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는 ’15년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은 약 70조4천억원으로 ’11년 이후 연 평균 5%대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 식품제조·가공업, 식품첨가물제조업, 식품용기·포장제조업 등(식품 일반), 식육가공업, 식육포장처리업, 유가공업 등(축산물) 및 건강기능식품제조업 등(건강기능식품) 등 포괄
○ ’15년 식품산업 생산실적은 국내 제조업 GDP 대비 16.8%, 전체 GDP 대비 4.5%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국내산업 대비 식품산업 비중 변화
- 제조업 GDP 대비(%): (’11) 15.4→ (’12) 16.9 → (’13) 17.9 → (’14) 17.9 → (’15) 16.8
- GDP 대비(%): (’11) 4.4 → (’12) 4.8 → (’13) 5.0 → (’14) 4.9 → (’15) 4.5
○ 이번 자료는 그간 분리 관리되어 오던 식품제조업, 축산물가공업, 건강기능식품제조업 등의 분야별 통계를 넘어 식품산업 전체의 생산 현황을 처음으로 통합·분석한 자료로 식품산업 전반에 대한 분석·연구와 정부정책 수립 등에 활용도가 커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또한, 식약처가 ’13년부터 정부 3.0 핵심과제로 추진해 온 통합식품안전정보망의 인·허가, 품목제조보고 정보 등과 연계하여 실적보고가 이루어짐으로서 보다 정확하고 체계적인 통계정보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 ’15년 식품산업 생산실적 분석 주요 내용은 ▲업종별 생산실적, 식품제조·가공업이 55.7% ▲식품유형별 생산실적, 돼지고기 포장육이 1위 ▲생산실적 1조원 이상 식품제조업체 7개사 ▲10인 이하 식품산업 제조업체수 80% 차지 등이다.
< 업종별 생산실적, 식품제조·가공업이 55.7% >
○ ’15년 업종별 생산실적은 식품제조‧가공업이 39조2,077억원(55.7%)으로 가장 많았고, 식육포장처리업(12조374억원, 17.1%), 유가공업(6조1,300억원, 8.7%), 용기·포장지제조업(5조8,906억원, 8.4%, 옹기류포함), 식육가공업(4조2,731억원, 6.1%), 식품첨가물제조업(1조4,055억원, 2.0%), 건강기능식품제조업(1조1,332억원*, 1.6%) 순이었다.
※ 식육포장처리업: 포장육을 만드는 영업
※ 유가공업: 우유·치즈·분유 등 유가공품을 만드는 영업
※ 식육가공업: 햄·소시지 등 식육가공품을 만드는 영업
* 지난 8월에 발표한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은 매출액 기준이며, 생산액 기준으로 재조사하였음
○ ’14년과 비교하여 식육가공업과 유가공업은 각각 7.5%(2,984억원), 2.6%(1,555억원) 증가한 반면, 식품제조‧가공업, 식품첨가물제조업, 용기·포장류제조업은 각각 5.7%(2조3,731억원), 21.9%(3,939억원), 4.2%(2,597억원) 감소하였다.
- 커피(-3,714억원), 음료류(-2,122억원), 빵·떡류(-1,884억원), 설탕(-1,028억원) 제조업체 등의 생산이 감소됨에 따라 식품, 식품첨가물, 용기·포장류 제조업의 생산실적이 줄은 것으로 분석된다.
< 식품유형별 생산실적, 돼지고기 포장육이 1위 >
○ ’15년 생산실적이 1조원 이상인 식품유형은 돼지고기 포장육, 쇠고기 포장육, 과자, 우유 등 모두 13종으로 조사되었다.
※ 포장육: 판매를 목적으로 식육을 절단하여 포장한 상태로 냉장 또는 냉동한 것(육 함량 100%)으로 쇠고기(등심), 돼지고기(삼겹살), 닭고기 등이 해당
○ 식품유형별 생산실적은 돼지고기 포장육(5조3,142억원)이 1위를 차지하였고 쇠고기 포장육(4조4,250억원), 닭고기 포장육(1조8,643억원), 과자(스낵과자류, 1조4,457억원), 우유(1조3,800억원) 순이었다.
- 그 뒤를 이어 양념육(1조3,674억원), 수산물가공품(어류, 1조3,216억원), 소주(1조2,813억원), 기타가공품(1조2,574억원) 등이 10위 안에 들었다.
