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식약처, 소책자‧리플릿 전국 보건소, 산부인과 등에 배포 -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는 ‘임산부의 날(10.10.)’을 맞아 청소년기부터 가임기, 임신, 출산, 육아 및 갱년기에 이르기까지 여성 생애에서 꼭 필요한 의약품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여성이 알고 싶은 약 이야기’ 소책자를 마련하여 전국 보건소, 산부인과 등에 배포한다고 밝혔다.
○ 이번 책자는 여성 입장에서 여성에게 필요한 의약품 정보를 개발하기 위하여 가임기, 다문화 가정 여성 및 산부인과 전문의 등으로 구성된 ‘정부3.0 국민디자인단’을 운영하여 필요한 정보를 발굴하였다.
※ 정부3.0 국민디자인단 : 국민(가임기 여성, 다문화 가정 여성, 산부인과 전문의, 홍보전문가 등)과 공무원(식약처)이 함께 정책 개발, 집행, 평가 등을 수행하는 정책추진단으로 총 16명으로 구성됨

□ 소책자 주요 내용은 청소년기부터 임신, 육아, 갱년기에 이르기 까지 여성 생애주기별 ▲청소년기 안전한 약복용 ▲가임·임신·육아 중 올바른 약 복용 ▲ 갱년기 이후 건강한 약물 복용 등이다.

〈 청소년기 안전한 약 복용 〉
○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여드름이나 월경전증후군, 월경과다 및 불규칙한 생리 등을 치료하기 위해 피임제를 사용하는 경우 복용 전 반드시 의사 또는 약사 등 전문가와 상의하고 복용 초기 복부통증이나 가슴통증, 두통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일부 청소년들이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치료제를 집중력을 높이는 약으로 오인하고 복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정상적인 청소년이 ADHD 치료제를 잘못 복용하는 경우 수면장애 뿐 아니라 성장지연, 강박증상, 환각 같은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이나 처방없이 복용해서는 안된다.

〈 가임·임신·육아기 중 올바른 약 복용>
○ 여드름 치료, 피지 조절에 사용되는 이소트레티노인은 기형아 유발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최소 임신 1개월 전에는 사용을 중지해야 하며 만약 사용하였다면 최소 2가지 이상의 피임법을 병행하여 임신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임신 중에는 입덧, 변비, 속쓰림, 가려움증, 두통, 감기 등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임신이라고 무조건 의약품 복용을 피하는 것보다는 의‧약사 등 전문가 상담을 통해 필요한 의약품은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특히, 입덧은 임신 여성 80%가 경험하며 입덧이 심한 경우 의‧약사 등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독시라민, 피리독신, 메토클로프라미드 등 의약품을 복용할 수 있다.
○ 수유 후 약을 먹일 때는 아기가 충분히 소화할 수 있는 시간간격을 두고는 것이 바람직하며 항생제는 아기의 증상이 좋아졌다 하더라도 임의로 중단하지 않고 처방받은 대로 먹여야 한다.

〈 갱년기 이후 건강한 약 복용 〉
○ 골다공증 치료제인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는 식도점막을 자극할 수 있으므로 충분한 양의 물과 함께 복용하고, 씹거나 녹여서 복용해서는 안되며 아침 식사 30분 전에 복용하고 복용 후 30분 동안은 눕지 않도록 한다.
○ 퇴행성관절염 통증을 개선하기 위해 소염진통제를 과다하게 복용할 경우 위장, 신장 및 간 등에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며 바르거나 붙이는 외용제 사용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한다.

□ 식약처는 임산부 등이 의약품을 안전하고 올바르게 사용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임신 준비 또는 임신 중이세요?’ 리플릿도 배포한다.
○ 리플릿 주요내용은 ▲임신 전 건강 상태 확인 ▲임신 중 주의해야 할 약물 ▲수유 중 흔히 나타나는 질환 등이다.
- 갑상선질환은 생리불순과 배란장애를 동반하여 정상적인 임신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임신 전 갑상선 호르몬 검사를 통해 갑상선 기능을 확인해야 한다.
- 생백신(MMR,수두, 대상포진 등) 접종후에는 4주간 임신을 피하도록 하고 독감예방접종은 임신시기에 상관없이 접종받아도 된다.
- 임신 중 여드름 치료제(이소트레티노인), 경련 치료제(발프로산), 고혈압치료제(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제), 항생제(테트라사이클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등을 복용하는 경우 기형아 발생 등 태아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수유 중에 젖을 물리기 힘든 유두 통증이 지속된다면 소염진통제를 복용하고 유두 갈라짐에는 덱스판테놀을 사용할 수 있다.

□ 식약처는 이번 소책자와 리플릿 발간을 통해 청소년, 임산부 및 갱년기 여성 등이 안전하게 의약품을 사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국민 건강에 필요한 의약품 안전사용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자세한 내용은 식약처 홈페이지(www.mfds.go.kr)→ 알림→ 언론홍보자료 또는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홈페이지(www.drugsafe.or.kr)→ 알림마당→ 보도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6-10-1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300 6월 1일부터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30 14
11299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 일부개정안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16 14
11298 주민등록증, 모바일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0 14
11297 “고속도로 1차로는 비워두세요.”, 지정차로제 집중 홍보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3 14
11296 이제부터는 만 나이가 내 나이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6 14
11295 배달종사자의 이륜차 보험료 부담 낮아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7 14
11294 반기분 근로장려금 가구당 평균지급액 전년보다 10%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7 14
11293 재가 의료급여, 73개 시·군·구로 확대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30 14
11292 중증질환자 치료 접근성을 높이고 장애인 보조기기 지원을 확대하여 국민부담 줄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30 14
11291 「DMZ 자유·평화 대장정」 2차 원정단 모집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21 14
11290 ‘덜 짠’ 김밥, ‘덜 단’ 요거트…소비자의 선택이 확대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28 14
11289 7월 국외여행 및 신용카드 관련 소비자상담, 전년 동월 대비 2배 이상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28 14
11288 해외 페스트 산발적 발생에 따른 선제적 대응조치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29 14
11287 분양가상한제 기본형건축비 9월 정기고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14 14
11286 추석 연휴 환경오염행위 특별 감시·단속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21 14
Board Pagination Prev 1 ...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