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지난 7.27일 발표한 「사업용 차량 교통안전 강화대책」의 후속조치 및 그간 제도 운영상 미비점 보완 등을 내용으로 하는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령·시행규칙 일부 개정안을 마련하여 입법예고(10.4~11.12, 40일간)한다고 밝혔다.

금번 개정안은 운전자의 4시간 이상 연속 운전한 후 최소 30분 동안 휴식시간 보장, 운전자 안전교육 강화 등 버스차량의 안전한 운행을 위한 필요한 조치들이 대거 포함되어 있으며, CNG 버스 도입 시 면허기준 완화 등 규제 개선 사항도 함께 추진된다.

이번에 입법 예고된 개정안의 주요 내용들은 다음과 같다.

[1. 운수종사자의 안전관리 강화]

(운전자 연속 운전시간 제한 및 휴게시간 확보) 버스 운전자의 천재지변, 교통사고 등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4시간 연속 운전 후 최소 30분 휴게시간을 확보하도록 하면서, 퇴근 후 다음 출근 시 까지 최소 8시간 연속 휴식도 보장하도록 의무화 하였으며, 이를 위반한 버스 운송사업자에 대한 행정처분의 기준*도 마련하였다.

* 사업 일부정지(1차: 30일/ 2차: 60일/ 3차: 90일) 또는 과징금 180만 원

(법령위반 종사자 처분 강화) 대열운행을 한 전세버스 운전자에 대한 자격정지 기준을 강화(5일→30일)하고, 중대 교통사고를 발생시킨 버스 운전자에 대하여 자격정지 기준을 신설*하였다.

* ① 사망자 2인 이상 : 자격정지 60일, ② 사망자 1인 이상 및 중상자 3인 이상 : 자격정지 50일, ③ 중상자 6인 이상 : 자격정지 40일

[2. 운수업체의 안전관리 강화]

(운수업체의 안전 점검 강화) 운송사업자에 대해 차량운행 전 종사자의 질병·피로·음주 여부, 운행경로(기·종점, 경유지 등) 숙지 여부 등을 확인 후 필요한 후속조치*를 취하도록 하였으며, 장거리 및 장시간 운행이 잦은 시외·고속, 전세버스의 경우에는 안전교육 시·청각자료를 제작, 차량 출발 전 차내 모니터 또는 방송장치를 통해 안내하도록 의무화하였다.

* 안전한 운전이 곤란한 운전자에 대해서는 차량운행 중지, 대체 운전자 투입

또한, 제도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안전 점검 및 안내 방송 의무를 위반한 업체에 대한 행정처분 기준*도 마련하였다.

* 사업 일부정지(1차: 30일/ 2차: 60일/ 3차: 90일) 또는 과징금 180만 원

(부적격 운전자 고용업체 처분 강화) 운수종사자 자격을 갖추지 못한 부적격 운전자를 고용한 버스업체에 대한 과징금 금액을 상향 조정(180만원→360만원) 하였다.

(전세버스 관리 강화) 운행기록증을 부착하지 않은 전세버스 사업자에 대한 행정처분 외에 과징금(180만원) 부과규정도 신설하여 운행기록증 제도의 실효성을 확보하도록 하였다.

[3. 버스차량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

(재생타이어 사용 제한 확대) 여름철 기온의 지속적으로 상승에 따라 버스 차량에 사용되는 재생 타이어 폭발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현실을 감안하여 앞바퀴에만 적용 중인 재생 타이어 사용 제한을 버스에 사용되는 모든 바퀴로 확대하였다.

[4. 안전운행을 위한 휴게시설 확대]

(운전자 편의시설 확대) 운수 종사자가 충분히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운전자 휴게실 및 대기실에 냉난방 장치, 음수대 등 편의시설을 설치·운영하도록 의무화하였다.

