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즉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한복, 염색불량으로 인한 세탁 후 변색 많아

- 품질 정보 및 취급시 주의사항 꼼꼼히 확인 필요 -

염색불량 또는 세탁과실로 한복이 변색되거나 손상되는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에 따르면 2013.1.~2016.10. 한복 세탁 관련 피해구제 신청 211건 중 객관적 책임소재 규명을 위해 섬유제품심의위원회*에서 심의한 건은 191건으로, 이 중 세탁물 손상 책임이 제조업체 또는 세탁업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는 46.1%(88건)였다.

* 한국소비자원은 의류·가방·피혁 제품관련 소비자분쟁에 대해 객관적 책임소재 규명을 위해 내·외부전문가를 위촉하여 심의를 하고 있음.

[ 한복 세탁 관련 소비자상담 및 피해구제 접수 현황 ] [단위: 건(%)]
구 분2013년2014년2015년2016.1~10월
소비자상담 (증감율)366466 (27.3)416 (△10.7)3541,602
피해구제 (증감율)6543 (△33.8)56 (30.2)47211

염색불량·세탁과실 등 제조·세탁업체 책임 46.1%

세탁물 손상 책임은 세탁업체보다 제조업체에 있는 경우가 더 많았다. 이염·변색 등 염색·소재·봉제 불량‘제조업체 책임’28.3%(54건)였고, 세탁 미숙, 세탁방법 부적합 등의 ‘세탁업체 책임’17.8%(34건)를 차지했다.

그 밖에 소비자가 한복을 착용하는 과정에서 부주의하게 취급하거나 얼룩을 오래 방치하여 손상된 경우도 19.9%(38건)에 달했다. 특히, 오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과도한 마찰에 의해 원단이 손상되거나 변색되는 사례가 많았다.

[ 책임소재 및 손상원인 ] [단위: 건(%)]
책임소재원인건수(비율)소계(비율)
제조업체염색불량(이염, 변색 등)44(23.1)54(28.3)
소재 및 봉제 불량(장식 탈락 등)10(5.2)
세탁업체세탁 미숙에 의한 원단 손상24(12.6)34(17.8)
세탁방법 부적합10(5.2)
소비자외부 오염 방치 등 취급부주의38(19.9)38(19.9)
기타하자로 보기 어려움, 원인 규명 불가 등65(34.0)65(34.0)
191(100.0)
환급·교환·배상 등 합의율 53.4%

심의결과 제조업체 또는 세탁업체에 책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88건 중 환급, 교환, 배상 등 합의가 이루어진 경우는 53.4%(47건)였다.

합의가 되지 않은 사례는 의류 특성상 착용 및 세탁 이후 발견된 하자에 대해 사업자가 책임을 회피하거나 소비자가 규정보다 과다하게 보상을 요구하는 경우, 피해 입증 자료가 미흡한 경우 등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 피해예방을 위해 ▲한복 구입 시 품질정보 및 취급 주의사항을 확인하고 ▲오염물이 묻은 경우 수건 등으로 두드리듯 닦아 낸 뒤 빠른 시일 내 세탁하며 ▲세탁을 맡길 때는 세탁업자와 함께 상태를 꼼꼼히 확인 인수증을 받고 ▲세탁 후엔 비닐을 제거하고 한지에 싸서 상자에 보관할 것을 당부했다.

소비자 피해 사례
[사례1] 염색불량으로 세탁 후 저고리 탈색

▶ 엄○○씨(여, 50대)는 2016. 5. 한복을 구입하여 자녀 결혼식에서 착용한 뒤 같은 해 6월 세탁소에서 세탁했으나, 저고리가 전체적으로 색이 변하고 앞부분에 얼룩이 생김.

▶ 섬유제품심의위원회 심의 결과, 음식물 얼룩을 지우는 세탁 과정에서 원단의 염색성이 낮아 전체적인 탈색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확인됨.

[사례2] 가공불량으로 세탁 후 금박장식 훼손

▶ 박○○씨(남, 40대)는 2015. 5. 한복을 세탁소에서 세탁한 후 확인해보니 한복 치마의 금박 무늬가 떨어짐.

▶ 섬유제품심의위원회 심의 결과, 한복에 장식된 금박 소재의 가공 불량으로 인해 세탁 과정에서 탈락된 것으로 확인됨.

