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설 연휴, 화상·화재 사고 주의

- 음식 조리 중 화상 및 가전제품 화재 발생에 유의해야 -

설 연휴에는 가정 내에서 기름과 화기를 이용하여 명절음식 장만이 많아지는 만큼 화상?화재 사고 발생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최근 3년(2014~2016년)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접수된 화상·화재 사고 총 12,724건을 분석한 결과, 절반이 넘는 54.8%(6,968건**)가 가정 내에서 발생하였다고 밝혔다.

*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 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

* * 연도별 가정 내 화상·화재관련 접수 건수 : '14년 2,664건 → '15년 2,052건(23.0%↓) → '16년 2,252건(9.7%↑)

‘주방’ 내 사고가 가장 많고, ‘고온의 조리기구에 의한 화상’ 피해가 대부분

가정 내 화상·화재 사고 발생장소는 ‘주방’이 37.1%(2,582건)로 가장 많았고, ‘침실/방’ 23.0%(1,601건), ‘거실’ 6.6%(460건) 등의 순이었다. 주방에서 자주 발생하는 화상?화재 사고유형은 밥솥·프라이팬 등 고온의 조리기구와 관련된 화상이 61.5%(1,587건)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주방 화상·화재 사고의 주요 원인 품목은 ‘전기(압력)밥솥’이 22.2%(575건)로 가장 많았고, ‘정수기’ 7.3%(189건), ‘커피포트’ 6.9%(178건), ‘냄비’ 6.0%(156건) 등의 순이었다.

특히 설 명절에는 식용유 등 기름을 이용한 전과 튀김 요리를 많이 함에 따라 기름이 쏟아지거나 불이 붙어 화상을 입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또한, 주방 내 각종 가전제품이나 가스불로 인한 화재 위험도 있으므로 집을 비우는 경우 철저한 점검이 필요하다.

주방 내 사고 중 ‘어린이’ 피해가 절반 가까이 차지

주방 내 화상·화재 사고의 절반 가까이(42.4%, 1,095건)는 ‘10세 미만’의 어린이에게서 발생했다. 다음으로 ‘40대’ 11.3%(291건), ‘30대’ 9.6%(247건), ‘50대’ 8.7%(224건) 순이었다.

어린이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활동이 왕성한 남아(60%, 657건)의 사고비율이 여아(40%, 438건)보다 더 높았는데, 주로 전기밥솥이나 냄비 등 뜨거운 조리기구에 손을 데이는 사고가 많았다. 20대 이상 성인에서는 주방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는 여성(68.2%, 620건)의 사고 비율이 남성(31.8%, 289건)보다 두 배 이상 차지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설 연휴 화상·화재 사고예방을 위해 ▲식용유 등의 기름에 불이 붙은 경우 물을 뿌리면 불길이 더욱 커지므로 뚜껑 등으로 덮어 산소를 차단하고 ▲화상을 입었을 경우 화상 부위를 즉시 찬물로 식히고 병원 치료를 받도록 하며 ▲외출 시 사용하지 않는 가전제품의 전원과 가스를 차단하는 등의 안전요령을 숙지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아울러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오는 2월 4일까지 단독주택을 포함한 모든 주택에 소화기와 단독경보형 감지기 설치가 의무화되었으므로 설 연휴를 맞이하여 가정 내 설치 여부를 점검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피해발생 문의처

[한국소비자원 2017-01-2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796 성능 불량한 일부 방수팩 판매중단 및 환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12 137
7795 성년후견인, 은행 방문시 업무처리 편리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05 7
7794 섬유제품 소비자피해, 온라인 거래는 “청약철회 거부” 오프라인 거래는 “품질불량”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26 30
7793 섬유제품 소비자 분쟁, 절반 이상이 사업자 책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8 11
7792 섬유유연제의 유연성, 제품에 따라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23 43
7791 설연휴 한파 예보에 따라 기저질환을 가진 고령층 등 한랭질환 주의 필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20 15
7790 설연휴 갑자기 아파도 걱정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19 23
7789 설연휴 ‘무료 개방 공공주차장’ 정보, 공유누리에서 찾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19 18
7788 설명절 우리 농수산식품으로 따뜻한 마음을 전하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11 54
7787 설명절 무료 개방 공공주차장 14,843개, '공유누리'에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25 52
7786 설명절 공중화장실 깨끗하고 안전하게 이용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1 23
7785 설명절 고속도로 휴게소 임시화장실 운영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8 12
7784 설명자료(한국경제신문과 국민일보 '치약, 화장품으로 전환' 기사관련)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3 179
7783 설명자료(SBS 8시뉴스 '목숨이 달렸는데...장사 안되는 희귀병약 품귀' 기사관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5 87
7782 설명자료(SBS '여드름 없애려 피임약 암거래? 혈전증 위험' 기사관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5 75
Board Pagination Prev 1 ...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