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난임시술지원 확대로 9월에만 9,749건 지원결정(전월 대비 37%↑)

- 정진엽장관, 난임여성과 함께 난임지원대책 모색 -

□ 정진엽 보건복지부장관은 10월 6일(목) 오전 11시 서울 명동에서 난임지원 사업을 점검하고 보완방안 모색을 위한 간담회를 개최하였다.

○ 간담회에는 임신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난임여성 5명과 난임시술의사, 난임상담센터 슈퍼바이저 등 총 10여명이 참석하였다.

□ 이번 간담회는 지난 8월 25일 저출산 보완대책으로 난임시술 지원 확대 방안 발표 후 난임 지원 사업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난임 시술자와 관련 종사자 등 현장의 의견을 직접 듣기 위해 마련되었다.

○ 난임시술 지원 소득기준 폐지, 소득 하위계층 지원금·지원횟수 상향 등 대책 시행 후 9월에 시술 지원 신청자가 37% 증가*하는 등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 시술 지원결정통지서 발급 건수 : 8월 7,114건 → 9월 9,749건(37%증가)

□ 간담회에 참석한 난임 환자들은 주로 난임 시술과정에서 심리적, 경제적 고통을 겪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참석자는 “난임시술 초기에 성공하지 못해 시술이 장기화되는 경우 직장을 포기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주변 시선이 의식되어 사회적으로 고립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했고,

○ 또 다른 참석자는 “난임 시술의 경제적 부담이 크며, SNS 등 인터넷 커뮤니티를 보면 난임 시술비 부담 이야기가 대부분을 차지한다.”고 강조 하였다.

□ 간담회에 참석한 정진엽 장관은 “난임부부들이 난임 시술 기관의 정보를 보다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내년부터 난임시술 기관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공개할 예정이다”고 하면서

○ “내년 10월부터 난임시술의 건강보험 적용을 통해 난임부부의 부담을 더욱 줄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또한, “난임 시술 기관 종사자와 난임상담센터 담당자에게는 난임시술을 통해 건강하고 안전한 임신과 출산을 위해 노력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보건복지부 2016-10-0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25 ㈜맛플러스, ‘모조씨나 모카포트’ 환급 또는 무상 교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8 90
3124 ㈜리큅, 전기믹서 칼날부 부품 자발적 무상 교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02 31
3123 ㈜레이디티디에프 클라우스 가죽 소파, 자발적 환급 또는 교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5 79
3122 ㈜디엠케이코리아, 방수팩 자발적 환급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1 101
3121 ㈜다이소아성산업, 플라스틱 사각의자와 도어매트 자발적 환급 등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09 324
3120 ㈜내츄럴엔도텍 수거 원료 실험결과의 사실관계를 알려드립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24 77
3119 ㈜내츄럴엔도텍 수거 원료 실험결과의 사실관계(추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28 84
3118 ㈜내츄럴엔도텍 관련 사실관계 및 향후 대응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06 73
3117 ㈜구들장「전기온수매트(GDJ-W2)」자발적 매트 무상 교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9 730
3116 ㈜ 쁘띠엘린, 낮잠이불 지퍼 자발적 무상수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1 128
3115 『혁신도시특별법』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08 33
3114 『한-중 무역기술장벽(TBT) 종합정보 포털 사이트』 개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05 100
3113 『하지 정맥류』, 50대 여성환자가 가장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12 111
3112 『파킨슨병』, 약물조절 및 운동 등이 도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9 71
311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2013년 건강보험 진료환자수 58,121명 중 66%가 10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11 74
Board Pagination Prev 1 ... 713 714 715 716 717 718 719 720 721 722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