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생후 6~12개월 미만 영아도 10월부터 인플루엔자 무료접종


◇생후6∼12개월 미만(첫돌 전) 영아 병의원 인플루엔자 접종비용, 10월4일부터 국가지원
◇영아대상 첫무료접종에 따른 초기 일부혼선 예상, 지정의료기관 확인 및 사전문의 당부
◇2017년에는 생후 6∼59개월 전체 어린이 대상 인플루엔자 접종 무료지원 확대예정


□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오는 10월4일부터 12월말까지 생후 6~12개월 미만 (2015.10.1.~2016.6.30.출생) 영아, 약 32만명을 대상으로 인플루엔자 무료 예방접종을 시행*할 계획이라 밝혔다.

* ‘영아인플루엔자무료접종’ 지원에 필요한 목적예비비 집행은 이후 국무회의 의결 등 거쳐 추진

○아울러 보건복지부는, 올해는 한정된 백신물량 사정으로 12개월 미만 영아를 우선 지원하고, 내년 하반기부터는 생후 6∼59개월 어린이 전체에 대해 무료접종 계획을*가지고 준비 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 2017년 정부예산안에 어린이 국가예방접종사업 ‘인플루엔자 신규지원’ 예산(296억원) 국회 제출

○이 같은 지원대상자 결정*은 올해 백신 생산과 공급이 종료**된 상황에서 기존 고령자 대상 무료접종의 안정적 추진 및 소아, 만성질환자 등의 민간 유료접종 수요를 고려한 조치다.

*예방접종접종전문위원회(국가예방접종사업 주요시책 심의기구) 의결 사항(9월22일)

**국내인플루엔자 백신 제조·수입사는 10곳이며, 올해국내백신생산은 준비된 균주 원료로 6.22.∼8.12.사이 종료 (’16년 식품의약품안전처 국가검정량 총 2,146만 도즈)
□ 올해 무료접종대상자는 10월4일부터 12월31일 사이 주소지에 관계없이 전국 지정의료기관을 통해 무료접종 받을 수 있다.
♣올해 무료접종 지원 대상자에서 제외된 “생후 12∼59개월 영유아”는 의료기관을 통해 유료접종 필요

○처음 인플루엔자 접종을 받는 영아의 경우는 0.25㎖ 백신을 사용해 4주 간격으로 2회 예방접종 받게 돼 있어, 올해 무료접종 대상 영아는 연말까지 두 번의 예방접종비를 지원 받을 수 있다.

♣단, 사업기간 안에 1차 접종후 2차 접종을 완료하지 못한 영아에 한해 내년 1월말까지 2차 접종 무료지원

*우리나라 인플루엔자 유행이 통상 12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발생하고 있고, 백신공급 및 예방접종 효과 지속기간(3∼12개월, 평균 6개월) 등을 고려해 10∼12월 사이를 예방접종 권장시기로 설정하고 있음

○그간 만 12세 이하 어린이에게 필요한 국가예방접종(15종)은 전액 국가에서 지원해 무료접종이 이뤄졌지만, 인플루엔자 접종은 별도 지원이 없어 매년 본인부담으로 접종이 이뤄졌다.

□ 한편 보건복지부는 기존 어르신 인플루엔자 무료접종에 더해, 올해 처음으로 영아 대상 무료지원이 추가됨에 따라 10월초 접종초기 일부 혼선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하며,

○영아와 보호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안전한 예방접종이 이뤄질 수 있도록 의료계와 지방자치단체의 협력을 당부했다.

○특히, 지정의료기관은 개별 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영아용 백신(0.25㎖) 물량 정보를 지자체(관할보건소)에 공유해, 지역 접종대상자에게 안내(홍보)될 수 있도록 협조를 당부했고,

○아울러, 영아보호자들에게는 “대기 시간 없이 빠르고 안전하게 접종 받기 위해서는, 지정의료기관 방문 전 반드시 사전문의(예약)를 하고, 여유있는 시간대에 방문”해 줄 것을 강조했다.

*보건소에서는 영아대상 무료접종을 하지 않음. 단, 자치단체 자체예산으로 무료접종을 지원할 수 있으므로 보건소 방문 시 반드시 무료접종 여부 확인 필요

○생후 6~12개월 미만 영아 무료접종이 가능한 지정의료기관은 보건소 문의 및 예방접종도우미(https://nip.cdc.go.kr) 홈페이지, 스마트폰 앱에서 10월4일부터 확인 할 수 있다.


<붙임> 1. 생후6∼12개월 미만 영아인플루엔자 무료접종 개요
2. 2016년 영아 인플루엔자 무료예방접종 Q&A

 

[보건복지부 2016-09-2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239 생활 안정 지원 강화를 위한 체불 근로자 생계비 융자 한도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1 9
6238 생활 어려운 국가·독립유공자, 기초연금 받을 가능성 커져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19 32
6237 생활 주변 위험 시설물과 개선사항을 제안해 주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26 74
6236 생활가전 해외직구 시 국내가격, AS 여부 확인 후 구매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02 41
6235 생활가전 해외직구 시 국내판매가격과 비교 후 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17 55
6234 생활과 밀접한 주민등록 인감 제도혁신으로 더 나은 주민의 삶을 만들어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06 44
6233 생활대책 신청 않더라도 기준 충족되면 대상자로 선정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3 10
6232 생활대책대상자 구제범위 확대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1 14
6231 생활민원 불편사항, 이제는 국민이 직접 고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16 11
6230 생활속 규제, 무엇을 먼저, 어떻게 해결할지 국민이 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25 16
6229 생활안전 혁신! 국민과 현장에서 찾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22 14
6228 생활안전지도를 개선할 아이디어를 찾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7 14
6227 생활안정자금 융자 제출서류, 대폭 ‘다이어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03 17
6226 생활에 필요한 '식품의약품 등 안전기술' 국민이 직접 제안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25 7
6225 생활에서 요구되는‘식품.의약품 등 안전기술’수요 조사 실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12 45
Board Pagination Prev 1 ... 505 506 507 508 509 510 511 512 513 514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