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설 연휴기간 감염병 발생 주의 당부

질병관리본부, 전국 보건기관 비상방역 근무 체계 운영

설 연휴 발생 우려되는 감염병에 대비한 ‘설 연휴 감염병 예방수칙’ 발표

인플루엔자 유행 상황 지속에 따른 개인위생 수칙 준수 당부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는 설 연휴(‘17.1.27~1.30)를 대비해 전국 보건기관과 24시간 비상방역 근무체계를 운영하며, 긴급상황실(EOC)을 통한 상황파악 및 신속 대응을 실시한다.

이에 따라 설 연휴 기간 각종 감염병 발생 및 해외 감염병 국내 유입 방지를 위한 감염병 발생감시와 대응에 철저를 기하겠다고 밝혔다.

질병관리본부는 설 연휴에 발생이 우려되는 감염병에 대비하여 ‘설 연휴 감염병예방수칙(붙임 1)’을 발표하였으며, 우리 국민은 반드시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또한, 국립검역소는 인천공항을 비롯한 전국 주요공항 및 항만에서 AI 인체감염증, 지카바이러스, 메르스 등 해외감염병 예방을 당부하는 홍보 캠페인을 실시(‘17년 1월 23~26일)한다.

설 연휴기간에는 수인성‧식품매개질환, 인플루엔자, 해외여행에 따른 동물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AI),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뎅기열, 황열 등 모기매개 감염병 등의 감염병이 우려되고 있다.

명절에 친지간 음식 공동섭취 및 식품 관리 소홀 등으로 수인성·식품매개질환 집단발생이 가능하고 특히, 장관감염증(腸管感染症)*으로 겨울철에는 노로바이러스감염증**이 잘 나타난다.

* 세균·바이러스·원충에 감염되어 주로 소화기계 증상(설사, 구토, 복통 등)이 나타나는 질환

** 매년 11월부터 다음해 4월까지 연간 발생의 약 80∼90%가 발생

장관감염증을 예방하기 위해, 올바른 손씻기, 익혀먹기, 위생적인 조리과정 준수 등 ‘수인성‧식품매개질환 예방수칙’을 지키고,

가족 등 음식물 섭취 후 24∼48시간 후 구토, 설사 등이 발생한 경우에 병원에서 진료를 받도록 하고, 오염된 물품, 화장실 등에 염소소독(붙임2)을 한 후 사용하도록 한다.

인플루엔자는 의사환자 분율*이 ‘16년 52주 이후 3주 연속 감소하고 있으나, 아직 유행상황이며,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검출되기 시작하여 지속적인 주의가 필요하다.

* 인플루엔자의사환자분율 = 인플루엔자의사환자수/총진료환자수×1,000

** B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은 비교적 A형보다 증상이 가볍지만, 주로 봄철(4∼5월)까지 유행이 길게 지속되는 특징이 있음

☞ 최근 인플루엔자의사환자 분율: 2016년 52주(12.18∼24.) 86.2명, 53주(12.25.∼31.) 63.5명, 2017년 1주(1.1∼7.) 39.4명, 2주(1.8∼14.) 23.9명

인플루엔자와 같은 호흡기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선 손씻기를 자주하고, 기침예절을 준수하는 등 ‘호흡기 감염병예방수칙’을 지키도록 한다.

국외유입 감염병*은 ’10년 이후 매년 400건 내외로 보고되고 있어 해외여행을 할 때,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www.cdc.go.kr→해외질병)를 통해 여행 목적지의 감염병 정보를 확인하고 ‘해외여행 감염병예방수칙’을 지키고,

특히, ’16~’17절기 중국 내 AI(H7N9형)인체감염증** 환자 발생 증가가 확인되고 있어 중국 여행의 경우 조류농장과 생가금류 시장 방문을 자제하고 조류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는 등 ‘AI 인체감염 예방수칙’을 지켜야 한다.

* ’16년도 통계는 뎅기열(60%), 말라리아(10%), A형간염(5%), 세균성이질(4%), 지카바이러스감염증(3%) 등 대부분 모기매개 감염병 및 수인성 감염병이며, 주요 유입 지역은 아시아 지역(82%)과 아프리카 지역(9%)임.

** H7N9 인체감염 발생위험 지역은 H5N1과 유사하나 지리적으로 중국 남동부 지역에 집중되어있음(장쑤성, 저장성, 상하이, 안후이성, 후지안성, 후난성, 장씨성, 광동성, 광씨성 및 생가금류 시장 및 새가 서식하는 관광지, 관광농원)

또한 동남아 지역에서 뎅기열 증가,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발생도 지속되고 있으므로 임신부는 해당 국가로의 여행 연기를 권고하며, 일반 여행객은 여행 중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하는 등 ‘지카바이러스 감염병 예방행동 수칙’을 지키도록 한다.

* 최근 6개월 이내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환자 발생 국가 및 관련 정보는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www.cdc.go.kr)에 게시 중

또한, 국민은 보건기관의 신속한 대응을 위하여 집단설사 환자 등(2인 이상) 발생 및 AI인체감염의심 시 가까운 보건소에 즉시 신고하고,

오염지역(붙임 6)을 방문한 경우 입국할 때 건강상태 질문서를 성실하게 작성하여 검역관에게 제출하도록 하고(※미제출 시 2.4일부터 과태료 700만원 부과) 귀가 후 발열 및 호흡기 유증상 발현 시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로 연락할 것을 당부하였다.

 

[보건복지부 2017-0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57 앞으로 국민연금 가입증명서에서 비정규직, 계약직 등 단어 사라진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24 107
3656 벤츠, 포르쉐, 다임러트럭, 혼다 리콜 실시(총 13개 차종 850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24 70
3655 식약처 불량식품 기동단속팀, 지난해 식품위생 법규 위반업체 282곳 적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23 112
3654 인터넷 쇼핑몰 ‘카라멜클로젯’, ‘칸쵸걸’ 소비자피해 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23 85
3653 환전, 로밍 등 여행 관련 서비스에 부수적으로 제공되는 여행자보험 사고위험 대비 충분치 않고, 핵심내용에 대한 안내도 부족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23 173
3652 새마을·무궁화호 열차 서비스 크게 개선된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23 75
3651 과밀부담금도 이제 신용카드로 간편하게 납부 가능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23 68
3650 금융감독원-경찰청의 협업, 3만여명에게 카드깡을 한 조직 검거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23 59
3649 국민의 전세금 걱정을 덜어드리겠습니다.(집주인 동의 없는 전세금보장보험 등 국민부담 완화 3종 세트 마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23 63
3648 금융꿀팁 200선 - (34) 신분증 분실시 금융피해 예방요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23 58
3647 "명의상 사업주에 부과된 4대보험료, 취소 까다로우니 주의 필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23 128
3646 수입식품 원재료 등 허위신고 행정처분 강화된다 !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22 68
3645 봄 개학맞이 학교주변 어린이 기호식품 조리.판매업소 위생 점검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22 78
3644 구제역;AI 관련 축산물 부당 가격인상 점검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22 62
3643 ‘봄향기 느끼기 좋은 농촌관광코스 10선’선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22 56
Board Pagination Prev 1 ... 672 673 674 675 676 677 678 679 680 681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