< 생산실적 1조원 이상 식품제조업체 7개사 >
○ 생산실적이 1조원 이상인 업체는 식품제조‧가공업체 6곳과 축산물가공업체(유가공업체) 1곳을 포함한 총 7곳으로 이들이 ’15년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 70조4천여억원 중 12.8%를 차지하였다.
- ㈜농심(1조8,628억원)이 1위를 차지하였고, 롯데칠성음료㈜(1조4,530억원), CJ제일제당㈜(1조3,505억원), 서울우유협동조합(1조1,351억, 축산물가공업), 하이트진로㈜(1조1,313억원), ㈜오리온(1조828억원), 롯데제과㈜(1조30억원) 순이었다.
○ 식품첨가물 제조업체 생산실적은 한화케미칼㈜이 1,803억원으로 1위를 차지하였고, ㈜엘지화학브이시엠(1,732억원), 대상㈜(1,267억원), OCI㈜(536억원), 백광산업㈜(533억원), ㈜엠에스씨(474억원), 에스케이씨㈜(334억원)의 순이었다.
○ 건강기능식품제조업체는 ㈜한국인삼공사가 1,600억원으로 1위를 차지하였고, 콜마비앤에이치㈜(959억원), ㈜노바렉스(836억원), 고려은단㈜(530억원), ㈜서흥(473억원), ㈜에스트라(458억원) 순서였으며 상위 10개 업체의 비중이 전체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의 54.8%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10인 이하 식품산업 제조업체수 80% 차지 >
○ ’15년 식품산업 생산실적 보고 업체수는 37,793개소로 ’14년(37,208개소) 대비 1.6%, 종업원 수는 421,244명으로 ’14년(399,528명) 대비 5.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10인 이하 업체(법인 기준)가 전체 업체수의 80% 이상을 차지하였지만, 생산액 규모는 ’14년(12.3%)에 비해 감소한 11.3%에 그쳐 여전히 영세한 식품제조업체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17개 시·도별 생산실적은 경기도가 19조8,761억원으로 국내 생산실적의 28.2%를 차지하여 가장 높았으며, 충청북도(8조2,626억원, 11.7%) 및 충청남도(6조8,377억원, 9.7%) 포함 상위 3개 지역이 전체 생산의 49.7%를 차지하였다.
- 그 뒤를 이어 경상남도(6조417억원), 전라북도(4조6,751억원), 경상북도(4조2,474억원) 순으로 조사되었다.
- 상위 3개 지역은 전체 식품업체수의 35.7%가 집중되고, 수도권과 인접하는 등 물류·교통이 발달되어 대규모 업체들이 몰려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 식약처는 식품·식품첨가물, 축산물 및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 자료를 국민과 관련 산업체, 연구기관, 관련 부처 등에 제공함으로써 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며,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www.mfds.go.kr → 법령·자료 → 자료실 → 통계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6-09-2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825 국내 의약품 수출 지원을 위한 영문 홍보자료 발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25 97
11824 ‘숨은 명소가 있는 농촌관광코스 10선’선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7 97
11823 온라인에서 상품권 직거래시 신종 금융사기에 유의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18 97
11822 여름철,‘콘택트렌즈’안전하게 사용하여 눈 건강 지키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30 97
11821 사우디아라비아 여행 시 메르스 주의 당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2 97
11820 영유아 1명당 평균 보육비용 ´12년 대비 41% 감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01 97
11819 농식품부, 2015 식품산업 원료소비 실태조사 결과 발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24 97
11818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초기감염 확인진단체계 도입1년, 진단소요일 단축에 큰 효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8 97
11817 자동차관리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11 97
11816 2015년 심사진료비 총 66조원, 전년 대비 6.5%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5 97
11815 최근 뎅기열 신고 증가에 따른 감염 주의 당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4 97
11814 과태료 부과 등 리콜이행 강제수단이 강화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3 97
11813 軍복무 중 고문피해 입었다면 보훈대상자로 인정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3 97
11812 무주택 서민의 내집마련 부담을 덜어드립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4 97
11811 농수산식품 원산지표시 확대로 국민 알권리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3 97
Board Pagination Prev 1 ...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