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9월부터 대형병원의 일반병상 늘어난다

상급병실료 개편을 위한 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

금년 9월부터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의 일반병상 확보 의무가 50%→70%로 강화됨에 따라 일반병상이 증가, 불가피한 1∼2인실 등 상급병상 이용에 따른 부담이 줄어들 전망이다.

보건복지부(장관 문형표)는 상급병실료 제도 개선 차원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의 기준에 관한 규칙] 등 일부 개정안을 마련하여 6월 10일부터 7월 20일까지(40일간) 입법예고한다고 밝혔다.

일반병상 ☞ 건강보험에서 정한 수준의 입원료만 산정하는 병상 (통상 4인실 이상의 병상)

상급병상 ☞ 건강보험의 입원료 외에 비급여인 상급병실차액을 산정할 수 있는 병상,

일반병상을 총 병상의 50% 등 확보한 후 남은 1∼3인실 병상이 가능

동 개정안은 박근혜 정부 핵심 국정과제인 "3대 비급여 개선 방향"의 일환으로, 지난해에는 상급병실 부담 완화를 위해 일차적으로 일반병상 기준을 6인실→4인실까지 확대(’ 14.9월)한 바 있다.

금번에는 대형병원의 일반병상 부족으로 환자들이 원치 않는 1∼2인실에 입원하는 부담을 완화하기 위하여, 상급종합·종합병원의 일반병상 확보 의무를 현행 50%→70%로 강화키로 하였다.

* 평균 일반병상 비율은 전체병원 86.3%, 병원급 87.4%, 종합병원 82.7% 등인 반면, 상급종합병원 75.5%, 상위5개 병원 62.3%로 낮은 편(’ 15.3월 기준)

대형병원의 일반병상 강화안내
현행 개선
10병상 이상 보유 의료기관은
총 병상의 50%이상을 일반병상으로 확보
(단, 상급종합·종합병원 중 ’11.7월 이후 개설병원은 70% 등)
모든 상급종합·종합병원은 총 병상의 70% 이상을 일반병상으로 확보
(다만, 산부인과전문병원은 현행 유지)

개정안은 금년 9월 시행 예정으로, 시행에 따라 현재 일반병상 비율이 70%미만인 의료기관은 일반병상을 늘리게 되는데,

’ 15.4월 기준으로 총 43개 병원에서 약 1,596개 일반병상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따라 상급종합병원 전체의 평균 일반병상 확보 비율이 75.5%→77.5%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상급종합병원 전체의 평균 일반병상 확보 비율
구분 전체병상 (’15.4월 기준) 현행 개선
일반병상 비율 일반병상 비율
상급종합 40,888개 30,863개 75.5% 31,701개 (838개 증) 77.5%
종합병원 94,074개 77,845개 82.7% 78,603개 (758개 증) 83.5%

일반병상이 증가한다는 것은 그만큼 상급병상이 줄어든다는 뜻으로, 1,596개 병상에서 환자가 부담하던 비급여 병실료 부담이 사라져, 연간 총 570억 가량의 비급여 부담이 감소하게 된다.

이 외에도 개정안에는 전반적인 병상 환경을 6인실 → 4인실 중심으로 개선하고자, 6인실 확보 의무를 총 병상의 50% → 40%로 완화하고, 요양기관의 병상 현황 신고서식을 일부 개선하는 내용도 포함되었다.

이와 함께, 상급병실 개편으로 인한 의료기관의 비급여 손실을 보전하면서, 중증환자 등에 대한 보다 질 좋은 입원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특수병상 수가 개편도 함께 추진한다.

성인·소아 중환자실, 조혈모세포환자를 위한 무균치료실, 납차폐 특수치료실 등 입원료를 개편할 예정으로, 개편안은 의료계·학계 의견수렴 및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논의를 거쳐 확정하고, 법령 개정안과 함께 금년 9월에 함께 시행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는 금번 입법예고를 통해 국민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한 후 개정안을 확정할 예정이다.

이번 개정령안에 대하여 의견이 있는 단체 또는 개인은 2015년 7월 20일까지 보건복지부 보험급여과로 의견을 제출할 수 있다.

개정안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보건복지부 홈페이지(www.mw.go.kr) → 정보마당 → 법령자료 → 입법/행정예고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의견 제출방법

  • 제출처
    • 우편주소 : 세종특별자치시 도움4로 13, 4층, 우편번호 339-012 보건복지부 보험급여과
    • FAX : (044) 202 - 3934
  • 기재사항
    • 입법예고 사항에 대한 항목별 의견(찬반 여부와 그 의견)
    • 성명(법인 또는 기타 단체인 경우에는 그 명칭과 대표자의 성명), 주소 및 전화번호
    • 기타 참고사항 등

 

[보건복지부 2015-06-0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51 DNP함유식이보충제 해외 직구 경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03 104
2050 DMZ를 국민에게, 평화안보 체험길 최초개방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03 9
2049 DMZ 평화둘레길(가칭) 강원 고성구간 참가신청 접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1 44
2048 DART 공시정보 실시간 알람 서비스 오픈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5 70
2047 C형간염 환자 조기발견 시범사업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01 11
2046 C형 근관 치아 근관(신경)치료 수가 개선 시행(5.1)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28 54
2045 CT·MRI 등에 대한 관리를 강화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05 8
2044 CT 진단용 조영제 사용 시 이상반응 경험 및 가족력 확인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3 56
2043 CMS 운영의 허점 이용하는 상조회사, 금융결제원과 금융기관은 모르쇠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6 77
2042 CMIT/MIT 검출된 헤어미스트 판매중단 및 환급하도록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24 70
2041 CMIT, MIT 검출된 해외직구 화장품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31 12
2040 CGV 좌석별 관람료 세분화, 가격인상 효과 분석 보도자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31 130
2039 CGV 좌석별 관람료 세분화, 가격인상 효과 분석 보도자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04 126
2038 CCTV, 비상벨, 보안등으로 어린이, 여성, 노인 등의 ‘귀갓길 안전’ 밝힌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16 22
2037 Britax 유아용 카시트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4 184
Board Pagination Prev 1 ... 781 782 783 784 785 786 787 788 789 790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