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는 ’15년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은 약 70조4천억원으로 ’11년 이후 연 평균 5%대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 식품제조·가공업, 식품첨가물제조업, 식품용기·포장제조업 등(식품 일반), 식육가공업, 식육포장처리업, 유가공업 등(축산물) 및 건강기능식품제조업 등(건강기능식품) 등 포괄
○ ’15년 식품산업 생산실적은 국내 제조업 GDP 대비 16.8%, 전체 GDP 대비 4.5%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국내산업 대비 식품산업 비중 변화
- 제조업 GDP 대비(%): (’11) 15.4→ (’12) 16.9 → (’13) 17.9 → (’14) 17.9 → (’15) 16.8
- GDP 대비(%): (’11) 4.4 → (’12) 4.8 → (’13) 5.0 → (’14) 4.9 → (’15) 4.5
○ 이번 자료는 그간 분리 관리되어 오던 식품제조업, 축산물가공업, 건강기능식품제조업 등의 분야별 통계를 넘어 식품산업 전체의 생산 현황을 처음으로 통합·분석한 자료로 식품산업 전반에 대한 분석·연구와 정부정책 수립 등에 활용도가 커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또한, 식약처가 ’13년부터 정부 3.0 핵심과제로 추진해 온 통합식품안전정보망의 인·허가, 품목제조보고 정보 등과 연계하여 실적보고가 이루어짐으로서 보다 정확하고 체계적인 통계정보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 ’15년 식품산업 생산실적 분석 주요 내용은 ▲업종별 생산실적, 식품제조·가공업이 55.7% ▲식품유형별 생산실적, 돼지고기 포장육이 1위 ▲생산실적 1조원 이상 식품제조업체 7개사 ▲10인 이하 식품산업 제조업체수 80% 차지 등이다.
< 업종별 생산실적, 식품제조·가공업이 55.7% >
○ ’15년 업종별 생산실적은 식품제조‧가공업이 39조2,077억원(55.7%)으로 가장 많았고, 식육포장처리업(12조374억원, 17.1%), 유가공업(6조1,300억원, 8.7%), 용기·포장지제조업(5조8,906억원, 8.4%, 옹기류포함), 식육가공업(4조2,731억원, 6.1%), 식품첨가물제조업(1조4,055억원, 2.0%), 건강기능식품제조업(1조1,332억원*, 1.6%) 순이었다.
※ 식육포장처리업: 포장육을 만드는 영업
※ 유가공업: 우유·치즈·분유 등 유가공품을 만드는 영업
※ 식육가공업: 햄·소시지 등 식육가공품을 만드는 영업
* 지난 8월에 발표한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은 매출액 기준이며, 생산액 기준으로 재조사하였음
○ ’14년과 비교하여 식육가공업과 유가공업은 각각 7.5%(2,984억원), 2.6%(1,555억원) 증가한 반면, 식품제조‧가공업, 식품첨가물제조업, 용기·포장류제조업은 각각 5.7%(2조3,731억원), 21.9%(3,939억원), 4.2%(2,597억원) 감소하였다.
- 커피(-3,714억원), 음료류(-2,122억원), 빵·떡류(-1,884억원), 설탕(-1,028억원) 제조업체 등의 생산이 감소됨에 따라 식품, 식품첨가물, 용기·포장류 제조업의 생산실적이 줄은 것으로 분석된다.
< 식품유형별 생산실적, 돼지고기 포장육이 1위 >
○ ’15년 생산실적이 1조원 이상인 식품유형은 돼지고기 포장육, 쇠고기 포장육, 과자, 우유 등 모두 13종으로 조사되었다.
※ 포장육: 판매를 목적으로 식육을 절단하여 포장한 상태로 냉장 또는 냉동한 것(육 함량 100%)으로 쇠고기(등심), 돼지고기(삼겹살), 닭고기 등이 해당
○ 식품유형별 생산실적은 돼지고기 포장육(5조3,142억원)이 1위를 차지하였고 쇠고기 포장육(4조4,250억원), 닭고기 포장육(1조8,643억원), 과자(스낵과자류, 1조4,457억원), 우유(1조3,800억원) 순이었다.
- 그 뒤를 이어 양념육(1조3,674억원), 수산물가공품(어류, 1조3,216억원), 소주(1조2,813억원), 기타가공품(1조2,574억원) 등이 10위 안에 들었다.
< 생산실적 1조원 이상 식품제조업체 7개사 >
○ 생산실적이 1조원 이상인 업체는 식품제조‧가공업체 6곳과 축산물가공업체(유가공업체) 1곳을 포함한 총 7곳으로 이들이 ’15년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 70조4천여억원 중 12.8%를 차지하였다.
