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1. 최근 동향 소비자물가 지수
(물가 동향) 폭염(7~8월) 등으로 채소류 가격이 급등한 9월 이후 농축산 물가는하락 추세를 보이다, 최근 겨울채소, 계란 등 가격 상승으로 반등하였으며, 쌀, 과일 등은 낮은 가격을 유지
* 소비자 물가지수(2015년 100): (‘16. 9월) 112.1 → (10월) 107.8 → (11월) 104.5 → (12월) 106.5 (최근 가격동향) 그동안 가격이 높았던 주요 농축산물의 가격이 최근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는 것으로 평가
ㅇ 1.20일 현재 주요 농축산물 24개 품목에 대해 순별 가격(도매가, 가락시장)을 조사한 결과 15개 품목(63%)이 전순(1.상순)대비 하락(1.중순 기준)하고, 상승한 품목은 9개로 조사됨 ㅇ 특히, 그동안 가격 오름세를 주도했던 배추, 무, 양배추, 당근 등의 월동노지채소와 계란 등 주요 품목의 가격이 하락하거나 상승세가 둔화되고 있으나, 평년보다는 가격이 높은 상황임
* 배추(도매) : (‘16.12.) 2,923/포기 → ('17.1.상) 3,071 → (1.중) 3,028(상순대비 1.4%↓)
* 무(도매) : (‘16.12.) 2,465/개 → ('17.1.상) 2,187 → (1.중) 1,745(상순대비 20.2%↓)
* 계란(산지) : (‘16.12.) 1,551/10개 → ('17.1.상) 2,119 → (1.중) 2,190(상순대비 3.3%↑)
ㅇ 반면, 상승품목도 애호박, 풋고추를 제외하고는 10%이내의 상승*을 보였으며, 이들 품목 중 상추, 시금치, 애호박의 경우는 전순대비 가격이 상승하였더라도 평년대비 가격이 낮거나 평년수준의 가격을 회복하는 상황으로 볼 수 있음
* 상추 : '16.12월) 7,254/4kg → ('17.1.상) 8,725 → (1.중) 9,493 (평년 8.8%↑)
* 시금치 : '16.12월) 9,310/4kg → ('17.1.상) 8,085 → (1.중) 8,314 (평년 2.8%↑)
* 애호박 : '16.12월) 18,932/20개 → ('17.1.상) 25,004 → (1.중) 28,712(평년 14.8%↑) ㅇ 다만, 상승품목 중 풋고추, 감귤, 돼지고기 등은 재배면적 감소 등으로 생산량이 감소하거나, 닭고기 등의 대체소비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임
* 풋고추 재배면적 : ('17.) 4,366ha (전년(4,455ha)대비 2%↓)
* 감귤 생산량 : ('16.) 500~527천톤 (평년 573천톤, 평년대비 -12.7~-8.2%)
(소비동향) 농협 하나로마트에 대해 최근까지 설 특판 선물세트 판매동향(17.1.13~21. 9일간)을 조사한 결과, 전체적으로 3.8% 감소하였으며, 과일은 16% 감소, 축산물도 4% 줄어드는 등 1차 농축산물의 판매실적도 전년 설전 동기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음
ㅇ 반면, 비교적 값이 저렴한 식용유, 햄 등 식품류(5.1%)와 치약, 샴푸 등 생필품(6.9%) 선물세트 판매는 증가하였음
ㅇ 또한, 가격대별 매출을 보면 5만원 이하 세트는 증가(평균 9%)하였으나, 5만원 초과 세트는 감소(평균 22%)하여 청탁금지법시행이 매출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음
* 선물세트 가격대별 매출실적(전년 설 기간 동기대비)
(20만원 이상) -10.4%, (15~20만원) -16.0%, (10~15만원) -30.6%, (5~10만원)-26.5%, (3~5만원) 14.1%, (3만원 미만) 3.7%, (전체) -3.8%
2. 향후 전망
노지월동채소가 출하되는 남부, 제주지역의 최근 기온, 일조량 등 기상상황은 작황출하에 전반적으로 우호적인 여건이며,
* 기상상황(1.1~21일, 해남, 제주) : 기온은 평년대비 0.7~1.3℃ 높고, 일조량은 4.6~8.2시간 많았음
ㅇ 최근 중부지방과 전남북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강설이 있었으나 배추, 무 주산지인 해남, 진도, 제주 등지에는 강설이 미미*하고, 기온도 당분간 평년수준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어, 당분간 채소류 등 농산물의 가격안정세에 추가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
* 해남지역 기온(1.24~31, 평년 평균 최저기온) : (예보) -6℃~2℃, (평년) -3.5℃
* 해남지역 강설(1.20~22) : 1.7cm 3. 수급안정대책 추진 가격이 오른 노지월동채소, 계란 등 최근 이슈 품목 위주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수급대책 집중 추진

