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85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편의점 도시락, 안전기준에 적합
- 전자레인지에 조리 시 뚜껑 완전히 제거해야 -

최근 1인 가구의 증가와 함께 ‘혼밥족’이라는 신조어가 등장할 만큼 혼자 밥을 먹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편의점 도시락이 인기를 끌고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한견표)이 시중에 유통 중인 편의점 도시락 24종*에 대해 안전성** 시험을 실시한 결과, 모두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편의점 상위 4개사(GS25·CU·세븐일레븐·미니스톱)에서 판매되고 있는 도시락 각각 6종
** 미생물 시험검사(대장균, 바실러스 세레우스), 용기(뚜껑)의 화학물질 시험검사(납, 과망간산칼륨소비량, 총용출량, 안티몬, 게르마늄, 휘발성 물질)

□ 편의점 도시락 24종 모두 식품의 기준 및 규격에 적합해

미생물 시험검사 결과, 대장균은 24종 모두 검출되지 않았고, 바실러스 세레우스는 전 제품이 기준에 적합하였다. 용기(뚜껑)의 화학물질(납, 과망간산칼륨 소비량, 총용출량, 안티몬, 게르마늄, 휘발성 물질) 시험검사 결과에서도 모두 관련 기준 및 규격에 적합했고, 표시기준도 전 제품이 준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편의점 도시락의 음식을 담고 있는 내부용기 재질은 모두 폴리프로필렌(PP)으로 국내는 물론 유럽연합(EU), 미국, 일본 등 외국에서도 전자레인지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어 이번 시험검사 대상에 포함시키지 않음.

□ 전자레인지 조리 시 10명 중 3명만 뚜껑 완전히 제거전자레인지 조리 실태 도표

편의점 도시락을 먹어본 경험이 있는 920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도시락에 표시된 주의문구(뚜껑 개봉, 조리시간 등)를 확인 후 조리한다고 응답한 사람은 73.6%(677명)였다. 그러나 이 중 뚜껑을 완전히 제거하고 조리하는 사람은 28.8%(195명)에 불과했다.

전문가 및 관련업체에 따르면 편의점 도시락 뚜껑의 재질(PET·PS)은 내열성이 약해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도시락을 데울 때 뚜껑을 덮은 채 조리하게 되면 식품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좋다.

일부 도시락 열량, 성인 여성 1일 에너지 필요추정량의 약 50%에 달해

조사대상 24종 중 열량을 표시한 도시락은 7종으로 평균열량은 651.3kcal였다. 이는 성인여성 1일 에너지 필요추정량(2,100kcal/day)의 1/3에 해당한다. 또한 최소 열량은 370kcal, 최대 열량은 1,078kcal이었고, 최대 열량 섭취 시 1일 필요추정량의 51.3%를 섭취하는 것과 같다.

편의점 도시락의 경우 영양성분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부족하고, 육류 및 튀김류가 많이 포함된 도시락은 지방 및 나트륨 함량이 높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관련업체에 편의점 도시락 조리 시 올바른 사용방법을 소비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문구 및 기호, 그림 등을 활용하여 표시내용을 개선할 것과 영양성분 표시를 하도록 권고하여, 소비자들이 편의점 도시락 구매 시 해당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2016-09-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251 보툴리누스균 오염 위험 있는 Primula 치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0.11.23
3250 포장 비닐 및 소형 부품으로 인한 질식 위험 있는 개구리 저울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2.07.19
3249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JIF 땅콩버터(18)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2.07.22
3248 살모넬라 오염가능성 있는 초콜릿(9)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2.07.21
3247 해외주식 거래 관련 투자자 유의사항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2.08.22
3246 알러지 및 접촉성 피부염 유발 성분 함유된 Al Haramain 향수(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2.10.18
3245 단추형 전지 노출되어 삼킬 경우 사망 위험 있는 LED 머리띠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2.12.15
3244 손가락 끼임 위험 있는 People 유아용 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2.12.15
3243 겨울 스포츠 안전사고 발생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2.12.21
3242 '콘센트·전원플러그 안전 사용’을 위한 소비자정보 제작·보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2.12.22
3241 파트너몰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3.01.11
3240 금속 이물질 혼입돼 부상 위험 있어 리콜된 Chupa Chups 사탕세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3.01.12
3239 과산화수소 과다 검출된 Crest 치아미백스트립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3.07.13
3238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 성분이 포함된 Sante 안약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3.09.19
3237 올해 일본뇌염 첫 의사환자 발생에 따른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2.09.07
3236 필터링 기능 테스트 받지 않은 AIR Queen 마스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2.11.14
3235 향료 HICC 성분 존재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Orlane 세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2.12.07
3234 2-클로로에탄올 존재 가능성 있어 리콜된 Seitenbacher 피트니스 바(식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2.12.08
3233 긴 끈으로 인해 영유아 목졸림 위험 있는 Konig Kids 모빌 완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2.12.09
3232 벤젠 검출 가능성 있는 Bed Head 드라이 샴푸(3)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2.12.13
Board Pagination Prev 1 ...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