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갑작스런 두통, 방향 감각 상실, 몸 한쪽 마비일 경우
반드시 응급실 방문해야
- 추위가 시작되는 11월부터 뇌출혈로 인한 응급환자 증가 -

□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와 국립중앙의료원(원장 안명옥) 중앙응급의료센터는 추위가 시작되는 11월에 뇌출혈로 응급실에 내원하는 환자가 증가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고 알렸다.
○ 지난 5년간(2011년~2015년)의 응급의료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뇌출혈(지주막하출혈*, 뇌실질내출혈**)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는 11월부터 증가하여 12월에 2,177명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장 적게 발생한 7월의 1,746명에 비해 평균 24.7%p(431명) 높은 수치다.
○ 날씨가 추워지면서 따뜻한 곳에서 갑자기 추운 곳으로 나가게 되면 혈관이 수축되면서 압력이 높아지게 되는데, 혈관이 높아진 압력을 이기지 못하고 터져 뇌출혈이 발생 할 수 있다. 뇌출혈에 대해 항상 주의가 필요하지만 겨울철과 이른 봄에 특히 더 신경을 써야 한다.
* (지주막하출혈) 뇌를 싸고 있는 막 아래에 생기는 출혈로 주로 뇌동맥류의 파열로 발생
** (뇌실질내출혈) 뇌 실질 내에서 발생하는 출혈로 고혈압환자, 혈관기형 등의 경우 자주 발생

[표 1] 뇌출혈로 인한 응급실 내원 환자의 5개년 평균 환자 수(단위: 명)

구분

2011-2015년 평균

합계

1

2

3

4

5

6

7

8

9

10

11

12

뇌출혈

23,798

2,097

1,935

2,110

2,073

2,003

1,789

1,746

1,772

1,897

2,086

2,115

2,177

(8.8%)

(8.1%)

(8.9%)

(8.7%)

(8.4%)

(7.5%)

(7.3%)

(7.4%)

(8.0%)

(8.8%)

(8.9%)

(9.1%)

지주막하출혈

7,314

634

561

642

630

619

566

548

563

583

651

656

663

(8.7%)

(7.7%)

(8.8%)

(8.6%)

(8.5%)

(7.7%)

(7.5%)

(7.7%)

(8.0%)

(8.9%)

(9.0%)

(9.1%)

뇌실질내출혈

16,484

1,463

1,374

1,468

1,443

1,384

1,223

1,198

1,208

1,314

1,435

1,459

1,514

(8.9%)

(8.3%)

(8.9%)

(8.8%)

(8.4%)

(7.4%)

(7.3%)

(7.3%)

(8.0%)

(8.7%)

(8.8%)

(9.2%)


[그림 1] 뇌출혈로 인한 응급실 내원환자 추세(2011년-2016년 현재, 주 단위)


□ 매년 평균 약 2만4천여명의 뇌출혈 환자가 응급실을 방문하고 있다.
○ 환자 연령별 분포는 50대(23.2%)와 70대(22.1%)가 가장 높았으며, 대부분이 50대 이상(75.8%)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30대 이하 환자(9.2%)도 상당수 발생하고 있어 젊은 사람도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질환별로는 지주막하출혈 환자는 40대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50대에 가장 높았고, 뇌실질내출혈 환자는 50대부터 높아져 70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림 2] 뇌출혈로 인한 응급실 내원환자 연령별 현황(2011년-2015년 평균, 단위: 명)

[표 2] 뇌출혈로 인한 응급실 내원 환자의 연령별 환자 수(단위: 명)

연령별

연도별

5개년평균

2011

2012

2013

2014

2015

전체

23,798

23,382

23,880

23,312

23,779

24,635

30대미만

950

1,081

982

938

901

849

(4.0%)

(4.6%)

(4.1%)

(4.0%)

(3.8%)

(3.4%)

30

1,246

1,259

1,321

1,204

1,247

1,197

(5.2%)

(5.4%)

(5.5%)

(5.2%)

(5.2%)

(4.9%)

40

3,573

3,663

3,665

3,464

3,474

3,599

(15.0%)

(15.7%)

(15.3%)

(14.9%)

(14.6%)

(14.6%)

50

5,509

5,462

5,478

5,363

5,539

5,704

(23.2%)

(23.4%)

(22.9%)

(23.0%)

(23.3%)

(23.2%)

60

4,617

4,749

4,668

4,451

4,454

4,763

(19.4%)

(20.3%)

(19.5%)