주요 품목 대책 추진 방향
계란
ㅇ 농협 및 양계협회 공공비축용 지원 강화
- 계란 납품 농가 추가확보를 통해 성수기 안심계란, 양계농협 및 하나로마트 공급량 확대
- 양계협회 소속 대규모 산란계 사육농가로부터 494만개 매입
* 1.18일부터 농가 매입 추진(494만개 매입확정, 양계농협 181만개 포장 실시) ㅇ AI 방역대내 반출제한 계란 출하조절(1.18일 672만개, 1.25일 700만개)
- GP센터, 계란유통협회 1.24~26일부터 가정 소비용으로 출하 집중
ㅇ 신선 계란 수입 물량 공급
- 민간 610만개(358톤) 수입 완료, aT 명절 계란수급안정을 위한 aT 위탁공급 계획(50톤) 배추·무
ㅇ (동향) 주산지(제주, 전남 해남) 태풍 피해 등으로 겨울배추무 가격은 높은 수준, 봄 작형 출하(4월 중순) 전까지 강세가 예상되나, 기상여건이 양호해 추가 상승은 없을 전망
* 배추 생산량은 전년보다 9~12% 감소한 281~291천톤, 겨울무는 전년보다 16~27% 감소한 192~221천톤 전망
ㅇ (대책) 정부보유물량 설 성수기 집중 공급 및 할인판매 확대
- (공급확대) 생산출하안정제 및 비축 물량(배추무 각 28,000톤)을 명절 성수기(1.13~26)와 단경기(2~3월)에 집중 시장 공급 및 봄배추 2,000톤 조기 출하(3월 말), 대체품목(열무 등) 1,000톤 이상 추가 생산
- (할인판매) 대형마트, 전통시장 등에 비축물량 등 저가에 직공급(1.13~26)*
* 배추 1,100톤 2,500원/포기(시세대비 40%↓), 무 1,300톤 1,500원/개(50%↓)
- (출하유도) 지역농협, 유통인, 도매시장 법인 등의 자율적 시장 출하량 조절을 유도하고, 담합 등 부정유통 관리감독 강화

‘설 성수품 수급대책*’ 추진
설 성수품 가격 및 공급실적(1.13~20(8일간))
ㅇ 가격지수는 95, 공급실적은 계획대비 111% 홍보 및 현장점검 등
ㅇ (설 수급대책반) 농식품부차관을 반장으로 4개반 운영('17.1.6~26)
ㅇ (특판장 개설) 직거래장터 등 : (계획) 2,443개소 → (실적) 2,386개소(98%)
ㅇ (브리핑홍보) 설 이전 유통성수기 대비 현장 집중 브리핑 및 홍보
* (우리부) 최근 농축산물 가격동향 및 수급안정대책 설명(1.18, 1.20), 설 성수품 수급안정 대책 브리핑(1.10), 설 장바구니물가 비상 관련 설명자료(1.9)
* (기타) 설 차례상차림비용 조사결과 발표(aT, 1.13, 1.18), 수급동향 및 알뜰소비 홍보(라디오인터뷰(aT, 1.16)), 설 명절 한손과일 소비촉진 행사(농협, 1.17), 임산물 소비촉진 행사(산림청, 1.16~17)
ㅇ (현장점검) (장관) 주요 농축산물 수급상황 점검 관련기관 간담회(1.23.예정), 가락도매시장(1.9), 농협직거래장터(1.18), 경동시장(1.20)(차관) 수원농협하나로 1.20
ㅇ (유통점검) 원산지위반 단속(606), 가격표시 합동점검 4회(산업부 주관, 1.16∼1.20) 4. 향후계획
성수품의 차질 없는 공급, 농축산물 소비홍보 및 산지 모니터링* 강화 * 산지기동반(농업관측본부 3명, 2월까지 운영, 해남, 진도 등 배추 주산지 산지 작황출하상황 등 점검), 한파 대비 농가 기술지도 강화(농촌진흥청 등)
농업인 현장대응 SMS발송, 기술지원 자료 및 리플릿 배포 등
농식품부장관 주재 관계기관 물가대책회의 개최(1.23, 월)
ㅇ 설 직전 정부대책 점검, 비축물량 확대, 계란·배추·무는 설 이후에도 지속 추진
설 차례상 비용, 선물세트 조사 결과(3차) 등 소비정보 및 수급대책 정보 제공(1.23, 1.25)

[농림축산식품부 2017-0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93 2016년 유사수신 혐의업체의 특징과 소비자 유의사항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07 52
3592 1월 세계 식량가격지수, 소폭 상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06 51
3591 가정간편식(HMR) 시장규모 5년 사이 51.1% 성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06 70
3590 금융꿀팁 200선 - (31) 유망기업 성공투자법(1): 크라우드펀딩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06 55
3589 인터넷판매 축산물 허위·과대광고 행위 집중 점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06 51
3588 일하는 저소득층의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희망·내일키움통장 신규 모집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06 67
3587 2016년중 금감원 콜센터 1332로 접수된 주요 금융애로 상담사례 및 제도개선 내용(1) - 서민의 교통사고 합의금 마련 부담 해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06 61
3586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하지 않은 견과류가공품 회수 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03 53
3585 유전자변형식품 표시, 소비자 정보제공 범위 확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03 71
3584 브라질 여행 시 황열 예방백신 접종 및 감염 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03 84
3583 뇌전증 환자, 적극적 치료 및 예방 필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03 96
3582 안전하고 쾌적한 입원실(중환자실)로 거듭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03 78
3581 2016년 12월 소비자상담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03 56
3580 핸드크림, 보습성능과 사용감 고려하여 선택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03 92
3579 (주) 티앤아이의 부당한 표시광고행위에 대한 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02 59
Board Pagination Prev 1 ... 676 677 678 679 680 681 682 683 684 685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