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실내 인테리어용 시트지, 카드뮴과 납 다량 검출
- 현행 벽지 안전기준에 중금속 항목 없어 관리 필요 -

최근 전문가 손을 빌리지 않고 직접 집을 꾸미는 셀프 인테리어가 유행하면서 시트지와 폼블럭 등 DIY 벽지*의 수요가 높다. 그러나 시트지 제품 일부에서 카드뮴과 납이 다량 검출돼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시트지의 정의와 사용법 설명

□ 현행 벽지 안전기준은 모두 충족하나, 10개 제품에서 중금속 다량 검출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이 시판중인 시트지 및 폼블럭 총 25개 제품을 시험 검사한 결과, 현행 벽지 안전기준*에서 정하고 있는 폼알데하이드 방출량과 프탈레이트 가소제 함량은 전 제품 모두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질경영 및 공산품안전관리법 상 기준
그러나 시트지 10개 제품(40.0%)에서 중금속인 카드뮴과 납이 응용기준*을 초과하여 검출됐다. 기준치 대비 최고 15.5배 검출된 카드뮴은 국제암연구소(IARC)가 지정한 ‘인체발암물질 1군’으로 분류되며, 최고 10.7배 검출된 납은 반복 노출 시 중추신경 장애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중금속이 검출된 제품 10종 중 3종은 카드뮴과 납이 모두 초과 검출돼 더욱 문제가 되었다.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상 기준

현재, 벽지 안전기준에는 카드뮴, 납 등 중금속에 대한 기준이 마련돼 있지 않다. 이번에 중금속이 검출된 제품은 현행 안전기준은 만족하고 있으나, 향후 중금속 관련 기준 마련 등을 통해 관리할 필요가 있다.

□ 상당수 제품이 제조자명·제조연월 등 제품정보 표시 안 해

조사 대상 제품 중 모델명, 제조자명, 제조연월 등 벽지 표시기준에 따른 제품정보를 모두 표시한 제품은 6개(24.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15개(60.0%)는 제품정보를 전혀 표시하지 않았으며, 4개(16.0%)는 표시항목 중 일부를 누락했다.

표시항목별로는 ‘제조연월’ 18개(72.0%), ‘모델명’과 ‘제조자명’ 각각 15개(60.0%) 제품이 표시하지 않았으며, 제조자 주소(16개, 64.0%) 및 전화번호(15개, 60.0%)도 상당수가 표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중금속이 다량 검출된 제품에 대해서는 사업자들에게 자율시정을 권고했으며, 해당 업체들은 품질 개선 등의 조치를 하기로 했다.

한편, 한국소비자원의 조사 결과에 따라 관계부처인 국가기술표준원은 시트지에 대한 카드뮴, 납 등의 중금속 함량기준을 마련하여 내년 중 도입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현행 안전관리의 대상이 아닌 폼블럭에 대해서도 대상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2016-11-2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909 부정 물질(실데나필, 타다라필) 검출된 Positive-Health 식이보충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22.04.01
1908 부정 물질(실데나필, 타다라필) 검출된 Celebrate Today 식이보충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9 2022.04.01
1907 부작용 유발 성분을 함유할 가능성이 있는 건강기능식품(4)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4.05.10
1906 부작용 유발 성분을 함유할 가능성이 있는 건강기능식품(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 2024.05.10
1905 부작용 유발 성분을 함유할 가능성이 있는 건강기능식품(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4.05.09
1904 부작용 유발 성분을 함유할 가능성이 있는 건강기능식품(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4.05.09
1903 부속품을 삼킬 시 질식 및 사망 위험이 있는 쌓기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 2024.06.11
1902 부상 위험 있는 SCARPA 스키 부츠 판매 중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262 2015.04.24
1901 부상 위험 있는 No.CH-MX 휴대용 블렌더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7 2023.04.20
1900 부상 위험 있는 Defender Security E2537 유리 문손잡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3.11.22
1899 부상 위험 있는 Defender Security E2528 유리 문손잡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3.11.22
1898 부상 및 사망 위험있는 Meguiar 자동차 자가 수리 용품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12.09
1897 부력 조절 실패하여 부상 및 사망 위험 있는 Apeks 다이빙 부력자켓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3.01.17
1896 부력 수준 미흡해 익사 위험 있는 SBART 구명조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8 2024.03.18
1895 부력 수준 미흡해 익사 위험 있는 Omouboi 구명조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4.03.18
1894 부력 수준 미흡해 익사 위험 있는 NBY 구명조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4.03.18
1893 부력 수준 미흡해 익사 위험 있는 Hisea 구명조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4.03.18
1892 부동산펀드로 원금보장,고수익이 가능하다고 현혹하는 유사수신업체를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 2024.06.04
1891 봄철에는 조리된 식품의 보관온도를 지켜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18.03.15
1890 봄철,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 발생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7 2019.03.05
Board Pagination Prev 1 ...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