- ㈜농심(1조8,628억원)이 1위를 차지하였고, 롯데칠성음료㈜(1조4,530억원), CJ제일제당㈜(1조3,505억원), 서울우유협동조합(1조1,351억, 축산물가공업), 하이트진로㈜(1조1,313억원), ㈜오리온(1조828억원), 롯데제과㈜(1조30억원) 순이었다.
○ 식품첨가물 제조업체 생산실적은 한화케미칼㈜이 1,803억원으로 1위를 차지하였고, ㈜엘지화학브이시엠(1,732억원), 대상㈜(1,267억원), OCI㈜(536억원), 백광산업㈜(533억원), ㈜엠에스씨(474억원), 에스케이씨㈜(334억원)의 순이었다.
○ 건강기능식품제조업체는 ㈜한국인삼공사가 1,600억원으로 1위를 차지하였고, 콜마비앤에이치㈜(959억원), ㈜노바렉스(836억원), 고려은단㈜(530억원), ㈜서흥(473억원), ㈜에스트라(458억원) 순서였으며 상위 10개 업체의 비중이 전체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의 54.8%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10인 이하 식품산업 제조업체수 80% 차지 >
○ ’15년 식품산업 생산실적 보고 업체수는 37,793개소로 ’14년(37,208개소) 대비 1.6%, 종업원 수는 421,244명으로 ’14년(399,528명) 대비 5.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10인 이하 업체(법인 기준)가 전체 업체수의 80% 이상을 차지하였지만, 생산액 규모는 ’14년(12.3%)에 비해 감소한 11.3%에 그쳐 여전히 영세한 식품제조업체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17개 시·도별 생산실적은 경기도가 19조8,761억원으로 국내 생산실적의 28.2%를 차지하여 가장 높았으며, 충청북도(8조2,626억원, 11.7%) 및 충청남도(6조8,377억원, 9.7%) 포함 상위 3개 지역이 전체 생산의 49.7%를 차지하였다.
- 그 뒤를 이어 경상남도(6조417억원), 전라북도(4조6,751억원), 경상북도(4조2,474억원) 순으로 조사되었다.
- 상위 3개 지역은 전체 식품업체수의 35.7%가 집중되고, 수도권과 인접하는 등 물류·교통이 발달되어 대규모 업체들이 몰려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 식약처는 식품·식품첨가물, 축산물 및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 자료를 국민과 관련 산업체, 연구기관, 관련 부처 등에 제공함으로써 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며,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www.mfds.go.kr → 법령·자료 → 자료실 → 통계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6-09-2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80 7개 로또당첨예측번호 제공서비스 운영업체들의 부당한 광고행위에 대한 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9 69
1879 7개 공기청정 제품 제조·판매사업자의 부당한 표시·광고행위 제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9 33
1878 75세 이상 참전유공자도 위탁병원 진료 시 약제비 지원 받는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23 18
1877 75세 이상 어르신, 9월 26일부터 인플루엔자 무료접종 시작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18 33
1876 75세 이상 고령운전자 면허갱신 기간 단축 및 교육 의무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02 46
1875 750만 업종․업소 정보, 언제든 쉽게 볼 수 있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05 21
1874 722개 공간정보 사업에 3,133억 투자 “일자리 창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05 46
1873 700여개 공공기관 데이터를 쉽게 찾고 신청까지 한 번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03 11
1872 7.29.(수) 부터 미신고 어린이통학버스 처벌!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8 83
1871 7.28일부터 AI 위기경보 ‘심각’에서 ‘주의’ 단계로 조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28 40
1870 7.1일부터 제4세대 실손의료보험이 출시됩니다.- 국민건강보험을 보완하는 사적(私的) 사회안전망 역할을 지속 수행할 수 있도록 상품구조를 전면 개편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30 12
1869 7.1일부터 정신질환자 응급·행정입원 등 치료비 지원 대상 확대로 치료 부담 경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02 10
1868 7.1일부터 전력기금 부담금단계적△1%p, 출국납부금△3천원, 여권발급 부담금△3천원 인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8 19
1867 7.1일부터 상급종합·종합병원 2·3인실 보험적용 입원료 부담이 절반 수준으로 줄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11 44
1866 7.1일부터 고위험 임산부의 입원진료비 부담이 줄어듭니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1 97
Board Pagination Prev 1 ... 796 797 798 799 800 801 802 803 804 805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