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식약처,‘14년 의료기기 생산실적 등 분석결과 발표 -

□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은 최근 5년 동안 평균 11.3%의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고부가가치 의료기기의 생산과 수출이 전년대비 크게 증가하였다.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승희)는 2014년 의료기기 생산실적은 4조 5,533억원으로 ‘13년(4조 2,241억원)에 비해 7.8%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 이러한 증가세는 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의료 패러다임이 치료에서 예방·진단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건강하고 행복한 삶에 대한 요구로 의료기기 수요가 증대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 ‘14년 의료기기 수출실적은 24.4억달러로 전년에 비해 3.7% 증가에 그친 반면 의료기기 수입실적은 29.7억달러로 전년 대비 8.1% 늘어나 무역수지 적자는 5.2억달러로 확대되었다.
○ ‘14년 의료기기 시장규모도 5조 1,076억원으로 전년도 4조 6,315억원보다 10.2% 증가하였다.
※ 시장규모(억원): 39,027(’10)→ 43,063(’11)→ 45,923(’12)→ 46,315(’13)→51,076(’14)
* 시장규모: 생산+수입-수출

□ 지난해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의 주요 특징은 ▲국내 의료기기 생산 꾸준한 성장세 유지 ▲고부가가치 의료기기 수요 증대 ▲수출 증가율 감소와 환율하락으로 인한 무역적자폭 확대 등이었다.

< 국내 의료기기 생산 꾸준한 성장세 유지 >
○ 지난해 의료기기 생산실적은 ‘13년(4조 2,241억원) 대비 7.8% 증가한 4조 5,533억원으로 나타났으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성장률도 11.3%를 유지하고 있다.
※ 생산실적(억원): 29,644(’10)→ 33,664(’11)→ 38,773(’12)→ 42,241(’13)→ 45,533(’14)
○ 지난해 생산실적 상위 품목으로는 치과용임플란트(5,981억원), 초음파영상진단장치(4,217억원), 소프트 콘택트렌즈(1,418억원) 순이었다.
- 치과용 임플란트는 인구의 고령화로 인한 수요 증대와 해외 수출증가에 힘입어 생산이 늘어났고(전년 대비 7.5%), 소프트콘택트렌즈 생산도 미용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작년에 비해 크게 증가(전년 대비 10.6%)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생산실적 기준 상위업체는 오스템임플란트(3,906억원), 삼성메디슨(주)(2,753억원), 지멘스(주)(1,329억원) 등의 순이었으며, 상위 30개사가 전체 생산의 43.8%를 차지하였다.

< 고부가가치 의료기기에 대한 수요 증대 >
○ 의료기기 생산실적 상위 15위 품목 중 전년 대비 생산이 가장 크게 증가한 품목은 전산화단층엑스선촬영장치(43.1%), 디지털엑스선촬영장치(32.7%), 레이저수술기(28.5%), 의료용영상처리용장치‧소프트웨어(22.7%) 순으로 고부가가가치 의료기기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임플란트와 치열교정 목적의 치과진료가 확대됨에 따라 전산화단층엑스선촬영장치(CT)의 수요가 크게 증대되었으며, 미용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피부과 영역의 레이저수술기 생산이 증가하였다.
- 특히, 전산화단층엑스선촬영장치의 경우 중국 수출이 1800만달러로 전년(259만달러)에 비해 594.2% 증가하였고, 러시아 수출이 250만달러로 전년(188만달러)에 비해 32.9% 증가하였고, 일본 수출이 757만달러로 전년(615만달러)에 비해 22.9% 상승하는 등 국내 고부가가치 의료기기의 우수성이 해외에서도 인정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 수출 증가율 감소 및 환율하락으로 인한 무역적자폭 확대 >
○ 지난해 의료기기 수출은 24.4억달러로 전년도 23.5억달러 보다 3.7% 증가한 반면, 의료기기 수입은 29.7억달러로 전년도 27.2억 달러에 비하여 8.9% 늘어나 ’14년 의료기기 무역수지 적자는 전년도 대비 41.4% 증가된 5.2억달러로 확대되었다.
- 무역수지 적자 확대는 환율하락으로 인한 수출 경쟁력 감소와 수출 1위 품목인 초음파영상진단장치의 수출 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 수출 상위업체는 삼성메디슨(주)가 2.2억달러로 1위를 차지한 가운데 한국지이초음파(유)(1.0억달러), (주)에스디(1.0억달러)가 그 뒤를 이었다.
- 의료기기 수출 상위 품목들은 초음파영상진단장치(4.0억달러), 치과용임플란트(1.2억달러), 소프트콘택트렌즈(1.0억달러), 개인용온열기(1.0억달러) 순이었다.
○ 수입 상위업체는 한국존슨앤존슨메디칼(주)(1.5억달러), 지멘스(주) (1.4억달러), 한국로슈진단(1.2억달러) 순이다.
- 수입 상위 품목은 스텐트(1.2억달러), 소프트콘택트렌즈(1.0억달러), 시력보정용안경렌즈(1.0억달러) 순이며, 시력보정용안경렌즈수입이 전년 대비 크게 증가(136.4%)한 것으로 나타났다.

□ 식약처는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이 꾸준하게 증가하는 것은 국산 의료기기의 안전성과 품질의 우수성을 국내·외에서 인정받고 있는 것으로 앞으로도 제도를 합리적으로 개선하여 국제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또한 스텐트, 소프트콘택트렌즈 등 수입이 증가하는 제품들에 대해서는 유통제품 품질검사, 거짓‧과대광고 모니터링, 기획 감시 등을 통하여 국민이 안심하고 의료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선제적 안전관리를 해 나갈 계획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5-05-1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65 2023년 11월 소비자물가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6 10
664 가사노동 서비스는 누가 생산하고 누가 소비했을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6 10
663 빈대 발생 감소세 전환, 국민 신고 안내 및 적극 방제 지속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6 9
662 다가구주택 전입신고 시 동·호수 표기 강화, 촘촘한 위기가구 발굴 지원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6 14
661 한국잡월드, 연말연시 ‘즐길 거리 가득’ 다채로운 행사 개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6 10
660 2023년 대리점거래 서면실태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6 10
659 23년 상반기 주요 민원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05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6 22
658 식약처, 독감치료제 소아·청소년 안전 정보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6 10
657 23년 3분기 주요 민원분쟁사례 및 분쟁해결기준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7 11
656 식품 종사자 건강진단 항목이 달라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7 15
655 2030, 더 이상 심뇌혈관질환 안전지대 아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7 15
654 요양병원 감염관리 실태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7 12
653 복합쇼핑시설 화재ㆍ피난 안전시설 주기적인 점검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7 9
652 겨울섬으로 동백꽃과 온천욕 즐기러 오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7 17
651 학교폭력 전담 조사관 신설하고 학교전담경찰관 105명 증원 학교·교사, 악성 민원서 벗어나 ‘교육’에 역량 집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7 11
Board Pagination Prev 1 ... 877 878 879 880 881 882 883 884 885 886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