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건강관리, 터치 한번으로”보건소의 똑똑한 건강관리

- 9월 12일부터 10개 시군구에서 모바일 헬스케어 시범사업 실시 -

□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만성질환 위험요인이 있는 1천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으로 맞춤형 건강관리를 제공하는「모바일 헬스케어」시범사업을 9월 12일부터 전국 10개 시군구의 보건소에서 실시한다고 밝혔다.


☞「모바일 헬스케어」는 정보통신기술과 건강검진 빅데이터를 활용해 모바일 앱과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활동량계, 혈압계 등 스마트 기기*로 맞춤형 건강관리를 해 주는 사업이다.

* 운동량, 건강 정보 등이 자동 측정․전송되는 활동량계, 체성분계, 혈압계, 혈당계 등

☞ 환자는 아니나, 건강검진 결과 혈압, 혈당이 높거나, 복부 비만 등으로 만성질환 위험요인*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서비스 대상이며,

* 기준(1개 이상 해당 시) : ①혈압(수축기 130 mmHg/이완기 85 mmHg 이상), ②공복혈당(100 mg/dL 이상), ③허리둘레(남 90 cm 이상, 여 85 cm 이상), ④중성지방(150 mg/dL 이상) ⑤HDL-콜레스테롤(남 40 mg/dL 미만, 여 50 mg/dL 미만)

☞ 이용자는 스마트폰으로 혈압, 혈당, 활동량 등 자신의 건강상태와 생활습관을 수시로 확인하게 되며, 건강․운동․영양 등의 전문상담과 건강관리로 건강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도움을 받는다.


□ 지난 5월 전국 229개 시군구의 보건소를 대상으로 사업 설명회를 통해 시범사업 보건소 10곳을 공모하면서 사업을 본격 착수하였다.

ㅇ 복지부는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시범사업 기획, 운영 및 평가를 담당하는「모바일 헬스케어」시범사업 추진위원회를 3월부터 운영하고 있으며, 한국건강증진개발원에서 사업을 관리하고 있다.

□ 공모 결과, 44개 보건소가 참여를 신청하는 등 사업에 대한 보건 현장의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신청한 보건소 중에서 건강증진사업 실적, 사업 계획서 등을 평가하여 지난 6월 10개 보건소*를 선정하였다.
* 서울 중구․송파구, 대구 북구, 광주 서구, 울산 동구, 경기 용인 수지구, 강원 평창, 전북 부안, 전남 순천, 경남 김해

ㅇ 선정된 보건소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의사․간호사․영양사․운동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모바일 헬스케어 전담팀을 운영하게 된다.

□ 보건소는 건강검진과 연계하여 건강 상태, 이용 의사 등을 확인하여 보건소별로 평균 100명, 전체 1천명의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ㅇ 스마트폰 이용이 가능한 성인이라면 누구나 가능한데, 다른 연령층에 비해 예방적 건강관리가 필요한 30~50대 연령층이 주된 대상이다.
<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 프로세스>


□ 이용자는 보건소에서 건강상태․생활습관 등에 대한 전문 상담을 먼저 받고,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활동량계, 체성분계, 혈압계, 혈당계 등 건강관리에 필요한 스마트기기*를 무료로 지급받는다.

* 활동량계와 체성분계는 공통 지급, 혈압 및 혈당 위험요인 여부에 따라 혈압계와 혈당계가 추가 지급되어 최대 4종 기기 지급

ㅇ 이후, 상담을 통해 제시된 맞춤형 건강관리 계획에 따라 생활을 실천하면 모바일 앱 통해 건강수치, 건강생활 실천 여부 등의 정보가 자동으로 측정되어 보건소로 전송된다.

□ 보건소는 이 정보를 분석해 모바일 앱을 통해 생활습관 개선을 위한 미션과 월 3~4회의 건강․운동․영양․금연 등의 전문상담을 제공한다.

ㅇ 6개월이 지난 후 이용자는 보건소를 방문해 건강상태 및 나쁜 생활습관 변화 여부를 통해 건강위험요인 개선 여부를 확인하고 향후 건강관리계획을 제시받는다.

□ 「모바일 헬스케어」에 대한 지역 주민의 건강을 책임지는 보건소와 건강관리를 받고 싶은 지역 주민의 관심과 기대는 매우 높았다.

ㅇ 예방적 건강관리의 수요와 건강관리 앱․ 스마트기기 사용 증가 추세를 효과적으로 반영한 사업 모형으로 평가 받기 때문이다.

□ 지역주민에게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보건소의 효과적인 건강증진사업으로 빠르게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ㅇ 따라서, 보다 많은 사람이 예방적 건강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건강생활을 실천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 정진엽 보건복지부 장관은 “모바일 헬스케어는 건강에 이상 신호가 왔으나, 어떻게 건강관리를 해야 할지 도움을 받지 못했던 사람과 혼자서 운동, 식이요법, 금연 등 건강생활을 지속적으로 실천하지 못했던 사람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하였다.

○ 특히 “경제활동 또는 거리적 접근성 문제로 대면 중심의 보건소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려웠던 주민에게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보건소의 건강관리 기능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고 밝혔다.

□ 복지부는 시범사업을 통해 「모바일 헬스케어」의 효과적 모형을 마련한 후, 전국 보건소에서 건강증진사업으로「모바일 헬스케어」가 본격 시행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 2016-09-1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50 3개 업종 표준가맹계약서 제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10 16
3049 암 생존율 70.7%로 증가, 유방암·전립선암 발생은 증가 추세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29 16
3048 살생물제품 피해구제제도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28 16
3047 국립공원 해넘이·해맞이 행사 전면 금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27 16
3046 가맹사업법, 대규모유통업법, 방문판매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10 16
3045 야생멧돼지 거짓신고 행위 집중 단속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20 16
3044 병역의무자 대상 온라인 여권재발급 신청 확대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01 16
3043 이제부터는 온라인으로도 발급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29 16
3042 2022학년도 1학기(1차) 국가장학금, 잊지 말고 꼭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24 16
3041 11일부터 감염병 우려 시 전자적 방법으로 조합총회 의결 허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10 16
3040 무, 저해지보험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해 소비자 보호와 보험사 건전성 유지 측면에서 상품설계를 합리적으로 개선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8 16
3039 결혼중개 만남 전 계약해지, 이제 쉬워집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8 16
3038 가정폭력피해자의 신속한 보호를 위한 등·초본 교부제한 신청 간소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01 16
3037 일부 합성가죽 재질의 태블릿 케이스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8.21 16
3036 국민권익위, 이동전화로 공공기관 상담 전화 이용할 땐 ‘음성전화’ 요금 적용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8.18 16
Board Pagination Prev 1 ... 718 719 720 721 722 723 724 725 726 727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