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사망자 5명 중 4명 화장
- 2015년 전국 화장률 80.8%, 1994년 20.5% 대비 4배 증가-
-경남 사천 98.3% 최고, 충남 청양 41.9% 최저-
- 서울, 경기 등 화장시설 확충 필요 -

□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2015년도 전국 화장률이 80.8%로 최종 집계되었다고 발표했다.

○ 이는 1994년도 화장률 20.5%에 비해 약 4배 증가한 수치로, 2011년 화장률이 70%를 돌파한 데 이어 4년 만에 80%를 넘어섰으며, 2014년 화장률 79.2% 보다 1.6%p 높아진 것이다.


* 화장률 : ’94년) 20.5% → ’04년) 49.2% → ’10년) 67.5% → ’15년) 80.8%

○ 성별 화장률은 남성 83.5%, 여성 77.5%로, 남성이 여성에 비해 6.0%p 높았다.

○ 연령별로는 20대 사망자의 경우 96.6%가 화장하는 등 60대 미만의 화장률은 94.5%였으며, 60대 이상의 화장률은 77.5%로 나타났다.

□ 시․도별 화장률에서는 부산의 화장률이 90.9%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고, 인천 90.2%, 울산 88.1%, 경남 87.1% 등 6개 시․도(부산, 인천, 울산, 경남, 서울, 경기)가 전국 평균보다 높게 화장하였으며,

○ 화장률이 낮은 지역은 제주 64.2%, 충남 65.6%, 전남 67.6%, 충북 68.3% 등의 순이었다.

○ 수도권 지역의 화장률은 86.9%였으나, 비수도권은 76.8%로 수도권 지역의 화장률이 비수도권에 비해 10.1%p 높았고,

- 서울, 부산 등 8개 특별․광역시의 화장률은 86.2%였으나, 그 외 도(道) 지역은 77.2%로 특별․광역시에 비해 9.0%p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2015년 기준 전국 229개 시․군․구 중 화장률이 높은 지역은 경남 사천시로 화장률이 98.3%였고, 경남 통영시 95.3%, 부산 동구 94.5% 등의 순으로 화장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 이에 반해 충남 청양군이 41.9%, 전남 장흥군 45.7%, 경북 영양군 47.6%, 경북 봉화군이 47.9% 등의 지역이 화장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2015년 화장률 통계에 대하여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2005년에 화장률이 매장률을 넘어선(’05년 화장률 52.6%) 이후에 연평균 약 3%p씩 화장률이 증가하여, 화장률이 선진국 수준인 80%를 넘어섰다”고 하면서,

○ 매장에 비해 쉽고 깨끗하고 위생적인 관리, 간편한 절차와 저렴한 비용 등으로 화장률이 더욱 증가할 것을 대비하여 화장관련 시설이 부족한 지역을 중심으로 인프라 확충을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 (4인 이상 가구) : ’00년) 44.5% → ’10년) 35.6% → ’20년) 32.6% → ’30년) 29.0% (통계청)

**(화장 희망 이유) : 관리 용이 40.6%, 깨끗‧위생적 36.2%, 절차 간편 13.6%, 저비용 2.6% (한국장례문화진흥원, ’15년)

□ 2016년 10월 현재 전국에서 운영되고 있는 화장시설은 올해 9월 말 개원한 구미시추모공원을 포함하여 총 58개소이고, 화장로는 총 335개가 공급되어 있다.

○ 따라서, 연간 최대 화장능력(´15년말 기준 : 시설 당 예비화장로 1개 제외, 1일 3회, 연간 360일 가동)은 294,840건(1일 평균 819건)이므로 2015년 사망자(275,895명) 중 화장한 사망자(222,895명, 1일 평균 619명)를 감안할 때 국내 화장시설은 부족하지 않지만,

- 경기도, 서울 등 화장수요에 비해 화장시설이 부족한 일부 지역의 주민이 화장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장거리 이동을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높은 관외요금을 지불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일부 지역에는 화장로 증설 등 시설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1일 화장능력) (330개 - 시설당 예비화장로 1개씩 57개 제외) × 3회(1일 화장로 가동횟수) × 360일 가동 = 294,840건 ÷ 360일 = 1일 평균 819건
* (1일 화장수요) ´15년 화장자수 222,895명 ÷ 360일 = 619명
* 관외요금 : 법 23조에 의거 시설사용료는 지자체 조례로 정하고 있으며, 통상 장사시설 소재지 이외의 지역 거주자가 사망하여 해당시설을 이용할 때 지불하는 비용
* <붙임 2>의 ‘시·도별 화장로 수요 추계’ 참고

□ 아울러, 보건복지부는 올해 1월부터 장례식장 이용자가 해당 시설을 이용하기 전에 장례용품의 품목별 가격 등을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가격표를 영업장과 “장사정보시스템(e-하늘)”에 공개하도록 하였으며,

* e-하늘 장사정보시스템(www.ehaneul.go.kr) : 전국 단일 화장예약시스템으로, 화장예약서비스 및 장사시설에 대한 정보를 제공(2011. 1월부터 운영)

○ 또한, 내년부터는 법인묘지, 봉안시설 및 자연장지 등 사설장사시설까지 확대하여 가격정보를 등록게시(“장사 등에 관한 법률” 개정 : ´17.1월 시행) 하도록 하여 소비자들의 합리적 선택과 장사시설 간의 건전한 가격경쟁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붙임> 1. ‘15년도 시·도별 화장률
2. 시·도별 화장시설 설치 및 수급 현황 (‘15년말 기준)
3. 자연장지 및 봉안당 설치 현황 (‘15년말 기준)

 

[보건복지부 2016-10-2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39 해열진통제 효능.효과, 주의사항 확인하고 복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16 79
3238 폭스바겐·포르쉐·비엠더블유·벤츠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13 79
3237 「간소화자료 일괄제공 서비스」, 11월 30일까지 꼭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1.18 79
3236 중소기업 퇴직연금‘수수료 0원’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13 79
3235 ‘중국 수산물 가공업체, 살균제로 해삼·전복 세척’ 보도에 대해 설명합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15 79
3234 대중교통수단 및 벽이나 칸막이 없는 대형시설 내 개방형 약국도 3.20.(월)부터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15 79
3233 고령층, 2가백신 접종시 중증·사망 위험 감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16 79
3232 등록임대주택의 임대보증금 반환보증 가입 의무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1 79
3231 2022년 가맹사업 현황 통계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7 79
3230 4월 16일 오후 5시부터 제2경인고속도로 전 구간 통행이 재개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13 79
3229 2014년 금융민원-상담 동향 분석 및 향후계획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8 80
3228 주민의 손으로 더 깨끗한 농촌 마을을 만든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5 80
3227 어린이 식생활 안전과 영양수준 전반적으로 향상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6 80
3226 22개 낙후 시군, ‘지역활성화 지역’ 지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30 80
3225 ‘전통체험하기 좋은 농촌체험마을 10선’선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0 80
Board Pagination Prev 1 ... 705 706 707 708 709 710 711 712 713 714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