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6년 2분기 해외 리콜제품 국내 유통 모니터링 결과
- 17개 제품 판매중지·제품회수 및 환불 등 시정조치 -

해외직구를 이용하는 소비자가 증가함에 따라 외국에서 결함제품으로 판명된 리콜제품이 국내에 유통되는 사례가 많아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은 2016년 4월부터 6월까지 해외에서 리콜된 17개 제품이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시정하도록 조치하였는데, 이 중 등반장비*는 사망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결함이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 해당 제품은 체결풀림 현상으로 미국에서 리콜된 D모양의 등반용 링으로서, 소비자원의 신속한 조치 요구에 해당 사업자의 국내지사는 제품회수 및 무상교환 등의 시정조치를 취함.

품목별로는 ‘유아용품’이 6건(35%)으로 가장 많았고, ‘레저용품’, ‘식품’이 각 3건(18%)으로 그 뒤를 이었다.

이 중 국내 공식 수입·유통업자가 판매하는 등반용 카라비너(Black Diamond, Carabiner), 자전거 전조·후미등(Specialized Bicycle), 전기램프(Philips) 등은 사업자의 자발적 협조를 통해 국내 소비자가 해외 현지에서 구매한 제품과 해외직구 등으로 구입한 제품까지 무상 수리, 교환 및 환급 등이 진행되었다.

대다수의 해외 리콜제품은 국내에 공식 수입·유통사가 없어 온라인 유통 차단을 통한 판매중지 이상의 조치가 어려운 실정이나, 필립스라이팅코리아는 해당 제품이 국내에 정식으로 수입·유통되지 않았음에도 국내 소비자의 안전 확보를 위해 구매 소비자에게 리콜국(미국)과 동일한 조치(전기램프 무상 교환)를 취하였다.

소비자원은 외국에서 리콜된 결함제품으로 인한 국내 소비자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할 예정이며, 해외직구 또는 구매대행 등의 방법으로 리콜 대상 제품을 구매했거나, 구입하려는 소비자는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www.ciss.go.kr) 이나 스마트컨슈머(www.smartconsumer.go.kr) 등을 통해 해외 리콜 정보를 수시로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2016-09-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11 호남지역, 택배 서비스 소비자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7 2018.09.17
110 호랑이전자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9 2023.02.07
109 호우 및 장마기간 낙뢰사고 각별히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8 2017.07.11
108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 발생 증가에 따른 예방·관리 강화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6 2017.10.27
107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감염증 발생 증가에 따른 예방·관리 강화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18.11.05
106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감염증 증가시기,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8 2019.11.11
105 홈 베이킹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0 2020.02.05
104 홈쇼핑업체 온쇼핑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4.02.14
103 홈쇼핑업체 온쇼핑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4.04.01
102 홈플러스가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11.29
101 홍콩 여행경보, 1단계(여행유의)로 하향 조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9 2020.01.17
100 홍콩·대만, 여름임에도 인플루엔자 유행··· 현지 여행시 주의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1 2017.07.24
99 홍콩에 1단계 여행경보(남색경보-여행유의)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3 2019.08.28
98 홍합 등 봄철 수산물 섭취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9 2018.03.15
97 화로용 ‘에탄올 연료’ 화재 위험에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2.09.28
96 화상 등 부상 위험 있는 Rene Rofe 유아용 목욕가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 2023.12.21
95 화상 또는 감전의 위험이 있는 전기주전자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717 2016.07.12
94 화상 및 감전 위험 있는 CNC 레이져 조각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7 2021.02.01
93 화상 및 감전 위험 있는 Hoco USB 충전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1.07.28
92 화상 및 감전 위험 있는 LUCIDE BALLOON 조명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8 2021.02.26
Board Pagination Prev 1 ...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