(19.1%)

(18.7%)

(19.3%)

70

5,252

4,923

5,202

5,377

5,409

5,351

(22.1%)

(21.1%)

(21.8%)

(23.1%)

(22.7%)

(21.7%)

80대이상

2,650

2,245

2,564

2,515

2,755

3,172

(11.1%)

(9.6%)

(10.7%)

(10.8%)

(11.6%)

(12.9%)


○ 성별 분포에서는 남성 52.6%, 여성 47.4%로 남성이 높았으며, 질환별로는 지주막하출혈은 남자 42.0%와 여자 58.0%, 뇌실질내출혈은 남자 57.25%, 여자 42.8%로 나타났다.

[그림 3] 뇌출혈로 인한 응급실 내원환자 성별 현황(2011년-2015년 평균, 단위: 명)

□ 응급실에 내원하여 호소한 주증상은 두통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방향감각상실, 편측마비, 의식변화, 어지럼증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뇌실질내출혈은 지주막하출혈에 비해 편측마비의 증상이 많았으며, 구음장애(3,701명, 4.5%)를 호소하는 경우도 있었다.

[표 3] 뇌출혈로 인한 응급실 내원 환자의 주증상(2011년-2015년 전체, 단위: 명)

주증상

1순위

2순위

3순위

4순위

5순위

뇌출혈 (전체)

두통

24,953

(21.0%)

방향감각상실

9,908

(8.3%)

편측마비

9,401

(7.9%)

의식변화

8,617

(7.2%)

어지럼증

5,089

(4.3%)

-지주막하출혈

두통

13,848

(37.9%)

방향감각상실

2,917

(8.0%)

의식변화

2,549

(7.0%)

어지럼증

1,367

(3.7%)

의식소실

1,243

(3.4%)

-뇌실질내출혈

두통

11,105

(13.5%)

편측마비

8,965

(10.9%)

방향감각상실

6,991

(8.5%)

의식변화

6,068

(7.4%)

어지럼증

3,722

(4.5%)

○ 주증상이 두통인 환자는 방향감각․의식변화 등의 증상이 있는 환자에 비해 최초 증상 발생 이후 응급실 방문 시간이 비교적 오래 걸린 것으로 나타났다. 뇌출혈 위험이 있는 사람은 갑작스러운 두통을 무시하지 않고 상태를 면밀히 살피는 등 주의가 요구된다.

□ 국립중앙의료원 윤순영 응급의학 전문의는
○ 뇌출혈은 빠른 치료가 생존율을 높이고 장애발생률을 줄이는데 매우 중요하므로 민간요법 등으로 시간을 허비하지 않아야 하며,
○ 두통, 몸의 마비, 의식 변화 등 뇌출혈을 의심할 수 있는 증상이 발생한 경우 지체 없이 119에 신고하여 응급실에 방문해야 한다고 당부하였다.


※ 작성 기준
○ 전국 114개 지역응급의료센터급이상의 국가응급진료정보망(NEDIS) 전송 건수
○ 증상분류: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기준 지주막하출혈(I60*), 뇌실질내출혈(I61*)

 

[보건복지부 2016-11-2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01 국민권익위, “구직자에게 채용 신체검사 비용 부담 안 돼” 제도개선 권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1 71
3400 국민권익위, “공무원 적극행정 신청하고 소극행정 신고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1 78
3399 닛산, 기아, 비엠더블유, 포르쉐 결함시정(리콜)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1 76
3398 김포공항에서 보낸 짐, 제주도 숙소에서 찾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1 70
3397 의료기기 부작용 발생 시 피해 배상 기회가 확대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1 70
3396 와플·샌드위치 메이커 일부 제품, 안전기준 부적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1 74
3395 ‘실시간상거래 방송’, 식품 등 부당광고 관리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2 57
3394 여성청소년 생리대 구매권, 잊지 말고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2 108
3393 50대 연령층 예방접종 사전예약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2 102
3392 재난 시 개인정보 이용 구체적 기준 마련해 재난피해자 정보 보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2 107
3391 국민권익위, “체당금 지급대상 근로자 여부는 노무제공의 실질을 살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2 99
3390 중고차 매매 평균가격도 자동차365에서 알아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2 119
3389 추석 명절 앞두고 불공정하도급신고센터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3 68
3388 식용얼음 등 여름철 다소비 식품 수거.검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3 68
3387 하도급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6 40
Board Pagination Prev 1 ... 691 692 693 694 695 696 697 698 699 700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