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실내 인테리어용 시트지, 카드뮴과 납 다량 검출
- 현행 벽지 안전기준에 중금속 항목 없어 관리 필요 -

최근 전문가 손을 빌리지 않고 직접 집을 꾸미는 셀프 인테리어가 유행하면서 시트지와 폼블럭 등 DIY 벽지*의 수요가 높다. 그러나 시트지 제품 일부에서 카드뮴과 납이 다량 검출돼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시트지의 정의와 사용법 설명

□ 현행 벽지 안전기준은 모두 충족하나, 10개 제품에서 중금속 다량 검출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시판중인 시트지 및 폼블럭 총 25개 제품을 시험 검사한 결과, 현행 벽지 안전기준*에서 정하고 있는 폼알데하이드 방출량과 프탈레이트 가소제 함량은 전 제품 모두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질경영 및 공산품안전관리법 상 기준
그러나 시트지 10개 제품(40.0%)에서 중금속인 카드뮴과 납이 응용기준*을 초과하여 검출됐다. 기준치 대비 최고 15.5배 검출된 카드뮴은 국제암연구소(IARC)가 지정한 ‘인체발암물질 1군’으로 분류되며, 최고 10.7배 검출된 납은 반복 노출 시 중추신경 장애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중금속이 검출된 제품 10종 중 3종은 카드뮴과 납이 모두 초과 검출돼 더욱 문제가 되었다.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상 기준

현재, 벽지 안전기준에는 카드뮴, 납 등 중금속에 대한 기준이 마련돼 있지 않다. 이번에 중금속이 검출된 제품은 현행 안전기준은 만족하고 있으나, 향후 중금속 관련 기준 마련 등을 통해 관리할 필요가 있다.

□ 상당수 제품이 제조자명·제조연월 등 제품정보 표시 안 해

조사 대상 제품 중 모델명, 제조자명, 제조연월 등 벽지 표시기준에 따른 제품정보를 모두 표시한 제품은 6개(24.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15개(60.0%)는 제품정보를 전혀 표시하지 않았으며, 4개(16.0%)는 표시항목 중 일부를 누락했다.

표시항목별로는 ‘제조연월’ 18개(72.0%), ‘모델명’과 ‘제조자명’ 각각 15개(60.0%) 제품이 표시하지 않았으며, 제조자 주소(16개, 64.0%) 및 전화번호(15개, 60.0%)도 상당수가 표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중금속이 다량 검출된 제품에 대해서는 사업자들에게 자율시정을 권고했으며, 해당 업체들은 품질 개선 등의 조치를 하기로 했다.

한편, 한국소비자원의 조사 결과에 따라 관계부처인 국가기술표준원은 시트지에 대한 카드뮴, 납 등의 중금속 함량기준을 마련하여 내년 중 도입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현행 안전관리의 대상이 아닌 폼블럭에 대해서도 대상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2016-11-2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073 노닐페놀이 과다하여 장기 손상 위험이 있는 Haglofs 스포츠 장갑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 2024.02.15
4072 케이블 마모되어 화상 및 감전 위험이 있는 Ikea 충전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4.02.15
4071 사용 중 칼날이 떨어져 사용자 부상 위험이 있는 Cuisinart 믹서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4.02.15
4070 퓨즈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아 화재 위험이 있는 헤어드라이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4.02.15
4069 변압기의 품질이 낮으며 전기 감전 위험이 있는 Bamse 무선 드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4.02.15
4068 과열보호장치가 장착되어 있지 않아 화재 위험이 있는 Jigong 열풍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4.02.15
4067 플러그 접촉핀 절연처리 되지 않아 감전 위험이 있는 Tetris 와플메이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4.02.15
4066 감전 위험있는 Tumakou 고주파 미용기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 2024.02.15
4065 감전 위험있는 FOXSUR 차량용 배터리 충전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4.02.15
4064 가전쇼핑몰 DH store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4.02.14
4063 온라인쇼핑몰 노리터 온라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4.02.14
4062 홈쇼핑업체 온쇼핑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4.02.14
4061 피해다발업체-캐쉬메이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4.02.14
4060 B형 인플루엔자 유행 증가세, 지금이라도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서두르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 2024.02.01
4059 이런 해외직구식품 구매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4.02.01
4058 의약외품 액상소화제 용법·용량에 맞춰 복용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4.01.31
4057 설 선물 구매할 때 허위.과대.부당 광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 2024.01.31
4056 주요 민원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4.01.31
4055 불법 채권추심 관련 3차 금융소비자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4.01.30
4054 화재 위험 있는 MASPRO 보안 카메라 및 모니터 세트(WHC10M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4.01.25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