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16년 9월 식량가격지수가 전월 대비 2.9% 상승한 170.9 포인트를 기록하였다.
7월 소폭 하락을 제외하고는, 올해의 상승세는 설탕 가격의 급격한 상승과 유제품, 육류 및 유지류 가격의 꾸준한 상승이 영향을 미쳤으며, 9월 상승분은 주로 유제품 및 설탕 가격이 주도하였다.
이번 9월 식량가격지수는 ‘15.3월 이후 최고치로, 전년 동월 보다는 10.0% 높은 수치를 기록하여 금년초부터 꾸준히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 식량가격지수 : (’16.1월)149.3→(6월)163.9→(7월)162.5→(8월)166.0→(9월)170.9
품목군별 식량가격지수
(곡물) ’16년 8월(143.6포인트)보다 1.9% 하락한 140.9포인트를 기록하였다.
3개월 연속 하락했으며, 특히 수출 가용량 등 세계 공급 증가에 기인하였다.
사상 최고수준의 밀과 쌀 생산과 함께 특히, 옥수수 등 평년 수준을 상회하는 잡곡 생산량은 곡물 수출가격 하락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유지류) ’16년 8월(169.0포인트)보다 1.7% 상승한 172.0포인트를 기록하였다.
식물성 유지류의 가격지수는 주로 팜유, 대두유, 유채씨유의 가격 상승이 반영되었다.
팜유 가격의 상승은 예상보다 낮은 생산 증가 및 수출수입국의 낮은 재고량에 기인하였다.
적은 국제 수출 가용량이 세계 대두유 가격에 영향을 주었고, 3년 연속 세계 생산이 감소한 것에 대한 우려가 유채씨유 가격 상승에 반영되었다.
(유제품) ’16년 8월(154.6포인트)보다 13.8% 상승한 176.0포인트를 기록하였다.
특히, 버터 등 모든 유제품 가격이 상승했으며 재고량 감소 및 EU내 수요 증가에 기인하였다.
유제품의 가격지수는 4월 이후 49포인트(38%) 상승하였다.
현재의 상승은, EU의 우유 생산량 감소 전망 및 지난 2년간의 오세아니아에서의 풍부한 공급량과는 달리, 올해에는 평균수준의 세계 재고량으로 수출 공급을 감소시킬 것이라는 우려가 영향을 미쳤다.
(육류) ’16년 8월(163.2포인트)과 거의 동일한 163.5포인트를 기록하였다.
육류가격지수는 5년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던 올해 1월과 비교해 12.6%가 상승하였으며, 올해의 가장 큰 가격상승은 돼지고기가 그 다음으로 양고기와 가금육이 주도하였고, 쇠고기 가격은 약간만 상승하였다.
특히, 아시아 등지에서의 견고한 수요는 돼지고기와 가금육 가격 상승을 견인했으며, 양고기 가격 상승은 국제 공급량 감소가 원인이었다.
반면, 미국의 자국내 쇠고기 생산 회복으로 수입 수요량이 적어지면서 국제 쇠고기 가격의 상승이 일부 억제되었다.
(설탕) ’16년 8월(285.6포인트)보다 6.7% 상승한 304.8포인트를 기록하였다.
5개월 연속 상승했으며, 최근의 가격 급등은 세계 최대 설탕 생산국이자 수출국인 브라질내 주요 사탕수수 생산지인 중남부 지역의 나쁜 기상 여건에 주로 기인하였다.
세계에서 두 번째 큰 설탕 생산국인 인도의 생산량 감소와 태국과 중국의 공급량 부족도 가격 상승에 영향을 주었다.



2016/17년도 세계 곡물 수급 전망
2016/17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은 2015/16년도 대비 1.5%(38.2백만톤) 증가한 2,569.0백만톤으로 전망하였다.
* 생산량 전망치(전년대비): 쌀1.3%(6.3백만톤), 잡곡1.8%(23.4백만톤), 밀1.2%(8.5백만톤) 증가
2016/17년도 세계 곡물 소비량은 2015/16년도 대비 1.6%(40.2백만톤) 증가한 2,560.2백만톤으로 전망하였다.
* 소비량 전망치(전년대비): 쌀1.2%(6.0백만톤), 잡곡1.5%(19.4백만톤), 밀2.1%(14.8백만톤) 증가
2016/17년도 세계 곡물 기말재고량은 2015/16년도 대비 0.7%(4.3백만톤) 증가한 659.9백만톤으로 전망하였다.
* 기말재고량 전망치(전년대비): 쌀0.7%(1.1백만톤), 잡곡1.1%(2.9백만톤)감소 / 밀3.7%(8.4백만톤) 증가

[농림축산식품부 2016-10-0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34 9월 생필품 가격 동향 분석 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8 64
3133 연금저축 월평균 수령액 28만원, 최소 노후생활비의 28% 수준에 불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8 60
3132 단순처리식품 생산업체 위생관리 실태조사 및 지도점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7 70
3131 지방세 고액·상습체납자 36,433명 명단 일제 공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7 79
3130 월 10만원 저축하면 20만원 쌓이는 희망키움통장Ⅱ 가입 대상 확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7 129
3129 선불카드 60%이상 쓰면 잔액 환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7 112
3128 아웃도어 등산 재킷 비교정보 생산 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7 111
3127 계란 안전관리는 강화하고 규제는 합리적으로 개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4 74
3126 무등록 주류제조업체가 생산한 주류 제품 회수 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4 70
3125 개인채무자, 채무조정 신청 대폭 편리해진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4 131
3124 금융거래 시 신분증 위·변조 확인 서비스를 스마트폰으로 계좌 개설하는 경우까지 확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4 120
3123 2016년 8월 소비자상담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4 61
3122 원격으로 피해자 PC에 접속하여 자금을 이체하는 신종 파밍 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4 79
3121 중국산 냉동다슬기살(자숙) 납 기준초과 검출 회수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3 67
3120 양곡표시사항의 쌀 등급 중 ‘미검사’삭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3 141
Board Pagination Prev 1 ... 712 713 714 715 716 717 718 719 720 721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