[5. 운수종사자 안전교육 내실화]

(운수종사자 안전교육 강화) 신규교육 시 핸드폰 사용, 대열운행, 졸음운전 등 사고유발 요인 방지에 대한 집중교육을 실시하고, 보수교육 중 법령위반 운전자에 대한 교육시간을 확대하고(4시간→8시간) 교육시기를 구체화(처분일로부터 3개월 이내 교육 실시) 하였다.

또한, 교육의 내실화를 위하여 교육 종료 후 평가를 실시하고, 평가를 통과할 경우에만 교육시간을 인정하도록 하였다.

[6. 미세먼지 대책 등 기타 제도 개선사항]

(CNG버스 면허기준 완화) 「미세먼지 저감 대책」의 일환으로 CNG 버스 도입 시 시외버스 및 농어촌버스 면허기준의 차량 대수를 완화*하였다.

* 실제 보유한 CNG 버스 대수에 가중치 1.3을 곱하여 산출한 값(소수점이하의 대수는 반올림)을 면허 시 보유 자동차 대수로 간주

(정기이용권버스 운행횟수 확대) 대중교통 사각지대 이용객의 출퇴근 시 교통 편의를 위하여 운행 중인 정기이용권버스 1일 운행횟수 확대(4회 이하→10회 이하)하고, 지자체별 교통여건에 따라 운행횟수 추가 확대가 필요한 경우에는 조례로 별도로 정해 1일 10회를 초과하여 운행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차량 운행개시 요건 완화) ‘규제개혁 현장점검회의’에서 발표된 내용과 같이 노선 신설 또는 변경 시 운송 개시일까지 운행이 불가한 특별한 사정*이 인정되는 경우, 연장가능 기한을 확대(1개월→3개월)하여 운송사업자의 부담을 완화하였다.

* 차량 제작업체 사정으로 인한 차량출고 지연, 신도시 입주지연에 따른 운송수요 부족 또는 미발생, 관련 터미널과 협의 지체 등

(One Stop 차령연장 서비스 제공) 차령 연장 시 자동차 검사소를 거쳐 행청관청을 다시 방문해야 하는 운수업자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자동차 검사소에서 차령 연장 신청을 대행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하였다.

이번에 입법 예고되는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안은 관계기관 협의, 규제 심사, 법제처 심사 등 입법 후속절차를 거쳐 ‘17.1~2월경 공포·시행될 예정이다.

개정안에 대해 의견이 있는 경우에는 11월 12일까지 우편, 팩스 또는 국토교통부 누리집(http://www.molit.go.kr) 법령정보/입법예고란을 통해 의견을 제출할 수 있다.

* 의견제출처 : 339-012 세종특별자치시 도움6로 11 국토교통부 대중교통과(전화 : 044-201-3832, 4759, 팩스 044-201-5582)

 

[국토교통부 2016-10-0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11 메르스 극복을 위해 꼭 알아야 할 10가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4 80
3210 ㈜에이모노 알루미늄 액자 자발적 환급 또는 무상교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9 80
3209 잔류물질 검출 브라질산 닭고기 회수 명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2 80
3208 ㈜에스케이상사와 ㈜오르, 유아용 물통 자발적 무상 교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8 80
3207 영유아보육법 시행령·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9 80
3206 저소득층 범죄피해(가구) 유·청소년에게 스포츠 강좌 이용권 지원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2 80
3205 올 6월말 현재, 자동차등록대수 2천 55만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6 80
3204 이색 체험하기 좋은 농촌체험마을 10선 선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9 80
3203 차명거래 시 무조건 계좌주에 세금부과는 부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31 80
3202 ‘에취! 알레르기성 비염’…봄보다 가을에 주의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8 80
3201 모기업이 자회사를 실질적으로 운영했다면 자회사 근로자 퇴직금도 지급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9 80
3200 추석 명절 소비자 피해주의보 발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4 80
3199 워킹맘의 자녀예방접종을 함께 격려해주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5 80
3198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 직접 평가해 주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9 80
3197 부모님들께 불편이 없도록 민간어린이집 휴원 적극 대응 중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27 80
Board Pagination Prev 1 ... 705 706 707 708 709 710 711 712 713 714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