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슬라이딩 자동문(미닫이 자동문), 어린이 안전사고 주의

- 어린이의 손·발 끼임 사고 많아 -

최근 생활이 편리해지고 기술이 발달하면서 건축물에 보행자용 자동문* 설치가 보편화되고 있으나 일부 시설들이 한국산업표준(이하 KS)을 따르지 않거나 주의·경고표시 등을 부착하지 않아 소비자들의 안전사고 발생이 우려된다.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에 따르면, 2013년 1월부터 2016년 9월까지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이하 CISS)에 접수된 자동문** 관련 위해사례는 총 319건으로 매년 소비자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 보행자용 자동문은 평판 자체가 수평으로 움직이는 하나 이상의 문짝을 가진 ‘미닫이 자동문’, 수직 장자리에 부착된 경첩이나 힌지 등으로 문짝이 작동되는 ‘여닫이 자동문’, 두 개 이상의 문짝을 가지문짝이 수직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개폐되는 ‘회전 자동문’ 등이 있으며 동 보도자료는 ‘미닫이형 자동문’을 대상으로 함. (한국산업표준 규격 KS F 3120:2011)

** 보행자용 자동문(미닫이, 여닫이, 회전 자동문) 중 미닫이 자동문 대상

어린이 안전사고가 43.1%, 손·발의 ‘끼임·눌림’ 다수

연령이 확인되는 297건을 분석한 결과, 만 14세 이하 어린이 안전사고가 128건(43.1%)이고, 그 중 만 1세에서 3세 사이 ‘걸음마기’ 어린이가 83건(64.8%)로 다수를 차지하였다.

위해유형으로는 자동문에 손·발이 끼이는 ‘끼임·눌림’이 107건(83.6%)으로 가장 많았고, 충돌하는 ‘부딪힘·충격’이 19건(14.8%)이었다.

대다수 시설, 문틈 ‘손가락 보호 안전 치수’ 미준수

공동주택 및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된 자동문 30개소를 조사한 결과, 26개소(86.7%)가 KS*의 ‘움직이는 문짝과 고정문 프레임 사이’ 안전 치수 기준을 준수하지 않아 문틈으로 손이 끼여 빨려 들어갈 우려가 높았고, 12개소(40.0%)는 ‘문짝과 바닥 사이’ 안전 치수 기준에 부적합하여 발이 끼일 가능성이 있었다.

* KS 보행자용 자동문관련 기준에 따르면, 미닫이 자동문의 경우 ‘움직이는 문짝과 고정문 프레임 사이’와 ‘문짝과 바닥 사이’ 간격이 ‘8mm 이하(손·발 끼임 가능성이 낮은 좁은 간격)’ 또는 ‘25mm 이상(손·발 끼임이 발생하더라도 상해 발생 가능성이 낮은 넓은 간격)’의 안전 치수를 확보할 것으로 규정함.

다만, 한국산업표준 기준은 강제력이 없어 준수 여부는 업체 자율사항임.

1

‘자동문’ 또는 ‘주의·경고’ 표시 미흡

조사대상 30개소 중 17개소(56.7%)는 자동문임을 알려주는 안내 표시가 부착되어 있지 않았고, 손끼임 주의 표시가 없는 곳도 24개소(80.0%)에 달해 충분한 안전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었다. 그러나 일부 시설에서는 어린이눈높이에 도안이 포함된 주의표시 스티커를 부착하여 어린이가 쉽게 위험을 인지할 수 있도록 조치한 경우도 있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관계부처에 ▲ 어린이 관련 주요 시설 내 슬라이딩 자동문 설치 시 KS 기준 준수 ▲ 어린이 눈높이에 주의경고 표시 부착 확대를 요청할 계획이다. 또한, 어린아이를 동행하는 보호자들에게는 ▲ 아이들이 자동문에 손·발이 끼이지 않게 주의하고, ▲ 자동문이 충분히 열리고 난 뒤 이동하도록 지도를 당부했다.

22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피해발생 문의처

 

[한국소비자원 2017-01-1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5 '손소독제' 인가요? '의약외품' 표시를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04 32
214 '생애주기 원스톱서비스'로 불편 덜고 만족 높이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1 43
213 '상속인 금융거래 조회서비스' 대상범위 확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0 148
212 '부정.불량식품 신고'가 쉽고 간편해졌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13 56
211 '보험업법 시행령 및 감독규정' 개정 입법예고(9.9.~10.19.)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09 41
210 '보험산업 경쟁력 강화 로드맵'의 차질 없는 이행을 위한 향후 보험 감독-검사-제재 운영방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0 100
209 '보험사기 예방 3중 레이다망' 본격 가동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28 187
208 '보조금24'를 가장 먼저 경험할 국민을 찾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18 21
207 '보이스피싱에 가담하지 않은 선의의 사기이용계좌 명의인의 계좌 지급정지가 일부 종료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2 139
206 '민어' 인지 '꼬마민어' 인지 표시로 확인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4 45
205 '모바일 문서24’ 개통, 공문서 처리내용 모바일로 확인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0.26 36
204 '맞춤형화장품' 3월 14일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13 26
203 '막힌 빗물받이' 안전신문고로 신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6 18
202 '마약류 도우미 서한'으로 마약류 처방량 감소 효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27 24
201 '마약류 도우미 서한'으로 마약류 처방량 감소 효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27 12
Board Pagination Prev 1 ... 907 908 909 910 911 912 913 914 915 916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