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건강관리, 터치 한번으로”보건소의 똑똑한 건강관리

- 9월 12일부터 10개 시군구에서 모바일 헬스케어 시범사업 실시 -

□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만성질환 위험요인이 있는 1천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으로 맞춤형 건강관리를 제공하는「모바일 헬스케어」시범사업을 9월 12일부터 전국 10개 시군구의 보건소에서 실시한다고 밝혔다.


☞「모바일 헬스케어」는 정보통신기술과 건강검진 빅데이터를 활용해 모바일 앱과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활동량계, 혈압계 등 스마트 기기*로 맞춤형 건강관리를 해 주는 사업이다.

* 운동량, 건강 정보 등이 자동 측정․전송되는 활동량계, 체성분계, 혈압계, 혈당계 등

☞ 환자는 아니나, 건강검진 결과 혈압, 혈당이 높거나, 복부 비만 등으로 만성질환 위험요인*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서비스 대상이며,

* 기준(1개 이상 해당 시) : ①혈압(수축기 130 mmHg/이완기 85 mmHg 이상), ②공복혈당(100 mg/dL 이상), ③허리둘레(남 90 cm 이상, 여 85 cm 이상), ④중성지방(150 mg/dL 이상) ⑤HDL-콜레스테롤(남 40 mg/dL 미만, 여 50 mg/dL 미만)

☞ 이용자는 스마트폰으로 혈압, 혈당, 활동량 등 자신의 건강상태와 생활습관을 수시로 확인하게 되며, 건강․운동․영양 등의 전문상담과 건강관리로 건강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도움을 받는다.


□ 지난 5월 전국 229개 시군구의 보건소를 대상으로 사업 설명회를 통해 시범사업 보건소 10곳을 공모하면서 사업을 본격 착수하였다.

ㅇ 복지부는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시범사업 기획, 운영 및 평가를 담당하는「모바일 헬스케어」시범사업 추진위원회를 3월부터 운영하고 있으며, 한국건강증진개발원에서 사업을 관리하고 있다.

□ 공모 결과, 44개 보건소가 참여를 신청하는 등 사업에 대한 보건 현장의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신청한 보건소 중에서 건강증진사업 실적, 사업 계획서 등을 평가하여 지난 6월 10개 보건소*를 선정하였다.
* 서울 중구․송파구, 대구 북구, 광주 서구, 울산 동구, 경기 용인 수지구, 강원 평창, 전북 부안, 전남 순천, 경남 김해

ㅇ 선정된 보건소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의사․간호사․영양사․운동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모바일 헬스케어 전담팀을 운영하게 된다.

□ 보건소는 건강검진과 연계하여 건강 상태, 이용 의사 등을 확인하여 보건소별로 평균 100명, 전체 1천명의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ㅇ 스마트폰 이용이 가능한 성인이라면 누구나 가능한데, 다른 연령층에 비해 예방적 건강관리가 필요한 30~50대 연령층이 주된 대상이다.
<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 프로세스>


□ 이용자는 보건소에서 건강상태․생활습관 등에 대한 전문 상담을 먼저 받고,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활동량계, 체성분계, 혈압계, 혈당계 등 건강관리에 필요한 스마트기기*를 무료로 지급받는다.

* 활동량계와 체성분계는 공통 지급, 혈압 및 혈당 위험요인 여부에 따라 혈압계와 혈당계가 추가 지급되어 최대 4종 기기 지급

ㅇ 이후, 상담을 통해 제시된 맞춤형 건강관리 계획에 따라 생활을 실천하면 모바일 앱 통해 건강수치, 건강생활 실천 여부 등의 정보가 자동으로 측정되어 보건소로 전송된다.

□ 보건소는 이 정보를 분석해 모바일 앱을 통해 생활습관 개선을 위한 미션과 월 3~4회의 건강․운동․영양․금연 등의 전문상담을 제공한다.

ㅇ 6개월이 지난 후 이용자는 보건소를 방문해 건강상태 및 나쁜 생활습관 변화 여부를 통해 건강위험요인 개선 여부를 확인하고 향후 건강관리계획을 제시받는다.

□ 「모바일 헬스케어」에 대한 지역 주민의 건강을 책임지는 보건소와 건강관리를 받고 싶은 지역 주민의 관심과 기대는 매우 높았다.

ㅇ 예방적 건강관리의 수요와 건강관리 앱․ 스마트기기 사용 증가 추세를 효과적으로 반영한 사업 모형으로 평가 받기 때문이다.

□ 지역주민에게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보건소의 효과적인 건강증진사업으로 빠르게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ㅇ 따라서, 보다 많은 사람이 예방적 건강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건강생활을 실천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 정진엽 보건복지부 장관은 “모바일 헬스케어는 건강에 이상 신호가 왔으나, 어떻게 건강관리를 해야 할지 도움을 받지 못했던 사람과 혼자서 운동, 식이요법, 금연 등 건강생활을 지속적으로 실천하지 못했던 사람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하였다.

○ 특히 “경제활동 또는 거리적 접근성 문제로 대면 중심의 보건소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려웠던 주민에게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보건소의 건강관리 기능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고 밝혔다.

□ 복지부는 시범사업을 통해 「모바일 헬스케어」의 효과적 모형을 마련한 후, 전국 보건소에서 건강증진사업으로「모바일 헬스케어」가 본격 시행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 2016-09-1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40 65세 이상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사전예약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28 38
3139 전동킥보드 공유서비스, 이용자 안전관리 및 서비스 운영 미흡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28 59
3138 국민권익위, “본인명의 휴대전화 없으면 재난지원금 신청 어려워...방법 개선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29 33
3137 버팀목 전세대출 이용이 편리해집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29 44
3136 10월부터 불법이륜차 및 교통법규 위반 집중단속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29 41
3135 등산화 비교정보 생산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29 40
3134 식약처, '농산물 직매장' 유통 농산물 수거.검사 결과 발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29 42
3133 일회용 폴리스티렌(PS) 용기 안심하고 사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29 104
3132 식약처, 식품 등 온라인 중고거래 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29 68
3131 먼저 해결하고 싶은 생활 속 불편 규제, 국민이 뽑아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29 56
3130 국민권익위, “신고자 보호ㆍ보상 대폭 강화” 청탁금지법 개정안 29일 국회 정무위 통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30 53
3129 10월 1일부터 연말까지 화물차 불법증차 및 안전관리 실태 집중점검 실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30 53
3128 반려동물 유기 최소화하고 구조·보호를 대폭 강화한다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30 66
3127 마이데이터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고,중소 마이데이터 사업자의 부담을 경감하였습니다.(신용정보업감독규정 일부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30 56
3126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의약품 정보를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30 46
Board Pagination Prev 1 ... 707 708 709 710 711 712 713 714 715 716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