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유사콘도회원권 판매 상술 갈수록 지능화

- 동일 소비자가 유사 수법에 두세 차례 피해 입기도 -

이 자료는 5월 21일(목) 조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방송·인터넷 매체는 5월 20일 12시)

무료숙박권 제공, 홍보대사 선정 등을 빙자하여 접근하는 유사콘도회원권* 피해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관광진흥법」상 콘도회원권의 경우도 일부는 만기가 도래해도 입회금을 반환받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소비자원(http://www.kca.go.kr)은 최근 4년간의 콘도회원권 관련 소비자 피해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며 소비자의 주의를 당부했다.

 

1

 

‘유사콘도회원권 기만성 판매’로 인한 피해가 약 80%

2011년 1월부터 2015년 3월까지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콘도회원권 관련 소비자피해 2,086건을 분석한 결과, ‘유사콘도회원권 기만성 판매’와 관련된 피해가 1,660건(79.6%)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유사콘도회원권을 구매한 소비자들은 주로 무료숙박권 제공, 홍보대사 선정, 신용카드 우수고객 혜택 등의 전화 설명에 끌려 영업사원을 만난 후 계약을 체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322건, 63.4%).

또한 피해 소비자 가운데에는 유사한 피해를 두세 차례에 걸쳐 반복적으로 당한 경우도 있었다(338건, 16.2%). 사업자는 주로 무료 숙박권 제공 등을 미끼로 접근하여 (1단계) 1년 후 환급 가능하다는 설명으로 회원권 계약을 유도하고 (2단계) 1년 후 계약업체를 인수·합병했다며 기존 결제대금의 환급을 위해 재계약이 필요하다는 등 소비자의 불안 심리를 자극하여 추가 결제하게 한 뒤 (3단계) 일정 기간 경과 후 소비자가 환급을 요구하면 회원권을 소유할 수 있도록 등기해주겠다며 재차 대금결제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피해를 입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용카드 장기 할부를 꺼리거나 현금이 없는 소비자에게는 카드론 대출을 받도록 유도하고 계약 체결 시 별도 주문 생산했다는 사은품을 지급한 후 청약철회 요구 시 사은품 가격의 약 10배에 해당하는 대금을 청구한 사례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유사콘도회원권 기만성 판매’ 관련 피해는 관계당국의 수사* 진행될 때만 잠시 주춤할 뿐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 일부 콘도회원권, 만기 도래해도 입회금 반환 못 받아 

소비자피해 2,086건 가운데 337건(16.1%)은 콘도회원권 ‘만기 시 입회금(예치금) 반환 불이행’ 피해였는데 사업자들은 주로 ‘어려워진 경영상황’을 이유로 입회금을 반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관광진흥법」상 만기 시 입회금 반환이 보장된 콘도회원권도 경우에 따라 환급을 받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계약 시 신중해야 한다.

 

▣ 30대 남성의 피해 특히 많아

피해 소비자의 특성을 보면, 남성이 91.9%(1,917건)로 대부분이었고 연령별로는 30대(765건, 42.1%)가 가장 많아 사업자들이 이 연령대의 남성들을 주요 영업대상으로 삼아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소비자원은 유사콘도회원권 소비자피해를 줄이기 위해 「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 등 관련 법률을 위반한 것으로 의심되는 사업자들을 관계 기관에 통보하는 한편 콘도회원권 만기 입회금 반환을 보장할 수 있는 보증보험 도입 등 제도 마련을 건의할 예정이다.

[한국소비자원 2015-05-2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95 2017 소비자안전 모니터 모집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2 50
694 2017 소비생활지표 조사결과, 국민 소비생활만족 크게 향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14 39
693 2016년중 금감원 콜센터 1332로 접수된 주요 금융애로 상담사례 및 제도개선 내용(2),(3)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13 56
692 2016년중 금감원 콜센터 1332로 접수된 주요 금융애로 상담사례 및 제도개선 내용(1) - 서민의 교통사고 합의금 마련 부담 해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06 61
691 2016년중 금감원 콜센터 1332로 접수된 주요 금융애로 상담사례 및 제도개선 내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28 53
690 2016년에도 금융소비자 이슈는 '금융소비자의 소리'로 확인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30 127
689 2016년산 국산 두류(콩·팥·녹두) 수매확대 추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8 122
688 2016년도 초중고 교육비·교육급여, 꼭 신청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02 140
687 2016년도 보건복지부 예산 55조 8,437억원으로 최종 확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04 82
686 2016년도 리콜 실적 분석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03 36
685 2016년도 농식품 원산지 표시위반 1위 “돼지고기”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13 72
684 2016년도 금융민원 및 금융상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9 51
683 2016년도 2/4분기 다단계 판매업자의 휴·폐업 등 주요정보 사항 공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6 112
682 2016년6월 및 상반기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9 136
681 2016년5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30 85
Board Pagination Prev 1 ... 875 876 877 878 879 880 881 882 883 884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