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 이하 농식품부)는 5월말 현재까지 7개의 태풍이 발생하여 평년(2.3개)보다 3배 많이 발생하였고, 예년에 비해 강력한 슈퍼태풍이 올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여름철 재해대책을 발표하고 사전대비에 철저를 기하여 줄 것을 당부하였다.
현재 엘니뇨 감시구역(5°S~5°N, 170°W~120°W)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1.1℃ 높은 상태이고, 해저 고수온대가 이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어 해수온도는 더욱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고,
○ 중앙태평양의 수온이 높아 태풍 발생해역에 열에너지 공급이 원활하고, 태풍 발생지가 남동쪽으로 내려가 북상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한반도를 지나는 태풍은 강해질 가능성이 크다.
- 예상진로 또한 동중국해로 북상하는 경로가 많을 것으로 예측되어 인접지역인 한국, 일본 열도에 영향 가능성이 높다
○ 과거 엘니뇨가 있었던 2002년에는 슈퍼태풍 루사가 한반도에 상륙하여 사망·실종 등 246명의 인명피해와 5조원이 넘는 막대한 재산피해가 발생하였고, 농업부문에도 1조3천억원의 피해가 발생하였다.
○ 엘리뇨가 절정에 달했던 1998년에는 중부지방에 21일간 집중호우(7.31.~8.20.)로 121명이 사망하고 52명 실종, 13천 가구가 침수되어 5만여 명의 이재민이 발생하였으며,
- 농업부문의 경우 농작물 86천ha의 피해와, 농경지 유실·매몰 8천ha, 수리시설 2,529개소 등의 피해가 발생하여 2,950억 원의 복구비를 지원한 바 있다.
- 특히 예년의 태풍은 7~8월에 한반도에 영향을 줬으나 1998년 제9호 태풍 ‘예니’는 10월 수확기에 한반도에 상륙하여 농작물 152천ha에 낙과 및 도복피해를 입혔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6월 10일부터 농업재해대책상황실을 운영하며, 농업 관련기관과 지자체 및 농업인에게 여름철 재해 사전·사후대비를 철저히 하여 피해를 최소화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종합대책의 주요내용
○ 농업재해대책상황실 설치·운영(6.10. ~ 10.15.)
- 상황실장(농업정책국장) 주관 초동대응팀 등 5개팀 16명으로 운영
○ 풍수해(호우·태풍), 폭염, 저온 등에 대비한 단계별 행동요령
○ 저수지 안전관리대책 강화
○ 영농단계별 농작물 및 농업시설물·농기계 등 재해대비 관리대책
○ 사전예방·복구상황 및 현장 소통창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시·군별 지역 담당관을 지정 운영
또한, 자연재해는 불가항력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농업인 스스로 사전대비를 통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해 줄 것과,
○ 재해발생시 정부에서 지원하는 재난지원금은 복구에 소요되는 비용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하므로, 실손 수준의 보상이 가능한 농작물재해보험에 적극 가입해 줄 것도 당부하였다.
○ 2014년 경기도 일산 시설하우스 1천평에 장미를 재배하던 장○○씨는 보험료 1,127천원을 내고 농작물재해보험에 가입하였고, ‘14.6.10일에 강한 회오리바람(용오름)으로 하우스가 파손되어 보험금 1억4천만원 수령하였다.
- 하지만, 시설에 대한 보험만 가입하고 농작물(장미) 보험은 가입하지 않아 농작물 보험금 66백만원을 추가로 더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놓쳤다며 뒤늦은 후회를 하기도 하였다
○ 또한, 금년 3월 인천·강화 지역에서 돌풍으로 비닐하우스, 인삼재배시설 등 8.2ha가 피해를 입었지만 보험가입 농가가 없어 복구비 157백만원(농가당 230만원)만 지급한바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2015-06-0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644 고령운전자 교통안전교육의 인지능력진단, 전국 보건소의 치매안심센터에서 받는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17 21
9643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 91개 추가 지정 (926 → 1,017개로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17 21
9642 최근 판매가 급증하는 무-저해지환급금 보험상품에 대해 소비자 경보 발령 등 소비자 보호 조치를 시행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3 21
9641 “공공임대주택, 너무 복잡해요” 임대주택 종류, 입주기준 등이 다양해 문의하는 민원 많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8 21
9640 금리인하요구권 신청-약정절차 전면 비대면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5 21
9639 농·축·수협 회원조합 임직원의 중대 범죄행위 ‘고발조치’ 의무화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9 21
9638 올 연말, 과천과학관에 풍성한 전시 선물 받으러 오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8 21
9637 국민의 소리에 담긴 생활 속 불편, 얼마나 개선되었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2 21
9636 한국공항공사, 다자녀가구 주차요금 자동감면 시스템 도입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07 21
9635 식품위생법령 고의.반복 위반업체 12곳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08 21
9634 고향가는 길 24일 오전·귀경 길 25일 오후 피하세요 1월 23일부터 5일간 설 연휴 정부합동 특별교통대책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21 21
9633 쪽방·비닐하우스 주민을 직접 찾아가고, 공공임대주택 신청·이사·정착 전 과정을 지원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29 21
9632 공기청정기 시장 등 부당 표시·광고행위에 대한 감시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18 21
9631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1 21
9630 2019년 해외리콜 제품 국내 유통 모니터링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1 21
Board Pagination Prev 1 ...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