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설 연휴, 화상·화재 사고 주의

- 음식 조리 중 화상 및 가전제품 화재 발생에 유의해야 -

설 연휴에는 가정 내에서 기름과 화기를 이용하여 명절음식 장만이 많아지는 만큼 화상?화재 사고 발생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최근 3년(2014~2016년)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접수된 화상·화재 사고 총 12,724건을 분석한 결과, 절반이 넘는 54.8%(6,968건**)가 가정 내에서 발생하였다고 밝혔다.

*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 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

* * 연도별 가정 내 화상·화재관련 접수 건수 : '14년 2,664건 → '15년 2,052건(23.0%↓) → '16년 2,252건(9.7%↑)

‘주방’ 내 사고가 가장 많고, ‘고온의 조리기구에 의한 화상’ 피해가 대부분

가정 내 화상·화재 사고 발생장소는 ‘주방’이 37.1%(2,582건)로 가장 많았고, ‘침실/방’ 23.0%(1,601건), ‘거실’ 6.6%(460건) 등의 순이었다. 주방에서 자주 발생하는 화상?화재 사고유형은 밥솥·프라이팬 등 고온의 조리기구와 관련된 화상이 61.5%(1,587건)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주방 화상·화재 사고의 주요 원인 품목은 ‘전기(압력)밥솥’이 22.2%(575건)로 가장 많았고, ‘정수기’ 7.3%(189건), ‘커피포트’ 6.9%(178건), ‘냄비’ 6.0%(156건) 등의 순이었다.

특히 설 명절에는 식용유 등 기름을 이용한 전과 튀김 요리를 많이 함에 따라 기름이 쏟아지거나 불이 붙어 화상을 입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또한, 주방 내 각종 가전제품이나 가스불로 인한 화재 위험도 있으므로 집을 비우는 경우 철저한 점검이 필요하다.

주방 내 사고 중 ‘어린이’ 피해가 절반 가까이 차지

주방 내 화상·화재 사고의 절반 가까이(42.4%, 1,095건)는 ‘10세 미만’의 어린이에게서 발생했다. 다음으로 ‘40대’ 11.3%(291건), ‘30대’ 9.6%(247건), ‘50대’ 8.7%(224건) 순이었다.

어린이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활동이 왕성한 남아(60%, 657건)의 사고비율이 여아(40%, 438건)보다 더 높았는데, 주로 전기밥솥이나 냄비 등 뜨거운 조리기구에 손을 데이는 사고가 많았다. 20대 이상 성인에서는 주방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는 여성(68.2%, 620건)의 사고 비율이 남성(31.8%, 289건)보다 두 배 이상 차지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설 연휴 화상·화재 사고예방을 위해 ▲식용유 등의 기름에 불이 붙은 경우 물을 뿌리면 불길이 더욱 커지므로 뚜껑 등으로 덮어 산소를 차단하고 ▲화상을 입었을 경우 화상 부위를 즉시 찬물로 식히고 병원 치료를 받도록 하며 ▲외출 시 사용하지 않는 가전제품의 전원과 가스를 차단하는 등의 안전요령을 숙지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아울러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오는 2월 4일까지 단독주택을 포함한 모든 주택에 소화기와 단독경보형 감지기 설치가 의무화되었으므로 설 연휴를 맞이하여 가정 내 설치 여부를 점검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피해발생 문의처

[한국소비자원 2017-01-2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083 설 명절전 불공정하도급 신고센터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6 36
6082 설 명절전 불공정하도급 신고센터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7 22
6081 설 물가 지난해보다 평균 5.7% 인상, 전통시장과 일반 슈퍼는 오히려 하락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6 336
6080 설 선물 고르기 고민, 우리 농수산식품으로 해결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20 83
6079 설 선물세트, 유통업태별 가격 비교 후 구입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3 142
6078 설 성수식품 전국 일제 합동점검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13 86
6077 설 성수식품 합동 점검 실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0 217
6076 설 성수식품에 대한 전국 일제 합동점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02 55
6075 설 성수품 판매가격, 전통시장이 백화점 보다 35.6% 저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3 120
6074 설 성수품(주요 농축산물) 가격안정세 확산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19 52
6073 설 연휴 기간 감염병 발생 주의 당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3 118
6072 설 연휴 기간 특별안전점검반 가동, 항공안전 보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6 60
6071 설 연휴 기간 환경오염행위 특별 감시·단속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31 18
6070 설 연휴 대비 생활폐기물 특별관리대책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04 23
6069 설 연휴 무료 개방하는 공공주차장, 정부24에서 확인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30 13
Board Pagination Prev 1 ...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