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12개부처 식품안전정보 연계․통합 및 대국민 공개 -

◈ 이런 식품 드시지 마세요
- 회수 판매 중지식품, 행정처분 현황, 원산지표시위반 등 정보 제공
◈ 우리동네 식품안전정보
- 사는 곳 주변 음식점의 인허가 현황, 자녀가 다니는 학교 식단 등 정보 제공
◈ 내 건강에 도움이 되는 정보들
- 생애주기별 맞춤형 안전한 식생활 정보 제공
◈ 부처, 지자체 식품사고 공동 대응
- 중앙정부 내, 지자체간 식품 안전 정보 실시간 통합·활용

□ 앞으로는 우리 아이가 다니는 학교의 식단·급식정보, 회수 판매 중지 식품, 원산지표시위반 정보 등 각 부처에 분산되어 있는 159개 식품안전 정보를 한 곳에서 손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된다.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승희)는 박근혜정부 ‘4대 사회악’ 중 하나인 ‘불량식품’ 척결을 위해 행자부, 농식품부, 산업부 등 12개 부처의 식품안전정보를 한 곳에 모은 ‘통합식품안전정보망’을 구축하고, 오는 6월 30일부터 159종의 안전 ‘먹을거리’ 정보를 본격 제공한다고 밝혔다.
※ 12개 부처: 식약처, 행자부, 농식품부, 해수부, 교육부, 복지부, 환경부, 산업부, 국방부, 법무부, 관세청, 방사청

□ ‘통합식품안전정보망’은 ▲식품안전정보 포털(www.foodsafetykorea.go.kr) ▲식품정보활용시스템 ▲식품행정통합시스템 등 3개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식품안전정보 포털>
○ ‘식품안전정보포털’은 일반 국민과 식품업체가 필요로 하는 ▲우리동네 음식점은 안전할까? ▲이런 식품 드시지 마세요 ▲내 건강에 도움 되는 정보들 ▲식품 산업체 지원 서비스 등이 제공된다.
○ ‘우리동네 음식점은 안전할까?’는 사는 곳 주변 음식점의 인허가 현황과 행정처분 정보, 자녀가 나니는 학교의 식단, 식재료공급업체 현황 등 학교급식 정보 등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다.

<사례 > 아이를 학교에 보내는 학부모의 경우
▶ (지금까지는) 초등학생을 자녀로 둔 A씨는 우리 아이가 학교에서 무엇을 먹고 있는지? 먹고 있는 식재료는 안전한지 궁금한데, 학교에 물어보기도 어렵고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었음
▶ (이제부터는) 우리 아이가 학교에서 무엇을 먹고 있는지 학교급식 식단뿐만 아니라 식재료를 납품하는 업체의 행정처분 여부 등을 한 번 검색으로 쉽게 확인 할 수 있음

○ ‘이런 식품 드시지 마세요’는 회수 판매 중지 식품, 행정처분 현황, 원산지표시위반 정보 등을 공개하여 제품을 선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였으며, 부정·불량식품 발견 시에는 포털을 통해 신고도 가능하다.

<사례 > 집 주변 음식점에서 외식을 자주하는 소비자의 경우
▶ (지금까지는) 맞벌이를 하는 A씨는 주말마다 집 주변 음식점을 자주 이용하는데, 단골 음식점을 이용할 때 혹시 위생상태 불량으로 행정처분을 받은 적은 없는지 궁금해도 어디서 어떻게 확인하는지 방법을 몰라 확인하지를 못하였음
▶ (이제부터는) 식품안전정보포털에서 지도에서 자신이 사는 동네의 음식점들을 한눈에 볼 수 있어 집 주변 음식점의 행정처분 정보 등을 한 번 검색으로 쉽게 확인 할 수 있음

○ ‘내 건강에 도움이 되는 정보들’은 어린이, 청소년, 주부, 임신부, 노인 등 생애주기별 정보와 건강, 다이어트, 통계정보 등을 제공하고 건강하고 안전한 식생활을 지원한다.
○ ‘식품 산업체 지원 서비스’는 식품업체를 위하여 회사의 인허가, 제품생산, 교육이수, 시설정보 등을 조회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식품안전 관련 데이터를 누구나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사례> 공공정보를 활용한 모바일웹 개발자의 경우
▶ (지금까지는) 모바일웹 개발자 A씨는 식품관련 정보를 활용하여 모바일웹을 개발하여 국민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싶어도 웹개발을 위한 식품안전정보를 제공하는 정부기관이 없어 모바일웹을 개발할 수가 없었음
▶ (이제부터는) 식품안전정보포털에서 ‘데이터활용서비스’(개방형API) 형식으로 식품영양성분DB, 식품제조업체·음식점 등의 인허가 정보, 행정처분 정보 등 식품안전정보가 제공되어 상업화를 위한 웹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음

○ ‘식품안전정보포털’은 홈페이지 www.foodsafetykorea.go.kr로 방문하면 된다.

<식품행정통합시스템·식품정보활용시스템>
○ ‘식품행정통합시스템’은 식약처와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업무에 대한 실시간공유 시스템으로서, 설·추석 명절단속, 유통식품 수거·검사, 행정처분 등 각종 안전관리 업무가 전국적으로 표준화되고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 ‘식품정보활용시스템’은 각 부처가 통합된 정보를 공동으로 활용하는 시스템으로서, 통합 식품안전 정보를 식품안전 정책 수립, 지도·점검, 수거·검사 등에 공동으로 활용하여 식품사고를 범정부 차원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식약처는 통합식품안전정보망의 본격 운영에 따라 공공정보의 민간 개방이 활성화되고 국민은 생활 속에서 꼭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등 식품안전 관리 행정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였다.
○ 또한 앞으로 국민의 활용 실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제공정보를 추가 발굴하는 한편, 정보 활용도를 높여 나가기 위해 각 부처에서 보유한 정보의 추가 연계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5-06-3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35 습기제거제 비교정보 생산 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6 74
934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Nylabone 애완동물용 간식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5 79
933 손가락 끼일 위험 있는 실버크로스 유모차 판매중지 및 환급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5 161
932 요즘 잘 나가는 농산물 직거래, 국민호응도 높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5 105
931 「구강보건법」시행령, 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5 78
930 말기 암 ‘호스피스 입원’ 건강보험 적용 시작, 연내 ‘가정 호스피스’도 시행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5 125
929 번호판 영치된 차량의 의무보험 미가입 과태료 면제 추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5 134
928 비행안전 확보, 공항주변 주민의 재산권 보호 등 ‘고도제한 해법 찾기’항공전문가 모여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5 98
927 DART 공시정보 실시간 알람 서비스 오픈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5 70
926 감전 위험 있는 Nitecore 배터리 충전기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4 228
925 감전 위험 있는 Doogee 휴대폰 충전기 어댑터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4 182
924 맞춤형 도로명주소 우편·택배 안내도 인터넷으로 간편하게 출력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4 79
923 ㈜애플비북스, 실로폰 완구 환급 또는 교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4 65
922 “누리망예약으로 편리한 시간에 교통사고 조사를 받으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4 82
921 펀드시장 질서 확립을 위한 개선대책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4 79
Board Pagination Prev 1 ... 857 858 859 860 861 862 863 864 865 866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