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늦가을수두·유행성이하선염 주의, 예방접종철저 당부

영유아 시기 예방접종으로 감염병 사전예방이 최선, 접종기록 확인 당부

집단유행 막으려면 위생수칙 준수 및 감염환자 격리(등교 중지) 필요

만12세 이하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가까운 병의원에서 무료접종 가능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는 수두, 유행성이하선염의 계절적 유행 (가을, 겨울철) 증가에 대비해 예방접종 기록 확인 및 단체생활 시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수두와 유행성이하선염은 환자의 침, 콧물 등의 분비물(비말)을 통해 전파되는 호흡기감염병으로, 통상 매년 4∼6월, 10월말∼이듬해 1월사이 환자 발생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 수두는 전월(9월: 2,304건) 대비 10월 신고건(3,718건)이 61.4% 증가하였고, 유행성이하선염은 전월(9월: 1,286건) 대비 10월(1,630건) 신고건이 26.7% 증가함

수두는 3∼6세 연령에서 발생률이 높고, 감염되면 미열을 시작으로 온몸에 발진성 수포가 1주일가량 발생하는 특징이 있고,

유행성이하선염은 무증상감염이 20%를 차지하지만, 증상이 있는 경우 귀밑 이하선부위가 붓고 1주일가량 통증을 동반하는 특징이 있으며 3∼7세, 13∼18세에서 발생률이 높다.

질병관리본부는 최근 감염병 감시 결과, 10말부터 6세 이하 미취학 아동에서 수두, 유행성이하선염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감염 예방이 필요하다고 밝히며,

예방접종을 제때 완료하면 감염병 발병을 사전에 막을 수 있고, 만일 감염이 되더라도 가볍게 앓고 지나가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아동 보호자는 생후 12~15개월 사이에 받는 수두 예방접종(1회 완료)과 12~15개월과 만 4~6세 때 각각 접종(총 2회) 받는 MMR* 예방접종 기록을 확인해보고, 빠뜨린 접종이 있으면 완료해 줄 것을 당부했다.

* 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 예방(MMR) 백신

< 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 예방(MMR) 백신 >
구분 예방접종 실시기준
수두 총 1회 접종
  • 생후 12∼15개월 1회
MMR 총 2회 접종
  • 생후 12~15개월 1차
  • 만 4~6세 2차

한편 질병관리본부는, 단체생활을 하는 어린이집, 유치원, 초·중학교 등에서의 감염병 집단유행을 막기 위해, 다음과 같은 ‘단체생활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를 강조했다.

  • 첫째, 비누로 손을 자주 씻고,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는 손이 아닌 휴지나 옷소매로 입과 코를 가리는 기침예절을 지켜주세요.
  • 둘째, 감염병 의심 환자가 발생한 경우 즉시 보건교사(담임교사) 에게 알리고, 환자는 다른 사람과 접촉하지 않고 곧바로 가까운 의료기관으로 가서 진료를 받으세요.
  • 셋째, 집단유행을 막기 위해 감염 환자는 전염기간* 동안에는 등교를 하지 않아야 하며, 격리치료(증상이 경미한 경우 ‘가택 격리’) 중에는 다른 사람에게 전파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하세요.

    *격리기간: (수두) 모든 수포에 딱지가 앉을 때까지 격리
    (유행성이하선염) 이하선염 증상 발현 후 5일까지 격리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단체생활을 할 때는 한 명만 감염병에 걸려도 집단 유행으로 번질 수 있다”며, “본인 건강은 물론 함께 생활하는 친구들의 안전을 위해서도 개인위생수칙을 잘 지키고, 예방접종을 철저히 해야 한다”고 전하며, 학부모와 교사의 관심을 당부했다.

한편, 예방접종 기록은 예방접종도우미(https://nip.cdc.go.kr) 홈페이지와 어플리케이션에서 보호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고,

만 12세 이하 어린이 국가예방접종은 가까운 보건소 및 지정의료기관에서 주소지에 관계없이 무료로 접종받을 수 있다.

2016년 만 12세 이하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 ▲BCG(피내용) ▲B형간염 ▲DTaP(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 ▲폴리오(IPV)
  • ▲DTaP-IPV(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폴리오) ▲MMR(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 ▲수두
  • ▲일본뇌염 사백신 ▲일본뇌염 생백신 ▲Td(파상풍/디프테리아) ▲Tdap(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
  • ▲Hib(b형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 ▲폐렴구균 ▲A형간염 ▲HPV(사람유두종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보건복지부 2016-11-0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686 다소비 가공식품 2020년 4월 가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27 12
5685 다소비 가공식품 2019년 9월 가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18 18
5684 다소비 가공식품 2019년 8월 가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25 18
5683 다소비 가공식품 2019년 7월 가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12 17
5682 다소비 가공식품 2019년 6월 가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19 11
5681 다소비 가공식품 2019년 5월 가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17 56
5680 다소비 가공식품 2019년 4월 가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15 55
5679 다소비 가공식품 2019년 3월 가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5 47
5678 다소비 가공식품 2019년 2월 가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8 51
5677 다소비 가공식품 2019년 1월 가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18 40
5676 다소비 가공식품 2019년 11월 가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6 19
5675 다소비 가공식품 2019년 10월 가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15 10
5674 다소비 가공식품 2018년 9월 가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17 22
5673 다소비 가공식품 2018년 8월 가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4 39
5672 다소비 가공식품 2018년 7월 가격동향 조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13 29
Board Pagination Prev 1 ... 539 540 541 542 543 544 545 546 547 548 ... 923 Next
/ 923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