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슬라이딩 자동문(미닫이 자동문), 어린이 안전사고 주의

- 어린이의 손·발 끼임 사고 많아 -

최근 생활이 편리해지고 기술이 발달하면서 건축물에 보행자용 자동문* 설치가 보편화되고 있으나 일부 시설들이 한국산업표준(이하 KS)을 따르지 않거나 주의·경고표시 등을 부착하지 않아 소비자들의 안전사고 발생이 우려된다.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에 따르면, 2013년 1월부터 2016년 9월까지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이하 CISS)에 접수된 자동문** 관련 위해사례는 총 319건으로 매년 소비자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 보행자용 자동문은 평판 자체가 수평으로 움직이는 하나 이상의 문짝을 가진 ‘미닫이 자동문’, 수직 장자리에 부착된 경첩이나 힌지 등으로 문짝이 작동되는 ‘여닫이 자동문’, 두 개 이상의 문짝을 가지문짝이 수직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개폐되는 ‘회전 자동문’ 등이 있으며 동 보도자료는 ‘미닫이형 자동문’을 대상으로 함. (한국산업표준 규격 KS F 3120:2011)

** 보행자용 자동문(미닫이, 여닫이, 회전 자동문) 중 미닫이 자동문 대상

어린이 안전사고가 43.1%, 손·발의 ‘끼임·눌림’ 다수

연령이 확인되는 297건을 분석한 결과, 만 14세 이하 어린이 안전사고가 128건(43.1%)이고, 그 중 만 1세에서 3세 사이 ‘걸음마기’ 어린이가 83건(64.8%)로 다수를 차지하였다.

위해유형으로는 자동문에 손·발이 끼이는 ‘끼임·눌림’이 107건(83.6%)으로 가장 많았고, 충돌하는 ‘부딪힘·충격’이 19건(14.8%)이었다.

대다수 시설, 문틈 ‘손가락 보호 안전 치수’ 미준수

공동주택 및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된 자동문 30개소를 조사한 결과, 26개소(86.7%)가 KS*의 ‘움직이는 문짝과 고정문 프레임 사이’ 안전 치수 기준을 준수하지 않아 문틈으로 손이 끼여 빨려 들어갈 우려가 높았고, 12개소(40.0%)는 ‘문짝과 바닥 사이’ 안전 치수 기준에 부적합하여 발이 끼일 가능성이 있었다.

* KS 보행자용 자동문관련 기준에 따르면, 미닫이 자동문의 경우 ‘움직이는 문짝과 고정문 프레임 사이’와 ‘문짝과 바닥 사이’ 간격이 ‘8mm 이하(손·발 끼임 가능성이 낮은 좁은 간격)’ 또는 ‘25mm 이상(손·발 끼임이 발생하더라도 상해 발생 가능성이 낮은 넓은 간격)’의 안전 치수를 확보할 것으로 규정함.

다만, 한국산업표준 기준은 강제력이 없어 준수 여부는 업체 자율사항임.

1

‘자동문’ 또는 ‘주의·경고’ 표시 미흡

조사대상 30개소 중 17개소(56.7%)는 자동문임을 알려주는 안내 표시가 부착되어 있지 않았고, 손끼임 주의 표시가 없는 곳도 24개소(80.0%)에 달해 충분한 안전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었다. 그러나 일부 시설에서는 어린이눈높이에 도안이 포함된 주의표시 스티커를 부착하여 어린이가 쉽게 위험을 인지할 수 있도록 조치한 경우도 있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관계부처에 ▲ 어린이 관련 주요 시설 내 슬라이딩 자동문 설치 시 KS 기준 준수 ▲ 어린이 눈높이에 주의경고 표시 부착 확대를 요청할 계획이다. 또한, 어린아이를 동행하는 보호자들에게는 ▲ 아이들이 자동문에 손·발이 끼이지 않게 주의하고, ▲ 자동문이 충분히 열리고 난 뒤 이동하도록 지도를 당부했다.

22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피해발생 문의처

 

[한국소비자원 2017-01-1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645 대리점거래 불공정관행 근절대책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4 35
5644 기아, 르노, 벤츠, 볼보, 포르쉐, 피아지오, 인디언 리콜 실시(총 30개 차종 287,955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4 45
5643 상습 체납차량 번호판 일제 영치의 날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3 31
5642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대진침대 매트리스 라돈 피해 관련 집단분쟁조정 접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3 39
5641 안전하게 조제된 한약인지 확인 쉬워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3 39
5640 기초연금 ‘소득역전방지 감액제도’ 개선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3 116
5639 내년부터 자율주행 버스·화물차 일반 도로에서 만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3 33
5638 매매한 부동산의 재산세는 누가 부담할까?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3 43
5637 산란계 농가의 계란 검사 결과, 부적합 계란 회수·폐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3 29
5636 상조회사가 소비자의 계약해제 신청을 방해하는 사례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3 35
5635 긴급신고전화 통합으로 신고는 쉽게, 출동은 빠르게!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1 30
5634 유통기한 경과제품 사용 및 HACCP 허위표시 업체 적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1 41
5633 총 아플라톡신 기준 초과 ‘땅콩 또는 견과류가공품’ 회수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1 34
5632 식약처, 수입식품 현지 생산단계 안전관리 강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1 21
5631 중환자 생명권 보호를 위한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추진 시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1 33
Board Pagination Prev 1 ... 545 546 547 548 549 550 551 552 553 554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