[사례3] 드라이클리닝 제품을 물세탁하여 원단 훼손

▶ 김○○씨(남, 40대)는 2016. 6. 한복을 세탁소에서 드라이클리닝 한 후 비닐 포장 상태 그대로 보관함.

▶ 그 해 추석에 입으려고 보니 저고리 양쪽 어깨부분이 탈색되고 주름이 잡히는 등 오래된 옷처럼 낡았음.

▶ 섬유제품심의위원회 심의 결과, 드라이클리닝 해야 할 제품을 물세탁하여 원단이 훼손된 것으로 확인됨.

[사례4] 오염을 방치하여 세탁 후 얼룩 발생

▶ 구○○씨(여, 60대)는 2016. 1. 한복 착용 후 고기 국물을 치마에 흘렸지만 바로 세탁하지 않고 시간이 지난 뒤 세탁하였는데 치마에 얼룩이 생김.

▶ 섬유제품심의위원회 심의 결과, 외부에서 흡착된 물질이 세탁 과정에서 전부 지워지지 않아 얼룩이 남은 것으로 소비자 과실로 확인됨.

소비자 주의 사항
한복의 소재 및 색상에 따라 염색상태 등 품질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꼼꼼히 확인 후 구입한다.

한복 원단은 견 섬유에 염료를 입혀 염색하는데, 소재나 색상에 따라 염색 품질에 차이를 보이므로 품질정보 및 취급 주의사항 등을 꼼꼼히 확인한 뒤 구입한다.

착용 중 오염물이 묻은 경우 가능한 빨리 세탁한다.

한복 소재 특성상 마찰에 취약하고 물티슈 등에 포함된 화학약품에 의해 변색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한복에 오염물질이 묻었을 때에는 수건 등으로 두드리듯 닦아 낸 뒤 빠른 시일 내에 세탁한다.

세탁 의뢰 시 제품의 상태를 확인하고 인수증을 꼭 받아둔다.

세탁 이후 발견된 하자에 대해 사업자가 책임을 회피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세탁 의뢰 시 세탁업자와 함께 상태(오염 원인과 위치 등)를 확인하고, 반드시 인수증을 받아둔다.

완성된 세탁물은 가능한 한 빨리 회수하여, 하자 유무를 즉시 확인한다.

세탁업 표준약관 제10조(면책)에 의하면 소비자는 완성된 세탁물을 찾아간 날로부터 6개월 이내에 하자에 대한 수선 혹은 손해배상을 요구할 수 있고, 이 기간이 지나면 세탁업자는 하자에 대한 책임을 면하도록 되어 있다.

세탁 후에는 비닐을 제거한 뒤 한지에 싸서 상자에 보관한다.

한복은 수분이나 휘발 성분이 제거되지 않으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세탁 후 반드시 비닐을 제거하고 눅눅한 환경을 피해 보관하며, 이 때 한지에 싸서 상자에 보관하면 자연적인 방충과 방습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자율적인 분쟁 해결이 어려운 경우, 공정거래위원회가 운영하는 전국 단위 소비자상담 통합 콜센터 1372소비자상담센터(국번 없이 1372, www.ccn.go.kr)에 도움을 요청한다.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피해발생 문의처

[한국소비자원 2016-12-1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0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선정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15 26
649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로 내년부터 누구나 학점을 취득할 수 있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06 57
648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로 학점은행제 학점 취득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4 63
647 한국화낙(주) 등 3개사의 불공정 하도급거래행위에 대한 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2 56
646 한글로 된 사이트라도 해외구매일 수 있어 주의 필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2 76
645 한글표시사항 무 표시한 중국산 나눔냄비 회수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19 30
644 한미약품 올리타정(올무티닙) 말기암 환자 치료 고려 제한적 사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05 96
643 한방 추나요법, 아동 광중합형 복합레진 충전 등 건강보험 적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03 84
642 한방진료 분쟁 중 한약 치료 관련 피해가 절반 이상 차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0.27 19
641 한번 쓰고 버리는 비닐…사용은 억제하고 재활용은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02 31
» 한복, 염색불량으로 인한 세탁 후 변색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15 372
639 한부모 가족을 위한 정부지원 정보를 한 눈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05 37
638 한부모 가족을 위한 필수 정보를 한 손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27 20
637 한부모·조손가족에게 힘이 되는 정보, 한 곳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30 49
636 한부모‧조손가족 복지 서비스를 한눈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02 18
Board Pagination Prev 1 ... 878 879 880 881 882 883 884 885 886 887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