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건강관리, 터치 한번으로”보건소의 똑똑한 건강관리

- 9월 12일부터 10개 시군구에서 모바일 헬스케어 시범사업 실시 -

□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만성질환 위험요인이 있는 1천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으로 맞춤형 건강관리를 제공하는「모바일 헬스케어」시범사업을 9월 12일부터 전국 10개 시군구의 보건소에서 실시한다고 밝혔다.


☞「모바일 헬스케어」는 정보통신기술과 건강검진 빅데이터를 활용해 모바일 앱과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활동량계, 혈압계 등 스마트 기기*로 맞춤형 건강관리를 해 주는 사업이다.

* 운동량, 건강 정보 등이 자동 측정․전송되는 활동량계, 체성분계, 혈압계, 혈당계 등

☞ 환자는 아니나, 건강검진 결과 혈압, 혈당이 높거나, 복부 비만 등으로 만성질환 위험요인*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서비스 대상이며,

* 기준(1개 이상 해당 시) : ①혈압(수축기 130 mmHg/이완기 85 mmHg 이상), ②공복혈당(100 mg/dL 이상), ③허리둘레(남 90 cm 이상, 여 85 cm 이상), ④중성지방(150 mg/dL 이상) ⑤HDL-콜레스테롤(남 40 mg/dL 미만, 여 50 mg/dL 미만)

☞ 이용자는 스마트폰으로 혈압, 혈당, 활동량 등 자신의 건강상태와 생활습관을 수시로 확인하게 되며, 건강․운동․영양 등의 전문상담과 건강관리로 건강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도움을 받는다.


□ 지난 5월 전국 229개 시군구의 보건소를 대상으로 사업 설명회를 통해 시범사업 보건소 10곳을 공모하면서 사업을 본격 착수하였다.

ㅇ 복지부는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시범사업 기획, 운영 및 평가를 담당하는「모바일 헬스케어」시범사업 추진위원회를 3월부터 운영하고 있으며, 한국건강증진개발원에서 사업을 관리하고 있다.

□ 공모 결과, 44개 보건소가 참여를 신청하는 등 사업에 대한 보건 현장의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신청한 보건소 중에서 건강증진사업 실적, 사업 계획서 등을 평가하여 지난 6월 10개 보건소*를 선정하였다.
* 서울 중구․송파구, 대구 북구, 광주 서구, 울산 동구, 경기 용인 수지구, 강원 평창, 전북 부안, 전남 순천, 경남 김해

ㅇ 선정된 보건소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의사․간호사․영양사․운동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모바일 헬스케어 전담팀을 운영하게 된다.

□ 보건소는 건강검진과 연계하여 건강 상태, 이용 의사 등을 확인하여 보건소별로 평균 100명, 전체 1천명의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ㅇ 스마트폰 이용이 가능한 성인이라면 누구나 가능한데, 다른 연령층에 비해 예방적 건강관리가 필요한 30~50대 연령층이 주된 대상이다.
<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 프로세스>


□ 이용자는 보건소에서 건강상태․생활습관 등에 대한 전문 상담을 먼저 받고,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활동량계, 체성분계, 혈압계, 혈당계 등 건강관리에 필요한 스마트기기*를 무료로 지급받는다.

* 활동량계와 체성분계는 공통 지급, 혈압 및 혈당 위험요인 여부에 따라 혈압계와 혈당계가 추가 지급되어 최대 4종 기기 지급

ㅇ 이후, 상담을 통해 제시된 맞춤형 건강관리 계획에 따라 생활을 실천하면 모바일 앱 통해 건강수치, 건강생활 실천 여부 등의 정보가 자동으로 측정되어 보건소로 전송된다.

□ 보건소는 이 정보를 분석해 모바일 앱을 통해 생활습관 개선을 위한 미션과 월 3~4회의 건강․운동․영양․금연 등의 전문상담을 제공한다.

ㅇ 6개월이 지난 후 이용자는 보건소를 방문해 건강상태 및 나쁜 생활습관 변화 여부를 통해 건강위험요인 개선 여부를 확인하고 향후 건강관리계획을 제시받는다.

□ 「모바일 헬스케어」에 대한 지역 주민의 건강을 책임지는 보건소와 건강관리를 받고 싶은 지역 주민의 관심과 기대는 매우 높았다.

ㅇ 예방적 건강관리의 수요와 건강관리 앱․ 스마트기기 사용 증가 추세를 효과적으로 반영한 사업 모형으로 평가 받기 때문이다.

□ 지역주민에게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보건소의 효과적인 건강증진사업으로 빠르게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ㅇ 따라서, 보다 많은 사람이 예방적 건강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건강생활을 실천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 정진엽 보건복지부 장관은 “모바일 헬스케어는 건강에 이상 신호가 왔으나, 어떻게 건강관리를 해야 할지 도움을 받지 못했던 사람과 혼자서 운동, 식이요법, 금연 등 건강생활을 지속적으로 실천하지 못했던 사람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하였다.

○ 특히 “경제활동 또는 거리적 접근성 문제로 대면 중심의 보건소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려웠던 주민에게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보건소의 건강관리 기능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고 밝혔다.

□ 복지부는 시범사업을 통해 「모바일 헬스케어」의 효과적 모형을 마련한 후, 전국 보건소에서 건강증진사업으로「모바일 헬스케어」가 본격 시행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 2016-09-1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22 추석 명절, 의약품 등 올바른 복용방법 안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5 91
2321 ‘어르신을 위한 안전하고 올바른 의약품 사용안내 리플릿' 배포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5 91
2320 필리핀으로 가는 하늘길, 더욱 넓어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2 91
2319 금융분쟁 사례를 통해 본 신용카드 해외사용 시 유의사항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08 91
2318 TV 홈쇼핑, 직접 평가해 주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09 91
2317 벤조피렌 초과 검출 산초기름(식용유지류) 회수 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3 91
2316 2016년 기초연금 및 장애인연금 선정기준액 100만원으로 상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04 91
2315 치매 등으로 인해 사무처리 능력이 부족한 자도 상속인 금융거래 조회 가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11 91
2314 리츠(REITs) 투자 정보를 온라인에서 한 눈에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12 91
2313 국내 유통 반려동물 수입사료 검사결과 안전한 수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20 91
2312 선불식 할부거래업자(상조업자) 등록변경사항 정보공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27 91
2311 저비용 항공사 안전의 기틀을 다시 세운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29 91
2310 술 품질인증제도 활성화를 위한 기준 개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2 91
2309 발렌타인데이 대비 초콜릿·캔디 제조업체 점검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11 91
2308 성접촉에 의한 지카바이러스 전파 예방을 위한 강화된 권고안 발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5 91
Board Pagination Prev 1 ... 761 762 763 764 765 766 767 768 769 770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