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레이저 등 제모기의 안전사용 홍보 -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승희)는 날씨가 더워지면서 사용이 많아지는 제모기를 안전하고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의료기기 제모기의 사용 시 주의사항 등을 안내 한다고 밝혔다.
○ 제모기는 현재 단순히 털을 깎아 내는데 사용하는 공산품과 레이저나 광선을 이용하여 모낭을 손상시켜 털을 자라지 못하게 하는 의료기기로 나누어진다.
○ 의료기기인 제모기는 모낭에 레이저나 광선을 쪼이면 열이 발생하게 되고, 열로 인해 털을 만드는 피부기관인 모낭이 손상되면 털이 자라지 못하는 원리를 이용한 제품으로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 멜라닌 : 피부나 눈 등의 조직에 존재하는 흑색 내지 갈색 색소를 총칭
- 제모기를 사용하기 전 자신의 피부톤에 맞은 레이저 세기를 선택하여야 하며, 특히 피부톤이 어두운 갈색에 가까운 피부는 멜라닌이 많이 분포되어 있어 레이저 광(light)의 흡수량이 많아져 화상, 변색 등 피부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겨드랑이, 다리 및 인중 등 제품별로 허가받은 인체 부위에만 사용하고, 레이저로부터 눈의 보호를 위하여 눈썹 등 눈 주위에는 절대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 제모기 사용부위에 강한 햇빛을 받으면 피부에 색소침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 후 2주 이내에는 외부활동 시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 피부를 보호해 주는 것이 좋다.
- 정식으로 허가받은 제모기의 포장에는 반드시 ‘의료기기’라는 표시와 허가번호가 기재되어 있으므로, 그 내용을 확인하여 허가받지 않은 제품은 구입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첨부된 사용설명서에 기재된 사용목적, 사용방법 등을 꼼꼼히 확인 후 사용해야 한다.

□ 식약처는 제모기를 구매하기 전 허가(신고) 사항을 확인하고 사용 시 주의사항을 숙지하여 올바른 방법으로 사용할 것을 당부하였다.
○ 제품의 정확한 허가사항 등이 궁금한 경우 식약처 전자민원창구(http://emed.mfds.go.kr)→정보공개→제품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5-05-2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435 도시·건축 불편사항, “현장 신문고 두드리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2 90
11434 르노삼성자동차(주) SM5, QM5, QM3 디젤 차량 사용연료 표시 강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27 90
11433 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기 척결 특별대책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3 90
11432 아파트 대피 공간 열차단 성능 30분 이상 돼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06 90
11431 기업형 임대사업자의 자금조달이 수월해진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8 90
11430 목돈 마련을 통해 빈곤탈출의 사다리가 되어드립니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2 90
11429 2014년 건강보험 재정현황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7 90
11428 음주운전 및 어린이 안전 중점적으로 살핀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19 89
11427 인공지능 기반 CCTV 영상분석으로교통체증 해소, 도로안전 수준 높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18 89
11426 가족과 함께 봄여행 만끽…국립공원 5곳 추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17 89
11425 안전한 농어촌민박, 온라인으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17 89
11424 112 긴급신고앱, 간편인증으로 이용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10 89
11423 올해 9월부터 창원, 여수, 포항에서 SRT 타고 수서 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04 89
11422 추워지는 날씨, 한파에 건강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13 89
11421 비수도권 유흥시설 관련 감염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0 89
Board Pagination Prev 1 ...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