) 설 연휴에 알아두면 유익한 금융정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6 50
3549 2017년 설 특별물가 조사 결과 보도자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5 52
» 설 연휴, 화상·화재 사고 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5 55
3547 설 연휴기간중 금감원「불법사금융피해신고센터」운영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5 53
3546 식약처, 설 명절 식·의약품 안전정보 제공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5 52
Board Pagination Prev 1 ... 684 685 686 687 688 689 690 691 692 693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